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세계에서 가장 독특한 언어, 피라항어(Pirahã)

전세계 언어의 다양성에 웬만큼 익숙한 이들에게도 ‘언어란 이런 것이다’라는 고정관념을 깨뜨려주는 언어가 있다. 브라질 중부 아마존 밀림 한가운데 마이시(Maici)강 유역에 사는 수렵채집인들인 피라항족이 쓰는 언어가 그것이다. 피라항어에는 색이나 숫자를 나타내는 단어가 없고 인칭대명사는 아마존 유역에서 여러 집단들이 서로 소통할 때 쓰는 언어인 녜엥가투어(Nheengatu)에서 모조리 빌려온 듯하다. 피라항족 남성들은 밀림에서 사냥을 할 때 휘파람을 통해 “말”을 […]

,

Donald Knuth는 ‘커누스’일까, ‘크누스’일까?

저명한 컴퓨터 과학자 Donald Knuth는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의 저자이고 TeX 조판 시스템을 만든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 이름의 한글 표기를 놓고 많은 혼란이 있다. 그의 개인 홈페이지에 실린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답에서 Knuth는 ‘Ka-NOOTH’라고 발음한다고 밝혔는데, 이를 어떻게 해석하느냐를 놓고 의견이 분분한 것 같다. 도널드 커누스 (사진 출처)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을

, , , ,

제83차 외래어심의위 심의 결과

국립국어원 게시판에서: 제83차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 심의 결과 국립국어원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는 2009년 3월 25일 낮 12시 한국프레스센터 제83차 심의위원회를 열고, 지난 1월에 출범한 미국 오바마 정권의 내무, 상무장관 등 내각과 미국 환경보호국(EPA)국장, 무역대표부(USTR)대표 등 각료급 10여 명의 이름을 포함한 총 43개의 외국 인·지명의 우리말 표기를 심의, 결정했다. 특히, 심의회에서는 변경된 몰도바의 수도명과 타이 방콕 국제공항

, , , , , , , , , , , ,

라후어는 정말 한국어와 닮았을까?

태국 高山지대의 라후族에게 한글을 보급하다(이현복 서울대 명예교수 2004)에서 트랙백. 라후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의 미얀마(버마), 태국(타이), 라오스, 베트남에 사는 소수 민족이다. 그런데 이들의 풍습이나 언어가 한국과 유사하다며 당나라에 끌려간 고구려 유민의 후손이 아닐까 추측하는 이들이 있다. 궁금하시면 위의 글을 읽어보시길. 라후족의 모습 (사진 출처) 나도 중학생 때 태국 치앙라이의 라후족 마을에 가본 적이 있는데 이런 주장을

, , , ,

북유럽 신화의 언어, 고대 노르드어

궁그닐이냐, 궁니르냐…에서 트랙백.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오딘의 창 gungnir를 한글로 어떻게 표기하느냐는 문제가 계기가 되어 고대 노르드어의 한글 표기에 대한 글을 준비했다. 다룰 내용이 많아 글이 매우 길어진 것에 대해 양해를 구한다. 게르만 신화 가운데 가장 잘 보존된 북유럽 신화 어렸을 적에 그리스 로마 신화를 다룬 책은 많이 봤는데 북유럽 신화는 거의 접하지 못했다. 그러다

, , , , , , , ,

‘ㅟ+ㅓ’의 준말은 어떻게 표기할까?

한글에 대한 여러 생각에서 오늘날 쓰는 한글 자모 가운데 ‘ㅟ+ㅓ’를 한 음절로 발음하는 소리를 표기할만한 것이 없다는 얘기를 했다. ‘바뀌어’, ‘쉬어’ 등의 준말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배주채의 《한국어의 발음》에서는 옛 자모를 활용하여 이 소리를 ‘ㆊ’로 적을 것을 제안했다는 것도 언급했다. 그러자 Puzzlet C.님께서 2000년에 한글 학회의 학회지에도 이 문제를 다룬 글이 실렸다는 제보를 해주셨다. 조규태의

,

한글에 대한 여러 생각

지난번에 쓴 한글에 대한 낚시성 펌글 분석에 대한 반응이 예상 외로 뜨거워서 개인적인 사정으로 블로그를 확인하지 못하는 사이에도 많은 덧글이 달렸다. 답글을 대신해서 덧글에서 언급된 몇몇 주제에 관해 새로이 글을 쓴다. 그냥 평소의 개인적인 의견을 정리해놓은 것임을 밝힌다. 언어에는 우열이 없다 우선 답글 가운데 미소짓는독사님의 말씀대로 언어에 있어서 우열은 없다고 본다. 이 시각이 얼마나 받아들여질지는 모르겠다. 인류의

, , , , ,

한글에 대한 낚시성 펌글 분석

UN지정- 제3세계에서 가르치는 한글에서 트랙백 인터넷에 떠도는 글 가운데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것들을 가끔 볼 수 있다. 그런데 아쉬운 것은 그런 글의 상당수가 확인이 안 된 내용과 사실과 다른 주장으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이다. 한글이 세계의 언어학자들이 인정하는 독창적이고 훌륭한 문자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런데 사실 한글이 왜 그렇게 우수한지를 이해하려면 어느정도 언어학적 지식이 필요하다. 예를

, , , ,

스위스에서 쓰는 독일어

영국의 음성학자 존 웰스(John Wells)의 블로그 2월 23일 글에서 스위스의 크슈타트(Gstaad)라는 독일어 지명의 발음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크슈타트는 스위스 남서부에 있는 마을로 베른주의 자넨(Saanen)군에 속하는 일류 스키 휴양지이다. 크슈타트 웰스의 글은 영국 《가디언》 지 기자인 사이먼 호거트(Simon Hoggart)가 크슈타트의 발음을 잘못 설명한 것에 관한 것이다. You pronounce it ‘Shtard, with just a tiny pause before the

, , , ,

파리의 Tuileries 정원은 ‘튈르리’? ‘튀일리’?

튀일리 정원(Jardins des Tuileries)은 베르사유 궁전의 조경을 담당했던 앙드레 르노트르(André Le Notre)가 1664년 설계하였으며 오늘날 파리 시민들의 휴식처이자 파리가 자랑하는 관광 명소이다. 아돌프 폰 멘첼(Adolph von Menzel)의 《튀일리 정원에서의 오후(Nachmittag im Tuileriengarten)》 이 정원은 튀일리 궁전(Palais des Tuileries)에서 이름을 따왔다. 1559년 앙리 2세가 죽은 후 섭정이 된 왕비 카트린 드메디시스(Catherine de Médicis,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 출신)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