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표기법

‘드루이드’를 ‘드루드’로 쓰라니? 한국예이츠학회의 ‘게일어 고유명사 한글표기 통일안’이 개정되어야 하는 이유

아일랜드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William Butler Yeats)를 연구하는 한국 예이츠학회(The Yeats Society of Korea)에서는 2004년 11월 13일 예이츠 문학에 등장하는 게일어 고유명사의 한글 표기 통일안을 확정했다. 이 통일안은 한국 예이츠학회 자료실에서 내려받을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설명이 붙어 있다. 지난 주 토요일(2004/11/13) 한양대에 개최된 가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에서는 저희학회의 오랜숙원이었던 ‘게일어 고유명사 한글표기 통일안’이 아래와 같이 확정되었습니다. …

‘드루이드’를 ‘드루드’로 쓰라니? 한국예이츠학회의 ‘게일어 고유명사 한글표기 통일안’이 개정되어야 하는 이유 더 보기 »

‘버락 오바마’라는 이름의 어원

미국 대통령 당선자 버락 오바마만큼 이름이 화제가 된 인물은 찾기 쉽지 않다. 오바마 스스로 “이상한 이름을 가진 깡마른 아이(a skinny kid with a funny name)”였다고 하기도 했고, 선거 기간에는 그를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이 그의 중간 이름(middle name)이 ‘후세인’이라는 사실을 즐겨 언급하기도 했다. 버락 오바마라는 이름에 얽힌 이야기를 여러가지 소개하고자 한다. 언어 관련 블로그 ‘랭귀지 로그(Language Log)’에 …

‘버락 오바마’라는 이름의 어원 더 보기 »

‘벨로루시’가 ‘벨라루스’로 바뀐다

벨라루스 국기 외국어와 외래어의 한글 표기를 심의하는 정부·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는 12월 11일 제82차 회의 결과를 발표하였다. 특기할만한 부분은 지금까지 ‘벨로루시’로 표기하던 국명을 ‘벨라루스’로 적기로 한 것이다. 다음은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 실린 설명이다. 특히, 이 밖에 옛 소련에서 1991년에 독립함과 동시에 국명을 바꾼 ‘벨로루시’의 표기를 새 국명에 맞게 ‘벨라루스'(정식 명칭은 ‘벨라루스 공화국’)로 통일해서 적기로 했다. 17년 …

‘벨로루시’가 ‘벨라루스’로 바뀐다 더 보기 »

‘비빔밥’의 로마자 표기 문제로 본 표음주의 대 음소주의

얼마 전에 어느 음식점 메뉴판에서 ‘비빔밥’을 로마자로 bibimbab으로 표기한 것을 보았다. 그런데 현행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비빔밥’은 bibimbap으로 적어야 하며, 2000년 이전 쓰던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르면 pibimpap으로 적어야 한다. 이런 다양한 표기들은 어떻게 나왔을까? 한 음식점 메뉴판에서 ‘비빔밥’이 bibimbab으로 표기되어 있다.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 고려할 것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원 발음에 최대한 가깝게 …

‘비빔밥’의 로마자 표기 문제로 본 표음주의 대 음소주의 더 보기 »

“아프리카 말 할 줄 아세요?”

내가 동아프리카의 케냐에서 산 적이 있다는 얘기를 하면 가끔 듣는 질문이 있다. “아프리카 말 할 줄 아세요?” 또는 “케냐 말 할 줄 아세요?” 그런데 인터넷에서 우연히 찾은 〈아프리카의 언어 상황에 대한 소고〉라는 글에서 저자 김학수도 이 ‘아프리카 말’에 대해서 받는 질문 이야기를 하고 있다. 보통 우리는 ‘아프리카’라고 하는 개념을 ‘아시아’, ‘유럽’에 비하여 좀 더 포괄적으로 …

“아프리카 말 할 줄 아세요?” 더 보기 »

Oh no! 영어 이중모음 [ou]의 표기

외래어 표기법의 영어 표기 세칙은 [ou]를 ‘오’로 적도록 하고 있고 boat [bout]를 ‘보트’로 적는 것을 예로 들고 있다. 발음이 [ou]라면 왜 ‘오우’가 아닌 ‘오’로 적도록 한 것일까? 국립국어원의 정희원이 쓴 “영어 모음의 외래어 표기“에 나오는 설명을 보자. [ou]를 ‘오’로 적는 것은 ‘오우’로 적는 것보다 영어의 본래 발음에 가깝기 때문이다. 영어에서 [ou]의 [u]는 일종의 과도음으로 음성학적으로는 …

Oh no! 영어 이중모음 [ou]의 표기 더 보기 »

Python과 Guido van Rossum의 한글 표기

‘파이썬’이라 하는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가 있다. 원래 이름은 Python. 텔레비전과 영화를 통해 상당한 인기를 끌었던 영국 코미디 팀 ‘몬티 파이선(Monty Python)’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한다. 그러니 Python은 영어 이름으로 보면 된다. Python은 고대 그리스어의 ‘피톤(Πύθων)’에서 나온 말로 원래는 그리스 신화에서 아폴론이 죽였다고 하는 델포이의 거대한 뱀의 이름인데 영어에서는 ‘비단뱀’을 뜻하는 보통명사가 되었다. Python의 발음은 Longman Pronunciation …

Python과 Guido van Rossum의 한글 표기 더 보기 »

Tom Daschle의 표기가 ‘대슐리’에서 ‘대슐’로 바뀐 사연

요즘 미국의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지명되었던 톰 대슐(Tom Daschle)이 세금 탈루 의혹으로 낙마하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 톰 대슐 흥미롭게도 2001년 6월 27일 열린 정부·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제40차 회의에서는 당시 상원 민주당 원내 총무였던 그의 이름 표기를 ‘토머스 대슐리’로 정한 바가 있다. 토머스(Thomas)는 톰(Tom)의 정식 이름이다. 그러다가 2004년 12월 14일 제61차 회의에서 ‘대슐리’ 대신 ‘대슐’로 고쳐 …

Tom Daschle의 표기가 ‘대슐리’에서 ‘대슐’로 바뀐 사연 더 보기 »

런닝? 러닝? 영어에서 nn, mm의 한글 표기

흔히 외국어 이름에서 철자 nn, mm이 모음 사이에 올 때 한글로 적을 때도 ‘ㄴ’과 ‘ㅁ’을 겹쳐 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다면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을 한글로 적을 때 ‘ㄴ’과 ‘ㅁ’은 겹쳐 쓰지 않아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가 하면 이탈리아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러시아어 등은 외래어 표기법에서 nn, mm이 모음 사이에 올 때 ‘ㄴ’과 ‘ㅁ’을 …

런닝? 러닝? 영어에서 nn, mm의 한글 표기 더 보기 »

밀크쉐이크? 밀크셰이크? ‘셰’와 ‘쉐’의 문제

다음 중 외래어 표기법에 맞게 적은 것은? 가. 밀크쉐이크  나. 밀크셰이크 가. 세익스피어  나. 셰익스피어 가. 아이쉐도우  나. 아이섀도 가. 포르쉐  나. 포르셰 가. 리더쉽  나. 리더십 가. 잉글리쉬  나. 잉글리시 답은 모두 ‘나’이다. 1988년 한글 맞춤법 개정 이후 교육을 받은 세대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 방법에 제법 익숙해졌지만 ‘ㅅ’ 계열 표기는 계속 틀리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특히 …

밀크쉐이크? 밀크셰이크? ‘셰’와 ‘쉐’의 문제 더 보기 »

불가리아어가 세르보크로아트어의 일종이라니?

외래어 표기법 가운데 세르보크로아트어 표기 규정이 있다. 세르보크로아트어(영어로 Serbo-Croatian)라는 표현은 옛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공용어로 사용되었던 언어를 부르는 말이다.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된 이후 지금은 정치적 이해에 따라 세르비아어와 크로아티아어는 다른 언어로 보고 있고 세르보크로아트어의 일부였던 보스니아어, 또 세르보크로아트어와는 다른 남슬라브어군 언어인 슬로베니아어, 마케도니아어 등도 독자적인 언어로 인정되고 있다.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는 서로 매우 비슷하여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하나의 언어로 취급되었지만 각국이 독립하면서 …

불가리아어가 세르보크로아트어의 일종이라니? 더 보기 »

블로그를 시작하며

어려서부터 언어에 관심이 많았다. 세계의 다양한 언어와 문자에 대해서 배우는 것이 그렇게 흥미로울 수 없었다.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자란 환경 덕분에 한국어와 영어를 모두 자유자재로 구사하게 되었고 학교에서는 프랑스어와 스웨덴어도 공부했다. 그러다 몇 년 전부터 한국어 이외의 언어(이하 외국어)를 한글로 적는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세계가 비좁아진 오늘날 외국어의 발음을 한글로 적을 일이 참 …

블로그를 시작하며 더 보기 »

생각보다 훨씬 복잡한 브라이언 주베르(Brian Joubert)의 이름 표기 문제

브라이언 주베르 혹은 ‘브리얀’ 주베르? 최근 프랑스어에서는 Brian이 영어식으로 ‘브라이언’으로 발음된다며 피겨스케이팅 선수 주베르(Brian Joubert)를 예를 든 글을 올렸다. 프랑스 방송에서 평소에 Brian을 그렇게 발음하는 것을 들었기 때문에 그런 동영상 하나 찾아서 증거물로 같이 올렸다. 하지만 왠지 글을 올리고 나니 뭔가 찝찝한 느낌이 있어서 아무래도 본인 발음을 확인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방송에서 널리 쓰는 발음이라고 다 맞는 …

생각보다 훨씬 복잡한 브라이언 주베르(Brian Joubert)의 이름 표기 문제 더 보기 »

스와프? 스왑? 스웝? Swap의 표기

최근 한국과 미국이 통화 교환 협정을 체결하면서 swap이라는 경제용어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런데 한글 표기는 저마다 ‘스와프’, ‘스왑’, ‘스웝’ 등으로 쓰고 있다. 어느 것이 맞을까? Swap은 교환, 상환 거래를 뜻하는 영어 단어이다.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LPD)에 의하면 발음은 영국식으로는 [swɒp], 미국식으로는 [swɑːp]이다. 여기서 [ɒ]란 기호는 영국 영어에서 not, box, top 등의 모음을 나타내는데 언제나 단모음이다. 영국 영어에서 …

스와프? 스왑? 스웝? Swap의 표기 더 보기 »

스위스에서 쓰는 독일어

영국의 음성학자 존 웰스(John Wells)의 블로그 2월 23일 글에서 스위스의 크슈타트(Gstaad)라는 독일어 지명의 발음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크슈타트는 스위스 남서부에 있는 마을로 베른주의 자넨(Saanen)군에 속하는 일류 스키 휴양지이다. 크슈타트 웰스의 글은 영국 《가디언》 지 기자인 사이먼 호거트(Simon Hoggart)가 크슈타트의 발음을 잘못 설명한 것에 관한 것이다. You pronounce it ‘Shtard, with just a tiny pause before the …

스위스에서 쓰는 독일어 더 보기 »

아이슬란드 총리 요한나 시귀르다르도티르(Jóhanna Sigurðardóttir)

아이슬란드가 금융 사태로 국가적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2월 1일 요한나 시귀르다르도티르(Jóhanna Sigurðardóttir)가 총리로 취임했다. 요한나 시귀르다르도티르 아이슬란드 최초의 여성 총리이자 근대의 행정부 수반으로는 세계 최초로 공공연히 알려진 동성애자로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 이름을 한국 주요 언론에서 어떻게 보도했는지 보자. 한 언론사 몇가지 다른 표기를 썼을 수도 있지만 대충 검색한 결과 다음의 두가지 표기를 확인할 수 …

아이슬란드 총리 요한나 시귀르다르도티르(Jóhanna Sigurðardóttir) 더 보기 »

아테네와 테베, 그리스어 이름의 표기 문제

‘아테네’와 ‘테베’는 그리스어 발음에 따른 표기가 아니다? 슈타인호프님의 교과서 오류 시리즈 – 이수스 전투와 알렉산더, 그리고 다리우스 3세에 대한 덧글들이 ‘알렉산더’의 표기 문제가 발단이 되어 고대 그리스어와 라틴어 인명의 표기에 관한 짧은 토론으로 발전하였다. 지금은 통상적으로 쓰는 독일어식 표기인 ‘알렉산더’와 고대 그리스어 Ἀλέξανδρος(Aléxandros)를 따른 ‘알렉산드로스’가 둘 다 표준 표기로 인정되고 있다. 그리스어 이름을 제3 언어의 발음에 …

아테네와 테베, 그리스어 이름의 표기 문제 더 보기 »

태국 문자를 몰라도 태국어를 한글로 표기할 수 있다

외래어 표기법에서 다루는 태국어 관련 규정은 비교적 최근인 2004년 12월 베트남어, 말레이인도네시아어와 함께 추가되었기 때문에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래도 이전에 ‘푸켓’, ‘푸케트’라고 부르던 태국의 지명을 지금은 새 표기법 규정에 따라 ‘푸껫’이라고 부른다고 하면 고개를 끄덕이실지 모르겠다. 그러면 언론에서는 태국어 표기 규정을 잘 지키고 있을까? 얼마 전에 태국 반정부 시위에 대한 보도가 많았다. 그 …

태국 문자를 몰라도 태국어를 한글로 표기할 수 있다 더 보기 »

테니스 선수 옐레나 도키치

올해 첫 테니스 메이저 대회인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에서 오스트레일리아의 옐레나 도키치(Jelena Dokic)가 타미라 파셰크와 17번 시드 안나 차크베타제, 11번 시드 카롤리네 보스니아키 등 강호들을 상대로 연승을 거두며 현재 4회전에 진출해 있다. 옐레나 도키치 1999년 만 16세의 나이로 윔블던에서 당시 세계 1위 마르티나 힝기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면서 샛별처럼 등장한 도키치는 2002년 세계 랭킹 4위까지 올라갔다. 그러나 걷잡을 수 …

테니스 선수 옐레나 도키치 더 보기 »

파리의 Tuileries 정원은 ‘튈르리’? ‘튀일리’?

튀일리 정원(Jardins des Tuileries)은 베르사유 궁전의 조경을 담당했던 앙드레 르노트르(André Le Notre)가 1664년 설계하였으며 오늘날 파리 시민들의 휴식처이자 파리가 자랑하는 관광 명소이다. 아돌프 폰 멘첼(Adolph von Menzel)의 《튀일리 정원에서의 오후(Nachmittag im Tuileriengarten)》 이 정원은 튀일리 궁전(Palais des Tuileries)에서 이름을 따왔다. 1559년 앙리 2세가 죽은 후 섭정이 된 왕비 카트린 드메디시스(Catherine de Médicis,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 출신)는 …

파리의 Tuileries 정원은 ‘튈르리’? ‘튀일리’? 더 보기 »

팔레스타인, 팔레스티나, 블레셋, 펠리시테 가운데 일본어식 표기는 무엇일까요?

문득 ‘팔레스타인’과 ‘팔레스티나’ 가운데 어느 것이 표준 표기인지 궁금해졌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어렸을 때 사회과 부도에서 ‘팔레스티나’라고 표기된 것을 본 것 같은 기억도 있고 이원복의 학습만화 《 먼나라 이웃나라》에서는 분명히 ‘팔레스티나’라는 표기를 썼던 것으로 기억한다. 표기 자체로만 봐서는 영어식 발음을 어정쩡하게 흉내낸 ‘팔레스타인’보다는 ‘팔레스티나’가 표준 표기여야 할 것 같다. 하지만 대한민국 언론에서는 예나 지금이나 계속 ‘팔레스타인’이라고 …

팔레스타인, 팔레스티나, 블레셋, 펠리시테 가운데 일본어식 표기는 무엇일까요? 더 보기 »

폴란드 지명 Podhale는 ‘포드할레’일까, ‘포트할레’일까?

지난 12월 19일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공개 자료실에 외래어 표기 용례 자료 파일이 올라왔다. 2002년 용례집 이후 추가된 동남아시아 언어와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러시아어 표기 규정, 그리고 최근의 외래어 심의 결과까지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생긴다는 것은 반가운 소식이다. 하지만 공개 자료실의 HWP 문서를 받아 열어보니 약간 실망스러웠다. 특히 지명 파일은 글꼴 문제 때문인지 특수문자가 깨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

폴란드 지명 Podhale는 ‘포드할레’일까, ‘포트할레’일까? 더 보기 »

프랑스어 이름 Brian도 ‘브리앙’이 아니라 ‘브라이언’이다

유명한 프랑스 피겨스케이팅 선수로 2007년 세계선수권 우승자인 Brian Joubert가 있다. 언론과 방송에서 쓴 한글 표기를 살펴보면 ‘브리앙 쥬베르’, ‘브라이언 쥬베르’, ‘브라이언 주베르’ 등 다양한데 어느 것이 맞을까? 프랑스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브라이언 주베르 일단 Joubert [ʒubɛːʁ]는 ‘주베르’로 표기하는 것이 맞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쟈, 져, 죠, 쥬, 챠, 쳐, 쵸, 츄’ 등의 표기를 쓰지 않는다. ‘텔레비젼’이 아니라 …

프랑스어 이름 Brian도 ‘브리앙’이 아니라 ‘브라이언’이다 더 보기 »

한글을 창제하자마자 외래어 표기법을 정리하고자 했던 세종 대왕

1446년 훈민정음을 반포한 세종 대왕은 신숙주, 최항, 성삼문, 박팽년 등의 집현전 학자들에게 한국의 한자음을 바로잡기 위해 음운서를 편찬하라는 명을 내린다. 이렇게 해서 1448년 반포된 한국 최초의 음운서가 바로 《동국정운(東國正韻)》이다. 동국, 즉 한국의 바른 운을 제시한다는 뜻에서 이름이 지어졌다. 어떤 이는 이 《동국정운》의 편찬을 두고 결국 훈민정음은 한자음을 바로잡기 위해서 창제한 것이 아니냐는 말도 한다. 거기까지는 모르겠지만 중국의 음운학에 …

한글을 창제하자마자 외래어 표기법을 정리하고자 했던 세종 대왕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