히브리어 성경 본문 로마자로 전사된 자료

히브리어 성경 본문 및 그것을 그대로 로마자로 전사한 유니코드를 지원하는 자료가 있어 소개한다. Internet Sacred Texts Archive 가운데 The Tanach 부분이다. 각종 설명은 영어로 되어 있지만 알맹이는 역시 히브리어 성경 본문을 히브리어 원문과 로마자 전사 대역으로 보여주는 부분이다. 창세기 첫 부분을 보여주는 자료 “팔레스타인, 팔레스티나, 블레셋, 펠리시테 가운데 일본어식 표기는 무엇일까요?“라는 글에서 ‘블레셋’이라는 히브리어 이름에 대해 소개하면서도 […]

, , ,

팔레스타인, 팔레스티나, 블레셋, 펠리시테 가운데 일본어식 표기는 무엇일까요?

문득 ‘팔레스타인’과 ‘팔레스티나’ 가운데 어느 것이 표준 표기인지 궁금해졌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어렸을 때 사회과 부도에서 ‘팔레스티나’라고 표기된 것을 본 것 같은 기억도 있고 이원복의 학습만화 《 먼나라 이웃나라》에서는 분명히 ‘팔레스티나’라는 표기를 썼던 것으로 기억한다. 표기 자체로만 봐서는 영어식 발음을 어정쩡하게 흉내낸 ‘팔레스타인’보다는 ‘팔레스티나’가 표준 표기여야 할 것 같다. 하지만 대한민국 언론에서는 예나 지금이나 계속 ‘팔레스타인’이라고

, , , , , , , , , ,

영어의 중복 자음 발음

“런닝? 러닝? 영어에서 nn, mm의 한글 표기“에 보충해서 영어에서 자음이 중복되어 발음되는 때에 대해 설명한다.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의 설명(“Double consonant sounds”, 238쪽)을 많이 참조하였다. (주의해야 할 점은 여기서 다루는 중복 자음은 발음 상의 중복 자음을 이른다는 것이다. 영어의 철자는 불규칙해서 철자 상 중복되는 글자는 중복되어 발음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앞 글에서는 영어에서 한 어근 안에서는

, , ,

런닝? 러닝? 영어에서 nn, mm의 한글 표기

흔히 외국어 이름에서 철자 nn, mm이 모음 사이에 올 때 한글로 적을 때도 ‘ㄴ’과 ‘ㅁ’을 겹쳐 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다면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을 한글로 적을 때 ‘ㄴ’과 ‘ㅁ’은 겹쳐 쓰지 않아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가 하면 이탈리아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러시아어 등은 외래어 표기법에서 nn, mm이 모음 사이에 올 때 ‘ㄴ’과 ‘ㅁ’을

, , ,

Python과 Guido van Rossum의 한글 표기

‘파이썬’이라 하는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가 있다. 원래 이름은 Python. 텔레비전과 영화를 통해 상당한 인기를 끌었던 영국 코미디 팀 ‘몬티 파이선(Monty Python)’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한다. 그러니 Python은 영어 이름으로 보면 된다. Python은 고대 그리스어의 ‘피톤(Πύθων)’에서 나온 말로 원래는 그리스 신화에서 아폴론이 죽였다고 하는 델포이의 거대한 뱀의 이름인데 영어에서는 ‘비단뱀’을 뜻하는 보통명사가 되었다. Python의 발음은 Longman Pronunciation

,

국제 음성 기호

국제 음성 기호 (IPA,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본 블로그에서는 발음을 적을 때 불친절하게도 별다른 설명 없이 국제 음성 기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기본적으로 [] 안에 쓴 것은 특별한 설명이 없어도 국제 음성 기호로 적은 것이라고 보면 된다. 다른 언어의 발음을 한국어의 비슷한 발음을 통해 설명하거나 ‘굴리는 소리’, ‘가래 끓는 소리’ 등 비전문적인 용어를 통해 설명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유성

,

“아프리카 말 할 줄 아세요?”

내가 동아프리카의 케냐에서 산 적이 있다는 얘기를 하면 가끔 듣는 질문이 있다. “아프리카 말 할 줄 아세요?” 또는 “케냐 말 할 줄 아세요?” 그런데 인터넷에서 우연히 찾은 〈아프리카의 언어 상황에 대한 소고〉라는 글에서 저자 김학수도 이 ‘아프리카 말’에 대해서 받는 질문 이야기를 하고 있다. 보통 우리는 ‘아프리카’라고 하는 개념을 ‘아시아’, ‘유럽’에 비하여 좀 더 포괄적으로

, , , , , , ,

‘드루이드’를 ‘드루드’로 쓰라니? 한국예이츠학회의 ‘게일어 고유명사 한글표기 통일안’이 개정되어야 하는 이유

아일랜드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William Butler Yeats)를 연구하는 한국 예이츠학회(The Yeats Society of Korea)에서는 2004년 11월 13일 예이츠 문학에 등장하는 게일어 고유명사의 한글 표기 통일안을 확정했다. 이 통일안은 한국 예이츠학회 자료실에서 내려받을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설명이 붙어 있다. 지난 주 토요일(2004/11/13) 한양대에 개최된 가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에서는 저희학회의 오랜숙원이었던 ‘게일어 고유명사 한글표기 통일안’이 아래와 같이 확정되었습니다.

, , , , , , , ,

생각보다 훨씬 복잡한 브라이언 주베르(Brian Joubert)의 이름 표기 문제

브라이언 주베르 혹은 ‘브리얀’ 주베르? 최근 프랑스어에서는 Brian이 영어식으로 ‘브라이언’으로 발음된다며 피겨스케이팅 선수 주베르(Brian Joubert)를 예를 든 글을 올렸다. 프랑스 방송에서 평소에 Brian을 그렇게 발음하는 것을 들었기 때문에 그런 동영상 하나 찾아서 증거물로 같이 올렸다. 하지만 왠지 글을 올리고 나니 뭔가 찝찝한 느낌이 있어서 아무래도 본인 발음을 확인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방송에서 널리 쓰는 발음이라고 다 맞는

, , , , , , , , ,

‘벨로루시’가 ‘벨라루스’로 바뀐다

벨라루스 국기 외국어와 외래어의 한글 표기를 심의하는 정부·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는 12월 11일 제82차 회의 결과를 발표하였다. 특기할만한 부분은 지금까지 ‘벨로루시’로 표기하던 국명을 ‘벨라루스’로 적기로 한 것이다. 다음은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 실린 설명이다. 특히, 이 밖에 옛 소련에서 1991년에 독립함과 동시에 국명을 바꾼 ‘벨로루시’의 표기를 새 국명에 맞게 ‘벨라루스'(정식 명칭은 ‘벨라루스 공화국’)로 통일해서 적기로 했다. 17년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