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h no! 영어 이중모음 [ou]의 표기

외래어 표기법의 영어 표기 세칙은 [ou]를 ‘오’로 적도록 하고 있고 boat [bout]를 ‘보트’로 적는 것을 예로 들고 있다. 발음이 [ou]라면 왜 ‘오우’가 아닌 ‘오’로 적도록 한 것일까?

국립국어원의 정희원이 쓴 “영어 모음의 외래어 표기“에 나오는 설명을 보자.

[ou]를 ‘오’로 적는 것은 ‘오우’로 적는 것보다 영어의 본래 발음에 가깝기 때문이다. 영어에서 [ou]의 [u]는 일종의 과도음으로 음성학적으로는 [o]를 발음한 상태에서 입술 모양만을 [u]로 바꾸면서 소리를 내는 것으로 [o]와 [u]의 결합이라기보다는 [o]의 장음과 비슷한 음가를 지니고 있다.

보통 영어를 듣고 적을 때 [ou]를 이중모음으로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오’로 많이 적는 것을 보면 어느정도 납득이 가는 설명이다. Cola는 ‘콜라’로 적고, note는 ‘노트’라고 보통 적지 않는가? 하지만 뭔가 부족한 느낌이 있다. 영어의 다른 이중모음도 끝부분이 과도음인 것은 마찬가지이고(그래서 영어의 이중모음을 ‘falling diphthong’이라고 한다) ‘오’가 ‘오우’보다 본래 발음에 가깝다는 것은 주관적인 판단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그래서 영어의 이중모음 [ou]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국제 음성 기호” 글에서 설명했듯이 [ou]는 구식 표기로 요즘은 표준 영국 발음을 나타낼 때는 [əʊ], 표준 미국 발음을 나타낼 때는 [oʊ]라고 적고 있다. 이 글에서는 편의상 표준 영국 발음과 표준 미국 발음을 통틀어서 다룰 때는 발음을 [oʊ]라고 적고, 이렇게 발음되는 음소는 /ou/라고 부르기로 한다. 원래 이중모음을 국제 음성 기호로 표기할 때에는 더 약한 부분 밑에 <  ̯> 기호를 붙여 [oʊ̯]와 같이 적어야 하지만, 이 글에서는 편의상 모두 생략하고 [oʊ]와 같이 적는다. 이중모음에 대응되는 용어는 보통 ‘단모음(單母音)’이지만 모음의 길이가 짧다는 뜻의 단모음(短母音)으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혼동을 피하기 위해 ‘단순모음’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원래 이중모음은 국제 음성 기호로 표기할 때 더 약한 부분 밑에 <  ̯> 기호를 붙인다.

2023. 8. 4. 추가 내용: 요즘 쓰는 글에서는 영어의 이 모음은 GOAT 모음이라고 부르고 원칙대로 [oʊ̯]와 같이 쓰며 음소로도 /oʊ̯/로 쓴다.

이중모음 /ou/의 역사

오늘날 영어에서 쓰는 이중모음 /ou/는 원래 중세 영어(Middle English)에서는 두 가지 다른 모음이었던 것이 합쳐진 것이다. 지금은 stone [stoʊn]의 모음과 know [noʊ]의 모음이 둘 다 [oʊ]이지만 1400년경 중세 영어에서는 stone이 [stɔːn]으로, know가 [nɔu]로 발음되어 각각 다른 모음을 썼다. 보통 철자가 oa, oe, oCe인 단어(C는 자음을 나타냄)는 본래 stone과 같은 모음이었고, ou, ow인 단어는 know와 같은 모음이었다. 물론 [ɔː]와 [ɔu]는 후대의 학자들이 재구성한 발음이다. 여기서는 영어판 위키백과에 근거하여 /ou/의 역사를 설명하겠다.

중세 영어의 모음은 오늘날과 비교했을 때 비교적 철자에 가깝게 발음되었다. 하지만 중세 영어의 모음 체계는 대모음추이(Great Vowel Shift)라는 대변혁을 겪는다. 중세 영어의 장모음의 발음 위치가 연쇄적으로 상승한 것이다. 그래서 stone의 [ɔː] 모음은 [oː]로 상승하였고, [oː]로 발음되던 moon의 모음은 [uː]로 상승하였다. 한편 대모음추이와 비슷한 시기 know의 이중 모음 [ɔu]도 [ou]로 선행 요소가 상승하였다.

그러다가 1700년경에는 know의 [ou]가 단순모음화하여 [oː]로 변화한 stone의 모음과 합쳐졌다. 이것을 toe-tow 융합(merger)이라고도 하는데, 중세 영어에서 각각 [tɔː]와 [tɔu]로 발음이 구별되던 toe와 tow가 발음이 [tɔː]로 합쳐졌기 때문이다.

1800년경에는 다시 이 [oː]가 이중모음화하여 [oːu]가 되었다. 비슷한 시기 같은 중고 장모음인 [eː]도 [eɪ]로 이중모음화했으므로 이 두 현상을 묶어 ‘장음 중모음 이중모음화(long mid diphthonging)’라고 부르기도 한다. [oːu]는 다시 바뀌어 1900년경에는 영국이나 미국이나 /ou/를 [oʊ]로 발음하게 되었다.

표준 영국 발음의 /ou/는 계속해서 변화를 겪고…

미국 영어 표준 발음(General American)의 /ou/는 오늘날에도 대체로 [oʊ]로 발음된다고 본다. 하지만 영국 영어 표준 발음(Received Pronunciation)에서는 20세기에 /ou/의 발음이 또 바뀌어 미국 발음과 달라졌다.

오늘날 널리 쓰이는 표준 영국 영어의 국제 음성 기호 표기는 앨프리드 C. 김슨(Alfred C. Gimson)이 1960년대에 정립했다. 김슨은 표준 영국 영어의 현실 발음이 바뀐 것을 반영하여 /ou/를 [əʊ]로 표기했다. /ou/의 선행 요소가 현실에서 더이상 원순 후설모음이 아니라 비원순 중설모음으로 옮겨왔기 때문이다.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이하 LPD)의 편집자인 존 C. 웰스(John C. Wells)는 그동안 영어의 국제 음성 기호 표기에서 [ə]가 강세가 없는 모음이나 [ɪə, ʊə] 등의 이중모음에서 강세를 받지 않는 요소에만 사용되었으므로 [əʊ]에서처럼 이중모음에서 강세를 받는 부분에 이 기호를 사용하는 것은 혼동의 소지가 있다는 주장을 한 바가 있다(웰스의 개인 블로그 참고). 웰스는 /ou/의 영국 표준 발음은 [ɜʊ]로 표기하거나 차라리 현실 발음과는 차이가 있더라도 미국 표준 발음에서처럼 [oʊ]로 표기하는 것이 더 나았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한다. 하지만 웰스도 [əʊ]가 학계의 표준 표기가 된 것을 인정해 LPD를 비롯한 그의 저서에서 /ou/를 [əʊ]로 쓰고 있다.

스코틀랜드 영어와 아일랜드 일부에서 /ou/는 이중모음이 아니다

지금까지 표준 영국 발음과 표준 미국 발음만 다뤘는데 그 외의 나라라든지 영국과 미국의 각 지방에서 쓰는 발음까지 살펴보면 /ou/는 꽤 다양하게 발음된다. 특히 /ou/가 이중모음이 아닌 단순모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스코틀랜드 영어와 아일랜드 영어이다.

“Learn the Scottish Accent – Lesson 2″라는 재미있는 동영상이 있어서 소개한다. 스코틀랜드 사람이 스코틀랜드 억양으로 모음 발음하는 법을 가르치는 동영상인데, /ou/는 A, E, I, O, U 가운데 네 번째 모음으로 소개한다. 이중모음이 아닌 단순모음 [o]라고 발음하는 것을 분명히 들을 수 있다.

원문에서 링크했던 동영상은 더이상 볼 수 없기 때문에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억양을 소개하는 아래 동영상으로 대체한다. 3분 32초경부터 표준 영국 영어와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억양의 /oʊ̯/ 발음을 비교한다.

외부인이 볼 때 스코틀랜드 억양의 큰 특징 중 하나가 /ou/가 단순모음 [o]로 발음된다는 것이 아닐까 할 정도이니 이는 예전에도 대충 알고 있던 사실이다. 그런데 아일랜드 영어에서도 /ou/는 단순모음인 [oː]로 발음된다는 자료를 찾은 것은 조금 뜻밖이었다.

내가 지금까지 들었던 아일랜드 영어에서는 그런 발음을 눈치챈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더 자세히 알아보니 지역에 따라 /ou/가 단순모음으로 발음되는 곳도 있고 이중모음으로 발음되는 곳도 있었다.

독일 뒤스부르크에센 대학 홈페이지 가운데 “The Phonology of Irish English“라는 문서에 아일랜드 영어에서 /ou/의 발음이 다음과 같이 자세히 나와있다.

  • 북부 농촌 발음(Rural Northern) [ɔʊ, oː]
  • 더블린 일반 대중 발음(Popular Dublin) [ʌɔ]
  • 더블린 유행 따르는 발음(Fashionable Dublin) [əʊ]
  • 남서부·서부 농촌 발음(Rural South-West/West) [oː]
  • 남부 초지역적 발음(Supraregional Southern) [əʊ, oʊ]

결국 남서부와 서부의 농촌과 북부 농촌의 일부에서 /ou/를 단순모음 [oː]로 발음하고 있고, 도시인 더블린은 물론 남부에서 지역색이 없는 발음에서도 정확한 발음은 다양하지만 이중모음으로 발음한다는 것이다. 그러니 아일랜드에서도 시골 사람들이 아니면 /ou/를 단순모음 [oː]로 발음하는 것은 듣기 어려울 것이다.

다양한 영어 발음

아일랜드 영어의 예에서 볼 수 있듯 사실 지역마다 쓰는 영어 발음의 차이를 따지면 매우 복잡해진다. 이에 대해 더 배우고 싶으면 “Sound Comparisons“라는 웹사이트에 가보라. 몇몇 기본 단어에 대해 여러 지역에서 쓰는 발음을 국제 음성 기호로 표기하고 있으며 대부분 음성 파일까지 제공하고 있다. /ou/가 들어가는 단어는 bone, cold, holy, home, oak, open, over, snow, stone, toe 등이 있다. 아래는 toe의 발음을 보여주는 표의 일부.

Sound Comparisons“에 나오는 toe의 발음을 보여주는 표의 일부

영국 표준 발음은 /ou/를 이중모음으로 발음하지만 잉글랜드 방언 가운데도 /ou/를 단순모음으로 발음하는 곳이 꽤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toe-tow 융합이 나타나지 않는 방언도 꽤 있다. 대표적인 것이 웨일스 영어이다. 웨일스에서는 toe를 [toː]로, tow를 [tou]로 발음하여 구별한다. 중세 영어 때의 구별이 웨일스 영어에는 남아있는 것이다. 웨일스 영어에서는 또 moan과 mown, groan과 grown, sole과 soul, throne과 thrown의 발음이 구별되어 전자에는 단순모음 [oː]를, 후자에는 이중모음 [ou]를 쓴다. 이외에도 toe 계열과 tow 계열에 조금씩 다른 이중모음을 써서 구별하는 방언도 있다고 한다.

외래어 표기법에서 쓰는 영어 발음 표기에서는 이 모든 가능한 발음을 대표하여 [ou]라고 적고 있지만 이는 [oʊ], [əʊ], [oː], [ʌʊ] 등 여러가지 가능한 발음을 임의로 단순화시킨 것일 뿐이다. 마찬가지로 한글 표기도 원 발음에 가깝게 한다고 방언마다 ‘오우’, ‘오’, ‘어우’, ‘어오’, ‘외위’ 등으로 다르게 적는 대신 ‘오’를 대표로 정했을 뿐이다. ‘오우’라고 쓰면 몇몇 방언에서 쓰는 발음에 더 가까워질 수는 있지만 모든 가능한 발음과 비슷하게 되지는 않는다. 이는 ‘오’로 써도 마찬가지이다.

단어별로 /ou/와 다른 모음이 혼용되는 경우

영어의 /ou/는 ‘o’ 계열 음소 가운데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영어에서 hot, stop 등의 단어에 등장하는 모음도 ‘o’ 계열 음소이다. 이 모음의 표준 영국 발음은 [ɒ], 표준 미국 발음은 [ɑ(ː)]이다. 이 음소를 편의상 /ɒ/로 쓰도록 하자. 이 모음은 외래어 표기법에서 ‘오’로 적도록 되어 있다. ‘밥 딜런(Bob Dylan)’처럼 미국인 이름을 쓸 때는 미국식 발음대로 ‘아’로 적는 때도 있지만. 영어에서는 /ɒ/를 ‘short O’, /ou/를 ‘long O’라고 부르기도 한다.

같은 단어도 어떤 사람은 모음을 /ou/로 발음하고 다른 이들은 /ɒ/로 발음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프로세스’의 원어 process를 살펴보자. 첫 모음은 /ou/로 발음하기도 하고 /ɒ/로 발음하기도 한다. 영국식 발음에서는 /ou/가 우세하지만 미국식 발음에서는 /ɒ/가 우세하다. 만약 /ou/를 ‘오우’로 적고 /ɒ/를 ‘오’로 적기로 했다면 ‘프로우세스’로 적을지 ‘프로세스’로 적을지 고민해야 할 것이다. 반대로 produce라는 단어가 명사로 쓰일 때는 영국식으로는 첫 모음을 /ɒ/로 발음하지만 미국식으로는 첫 모음을 /ou/로 발음하는 것이 우세하다. /ou/도 ‘오’로 적음으로써 /ɒ/와 표기를 통일하면 깔끔하게 해결된다.

Kosovo의 첫 모음처럼 외래어에서 원 모음이 [o]이나 [ɔ]인 경우와 trophic과 같은 생소한 단어일수록 o를 /ou/로 발음할지, /ɒ/로 발음할지에 대한 혼동이 더 커진다. 이런 혼동은 인명이나 지명에서 특히 심하다. 외래어 표기법은 인명이나 지명 같은 고유 명사에 적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고 고유 명사의 발음 정보는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을 감안하면 사소한 문제가 아니다. 예를 들어 Conan이란 인명에서 첫 모음은 /ou/로 발음되기도 하고, /ɒ/로 발음되기도 한다. 이런 경우 /ou/를 ‘오’로 적기로 하면 발음을 따질 필요 없이 ‘코넌’으로 표기를 통일하면 된다.

미국 표준 발음에서 /ou/는 r 앞의 [ɔː] 발음 대신 쓰이기도 한다. Flora라는 이름은 [ˈflɔːrə]가 될 수도 있고 [ˈfloʊrə]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도 /ou/를 ‘오’로 적어 ‘플로라’로 표기를 통일하면 그만이다.

2023. 8. 4. 추가 내용: 미국 발음에서 Flora를 [ˈfloʊrə]로 발음할 수도 있다는 말은 이른바 NORTH 모음이 아닌 FORCE 모음으로 구별하는 화자도 있다는 말인데 오늘날 상당히 드물고 거의 모든 이들이 [ˈflɔːɹ.ə] 로 발음한다. 영어에서는 원래 짧은 모음 /ɒ/가 r 앞에 올 때의 NORTH 모음과 /oʊ̯/가 r 앞에 올 때의 FORCE 모음을 구별했는데 오늘날에는 구별 없이 보통 둘 다 [ɔːɹ]로 발음한다. FORCE 모음이 구별된 발음은 [oə], [ɔə], [ɔɚ], [oɚ] 등 다양하게 나타냈는데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에서는 그냥 [oʊ(r)]로 나타냈기 때문에 원문에서는 이 설명을 따랐다. 이 사전에서는 미국 발음에서 FORCE 모음이 구별된 발음을 가능 발음으로 제시하였다. 하지만 [oʊ(r)]로 적은 것은 기존 발음 기호로 흔하지 않은 이 구별을 나타내기 위해 고른 방식이니 실제 발음과 딱히 가깝지는 않을 수 있다.

이처럼 /ou/를 ‘오’로 표기하도록 한 것은 지극히 현실적인 이유도 있는 것이다.

단순히 /ou/가 ‘오’의 장모음 가깝게 들린다고 해서 ‘오’로 적는 것은 이유가 좀 약하지만 역사적으로 단순모음이었고, 아직도 일부 주요 방언에서 단순모음으로 발음하며, 더구나 ‘오’로 적는 것이 /ou/와 /ɒ/, /ɔː/ 등의 발음이 혼용되는 경우에 가장 깔끔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까지 생각하면 /ou/를 ‘오’로 적는 것이 최선이라는데 수긍이 갈 것이다.

영어의 ou, ow를 ‘오우’로 적는 문제

그런데도 현실적으로는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냥 o만 있으면 go는 ‘고’, stone은 ‘스톤’으로 잘 적으면서 soul은 ‘소울’, rainbow는 ‘레인보우’, window는 ‘윈도우’로 적는 일이 많다. 철자의 ou와 ow에 이끌려서 그런 것이다. 하지만 웨일스 영어를 포함한 극히 소수의 방언을 제외하고는 그런 단어의 모음과 go, stone 등의 모음이 똑같으니 그렇게 한글 표기를 구별할 이유가 없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솔’, ‘레인보’, ‘윈도’ 등으로 적어야 한다.

엉뚱하게도 단순모음 [ɔː]로 발음되는 aw마저 w라는 철자의 영향으로 ‘오우’로 적는 일도 보게 된다. 영화 제목 Saw의 한글 표기를 ‘쏘우’로 정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소’이니 이를 그대로 쓰지 않은 것은 이해가 되지만, 틀린 표기를 쓰기보다는 ‘쇠톱’과 같은 한국어 제목을 붙이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부록: 세계 언어의 [ou] 계열 이중모음 열전

포르투갈어의 ou 표기

영어의 /ou/와 비슷한 이중모음은 포르투갈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외래어 표기법의 포르투갈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를 보면 이중모음 ou는 ‘오’로 적도록 하고 있으며 Lousã은 ‘로장’, Mogadouro는 ‘모가도루’로 적는 것을 예로 들고 있다.

포르투갈어의 ou는 [ou]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영어판 위키백과에 따르면 다수의 화자들의 [ou]는 [o]와 합쳐진다고 한다. 특히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무강세 음절의 ou가 [o]로 발음된다고 한다. 이런 이유로 인해 포르투갈어의 ou 역시 ‘오’로 적는 것이다.

대신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한해 ‘오우’라는 표기가 등장하기도 한다.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어말과 자음 앞의 l이 모음화하여 [u]가 되었기 때문에 종래의 ou와는 관계가 없는 새로운 이중모음 [ou]와 [ɔu]가 생겼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브라질 이름에 한해 어말과 자음 앞의 l을 ‘우’로 적도록 하고 있어 Caracol가 브라질 이름이라면 ‘카라코우’로 적어야 한다.

2023. 8. 4. 추가 내용: 포르투갈어의 ou [o(u̯)]는 음운론적으로는 /o/와 /w/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모음 /u/가 음절성을 잃은 것이므로 여전히 /u/로 적을 수도 있겠지만 이중모음의 활음부를 구성하는 음은 흔히 반모음으로 취급한다). 영어의 이중모음은 단일 음소이지만 포르투갈어의 ou는 두 음소의 결합이라서 음성학적으로는 이중모음이더라도 음운론적으로는 이중모음이 아니라 두 모음이 연속된 것이다. au /aw/ ‘아우’, éu /ɛw/ ‘에우’, eu /ew/ ‘에우’, iu /iw/ ‘이우’ 등 모든 모음과 /w/의 결합이 가능하니 원칙적으로 /w/는 ‘우’로 표기를 통일할 수 있겠지만 ou /o(w)/에서는 /w/가 흔히 탈락하여 /o/와 합치기 때문에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오’로 적는 것이다.

네덜란드어의 oo 표기

네덜란드어의 oo는 네덜란드식 발음에서는 이중모음 [oʊ]로 실현되고 벨기에식 발음에서는 [oː]로 실현된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이것도 ‘오’로 적도록 하고 있다. 네덜란드어의 ee의 경우 네덜란드에서는 [eɪ]로, 벨기에에서는 [eː]로 실현되는데 ‘에이’로 적게 한 것, 또 반대로 eu의 경우 네덜란드에서는 [øʏ]로, 벨기에에서는 [øː]로 실현되는데 ‘외’로 적게 한 것과 비교하면 흥미롭다.

네덜란드어의 ou는 네덜란드식 발음으로는 [ʌʊ] 내지 [aʊ], 벨기에식 발음에서는 [ɔʊ] 내지 [ɔː]로 실현되는데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네덜란드식 발음에 가깝게 ‘아우’로 적도록 하고 있다.

2023. 8. 4. 추가 내용: 네덜란드어의 /oː/는 철자 oo로 나타내기도 하고 grote [ˈɣroːtə] ‘흐로터’에서와 같이 자음 한 자와 모음이 따를 때는 그냥 철자 o로 나타낸다. 네덜란드어 음운론에서는 장모음으로 흔히 분류되는 /oː/ [oː~oʊ̯], /eː/ [eː~eɪ̯], /øː/ [øː~øʏ̯]는 각각 한 음소이다. 이중모음으로 분류되는 ou /ʌu̯/ [ʌʊ̯~aʊ̯~ɔʊ̯~ɔː] 역시 단일 음소이다(실제 발음에서는 방언에 따라 /oː, eː, øː/도 이중모음으로 발음될 수 있고 /ʌu̯/도 벨기에 일부 발음에서 [ɔː]로 단순모음화할 수 있지만 네덜란드어 음운론에서는 통상적으로 전자는 장모음, 후자는 이중모음으로 분류한다). 요즘 생각을 정리하자면 [ou] 비슷하게 발음되는 모음이 해당 언어에서 단일 음소를 나타내고 단순모음으로 발음될 수 있거나 앞뒤 음가의 차이가 크지 않은 이중모음일 경우 ‘오’로 적는 것이 좋겠다는 것이다. 이는 네덜란드어 /oː/ [oː~oʊ̯]를 ‘오’로 적는 근거가 된다.

에스파냐어, 체코어, 루마니아어의 ou 표기

한편 외래어 표기법에서 다루는 언어 가운데는 ou라는 철자에 대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것도 있다. 이는 ‘오우’로 적으라는 암묵적인 규칙으로 받아들이면 될 것이다.

에스파냐어(스페인어)의 ou는 이중모음 [ou]이고 체코어의 ou는 이중모음 [ou], 루마니아어의 ou는 이중모음 [ou]를 나타낸다. 이들 모두 ‘오우’로 쓴다고 하면 에스파냐어의 bou는 ‘보우’, 체코어의 koule는 ‘코울레’, 루마니아의 nou는 ‘노우’가 된다.

2023. 8. 4. 추가 내용: 에스파냐어 토박이말에서는 ou가 Estados Unidos에 접미사 -ense가 붙은 형용사형인 estadounidense [esˌtadouniˈdense] ‘에스타도우니덴세’에서처럼 음소 /o/와 /u/의 결합일 때만 나타난다. 그러니 음성학적으로는 이중모음으로 발음될 수 있더라도 영어에서와 달리 단일 음소를 나타내지 않는다. 에스파냐어의 bou는 카탈루냐어에서 차용한 말이다. 또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이름인 Lourdes [ˈluɾð̞es] ‘루르데스’에서처럼 에스파냐어의 철자 ou는 [u]를 나타내는 경우도 많다. 체코어에서 ou는 koule에서처럼 단일 음소인 이중모음 /ou̯/를 나타낼 수도 있지만 po- +‎ užívat로 이루어진 používat [ˈpoʔuʒiːvat] ‘포우지바트’에서처럼 /o/와 /u/ 음소가 결합한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방언에 따라 성문 폐쇄음 [ʔ]를 둘 사이에 삽입하는 일이 많다. 체코어의 ou가 단일 음소만 나타낸다면 ‘오’로 적는 것도 고려할 수 있겠지만 두 음소의 조합인 경우도 있으므로 계속 ‘오우’로 적는 것이 좋겠다. 한편 루마니아어의 ou [ou̯]는 음운론적으로 /o/ 뒤에 반모음 /w/가 붙은 /ow/로 분석하며 au /aw/ ‘아우’, eu /ew/ ‘에우’, iu /iw/ ‘이우’, âu /ɨw/ ‘으우’ 등 모든 모음과 /w/의 결합이 가능하니 /w/는 ‘우’로 통일하여 계속 ‘오우’로 적는 것이 낫다.

외래어 표기법에서 다루지 않는 언어의 경우

이렇듯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언어에 따라 /ou/ 계열의 이중모음을 ‘오’로 적기도 하고 ‘오우’로 적기도 하니 외래어 표기법에서 다루지 않는 언어의 경우는 어느 쪽을 따라야 할지 결정하기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카탈루냐어의 ou [ou]는 에스파냐어처럼 ‘오우’로 적어야 할까? 아니면 포르투갈어처럼 ‘오’로 적어야 할까? 둘 다 일리가 있는 선택이다. 하지만 카탈루냐어 발음은 워낙 잘못 알려진 것이 많아 다른 부분부터 제대로 고치는 것이 시급하다(이 문제 때문에 예전에 나름대로 카탈루냐어 한글 표기 원칙을 세운 적이 있다). FC 바르셀로나의 구장인 Camp Nou [kam nɔu]는 ‘캄 노우’ 또는 ‘캄 노’가 되겠지만 발음을 잘못 안 ‘캄프 누’라고 흔히 표기하고 있다. 일단 카탈루냐어 사용지역은 대부분 에스파냐어 사용지역과 겹치므로 에스파냐어로 잘못 아는 수가 많다는 것을 생각할 때 에스파냐어처럼 ou는 ‘오우’로 적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2023. 8. 4. 추가 내용: 카탈루냐어의 ou는 낱말에 따라 /ɔw/ [ɔu̯] 또는 /ow/ [ou̯]를 나타내며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에스파냐어에서처럼 모음 음소와 /w/의 결합이다(원문에서는 카탈루냐어 nou의 발음을 [nou]로 잘못 썼지만 [nɔu̯]가 맞다). 따라서 /w/의 표기를 ‘우’로 통일할 수 있다. 포르투갈어와 달리 이 음이 탈락하는 경우는 없으므로 카탈루냐어의 ou는 ‘오우’로 적는다.

일반적으로 외래어 표기법에서 다루지 않는 언어에서 /ou/ 계열 이중모음이 철자 ou로 나타나는 경우는 ‘오우’로 적는 것이 나을 것이다. 이런 언어는 발음에 대한 정보를 찾기 힘들어 철자대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핀란드어의 koulu에 나오는 ou는 [ou]로 발음되는 이중모음이지만, 핀란드어의 발음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이게 이중모음인지 [o]와 [u] 발음이 독립되어 발음되는 것인지 알 길이 없다. 그러면 ‘코울루’라고 적기 쉽다. 이런 경우는 쉬운 쪽을 따르는 것이 좋다.

2023. 8. 4. 추가 내용: 핀란드어의 au [ɑu̯] ‘아우’, eu [eu̯] ‘에우’, iu [iu̯] ‘이우’, ou [ɑu̯] 등은 보통 각각 /ɑ/, /e/, /i/, /o/가 /u/가 결합한 두 모음 음소의 조합으로 분석한다. 핀란드어의 ou는 /o/와 /u/의 조합이니 ‘오우’로 적는다.

쉬운 쪽을 따르는 논리를 적용하면 아이슬란드어와 페로어의 /ou/ 계열 이중모음은 ‘오’로 표기하는 것이 낫다. 아이슬란드어와 페로어에서 이 이중모음은 ó라는 철자로 쓰기 때문이다. 아이슬란드어의 ó는 [ou(ː)], 페로어의 긴 ó는 [ɔuː]로 발음된다. 아이슬란드어와 페로어의 발음에 대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는 ó를 ‘오’로 표기하기 쉽고, 더구나 악센트 표시를 생략한 경우에는 o와 구별할 수 없으니 ‘오’로 표기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아이슬란드 밴드 Sigur Rós [ˈsɪːɣʏr rouːs]를 한글로 표기할 때 앞의 Sigur는 ‘시규어’, ‘시겨’, ‘시어’ 등 수많은 표기를 보았지만 뒤의 Rós는 대체로 ‘로스’로 통일하고 있다. 나는 아이슬란드어 한글 표기 원칙도 나름대로 세워본 적이 있는데 이에 따르면 Sigur Rós의 한글 표기는 ‘시귀르 로스’이다.

2023. 8. 4. 추가 내용: 아이슬란드어의 ó는 짧은 음으로는 /ou/, 긴 음으로는 /ouː/를 나타낸다. 페로어의 ó는 짧은 음으로는 /œ/, 긴 음으로는 /ɔuː/를 나타낸다. 이들은 각각 단일 음소이니 앞서 언급한 원칙에 따라 ‘오’로 적는 것이 좋을 것이다.

아프리칸스어의 ou는 좀더 복잡한 경우이지만 ‘오’로 적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가장 비슷한 언어인 네덜란드어의 ou는 ‘아우’로 적게 되어 있지만, 아프리칸스어의 ou는 발음이 네덜란드어와 다르다. 아프리칸스어의 ou의 발음은 [əu]라고 쓰기도 하고 [œu]라고 쓰기도 한다. 이렇게 써놓으면 얼핏 /ou/와는 상관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ou/의 표준 영국 발음인 [əʊ]와 크게 다르지 않다.

아프리칸스어 사용지역에서는 대부분 영어도 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영어에서는 /ou/가 [əʉ]로 발음되어 아프리칸스어의 ou와 발음이 꽤 가깝다. 그래서 아프리칸스어의 ou는 영어로 발음할 때 /ou/로 옮긴다. 그러니 아프리칸스어의 ou도 영어의 /ou/처럼 ‘오’로 적는 것이 좋을 것이다.

아프리칸스어의 ou는 드물게 au라는 철자로 쓰기도 한다. 네덜란드어에서도 au와 ou의 발음이 같은데 아프리칸스어에서는 발음에 따라 철자를 단순화시켰기 때문에 네덜란드어에서 au를 쓰는 단어는 아프리칸스어에서 보통 ou를 쓰고 au라는 철자는 일부 단어에만 남아있다.

토크쇼 ‘미녀들의 수다’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패널이 ‘오빠’는 아프리칸스어로 ‘할아버지’를 뜻하는 말과 소리가 같다고 한 적이 있다.

‘미녀들의 수다’에서 ‘오빠’는 아프리칸스어로 ‘할아버지’란 뜻이라고 한 장면(출처)

아프리칸스어에서 할아버지에 해당하는 말은 oupa이다. 이 남아공 패널도 한국어의 ‘오’가 아프리칸스어의 ou에 해당하는 발음이라고 인식한 것이다.

공유하기

“Oh no! 영어 이중모음 [ou]의 표기”에 대한 1개의 생각

  1. 핑백: 아이슬란드 총리 요한나 시귀르다르도티르(Jóhanna Sigurðardóttir) – 끝소리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