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ādī, (ʾAbū Muḥammad Mūsā) al- 하디, (아부무함마드 무사)
(Abu Muhammad Musa al-Hadi) 서남아시아,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이라크 인물 문어체 아랍어(설명): أبو محمد موسى الهادي 아바스 왕조 칼리프(764~786). 재위 785~786.
-->
(Abu Muhammad Musa al-Hadi) 서남아시아,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이라크 인물 문어체 아랍어(설명): أبو محمد موسى الهادي 아바스 왕조 칼리프(764~786). 재위 785~786.
(Harun al-Rashid) 서남아시아,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시리아 인물 문어체 아랍어(설명): هارون الرشيد 아바스 왕조 칼리프(766~809). 재위 786~809.
(Muhammad ibn Musa Khwarazmi)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인물 고전 페르시아어(설명): محمد بن موسی خوارزمی → Khwārizmī, (Muḥammad ibn Mūsā), al- 화리즈미, (무함마드 이븐무사)
(Muhammad ibn Musa al-Khwarizmi)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인물 문어체 아랍어(설명): محمد بن موسى الخوارزمي 화라즘(현 우즈베키스탄) 출신으로 이라크에서 활동한 페르시아인 수학자·지리학자·천문학자(780?~850?). 남성. 고전 페르시아어: Khwārazmī, (Muḥammad ibn Mūsā) محمد بن موسی خوارزمی 화라즈미, (무함마드 이븐무사)
(Abu Abd Allah Muhammad al-Mahdi) 서남아시아,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이라크 인물 문어체 아랍어(설명): أبو عبد الله محمد المهدي 아바스 왕조 칼리프(744?~785). 재위 775~785.
(al-Mansur Abu Jafar) 서남아시아,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이라크 인물 문어체 아랍어(설명): أبو جعفر المنصور 아바스 왕조 칼리프(714~775). 재위 754~775.
(maqam) 서남아시아,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음악 문어체 아랍어(설명): مقام 전통 아랍 음악에서 쓰이는 다양한 선법 하나하나를 이르는 말.
(Abd Allah al-Mamun) 서남아시아,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이라크 인물 문어체 아랍어(설명): عبد الله المأمون 아바스 왕조 칼리프(786~833). 재위 813~833.
(rabab) 북아프리카, 서남아시아, 동남유럽,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음악 문어체 아랍어(설명): رباب 북아프리카·서남아시아·유럽 일부·중앙아시아·동남아시아에서 쓰이는 전통 찰현 악기.
(Abu al-Abbas Abd Allah al-Saffah) 서남아시아,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이라크, 요르단 인물 문어체 아랍어(설명): أبو العباس عبد الله السفاح 아바스 왕조의 창시자(721?~754). 재위 750~754.
(Sullam al-Sama) 이란,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책명, 천문 문어체 아랍어(설명): سلم السماء 1407년에 페르시아인 잠시드 카샤니가 쓴 아랍어 천문학서. ‘하늘의 계단’을 뜻한다.
(Abu Abd Allah Muhammad al-Amin) 서남아시아,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이라크 인물 문어체 아랍어(설명): أبو عبد الله محمد الأمين 아바스 왕조 칼리프(787~813). 재위 809~813.
(Anushtakin al-Dizbari) 중앙아시아, 시리아, 이집트 인물 문어체 아랍어(설명): أنوشتكين الدزبري 파티마 왕조의 중앙아시아 출신 튀르크인 정치가·장군(?~1042). 남성. 시리아 총독.
(Umayyads) 서남아시아, 북아프리카, 이베리아반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시리아 역사 문어체 아랍어(설명): أمية— 661년에 무아위야 1세가 다마스쿠스를 수도로 하여 수립한 이슬람 왕조. 중앙아시아로부터 이베리아반도까지를 지배하고 서유럽에 이슬람 문화를 전하기도 하였으나 750년에 아바스 왕조에게 멸망하였다. ≒오미아드 왕조, 우마이야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