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류

Donald Knuth는 ‘커누스’일까, ‘크누스’일까?

저명한 컴퓨터 과학자 Donald Knuth는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의 저자이고 TeX 조판 시스템을 만든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 이름의 한글 표기를 놓고 많은 혼란이 있다. 그의 개인 홈페이지에 실린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답에서 Knuth는 ‘Ka-NOOTH’라고 발음한다고 밝혔는데, 이를 어떻게 해석하느냐를 놓고 의견이 분분한 것 같다. 도널드 커누스 (사진 출처)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을 […]

, , , ,

Slavoj는 ‘슬라보예’로 읽는다?

지젝,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에서 트랙백. 슬라보이 지제크 슬로베니아의 철학자 슬라보이 지제크는 국내에 ‘슬라보예 지젝’이란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슬로베니아어 이름인 Slavoj Žižek [ˈslavɔj ˈʒiʒәk]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면 ‘슬라보이 지제크’이다. 슬로베니아어의 표기에 대해서는 외래어 표기법에 특별히 규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보통 세르보크로아트어 규정대로 적는다. 슬로베니아어와 세르보크로아트어는 언어분류상 꽤 가까운 언어이고 철자와 발음 규칙도 비슷한

, , , , ,

US 오픈 결승에 진출한 한국계 테니스 선수 제시카 퍼굴라

메이저 대회에서 단식 8강 이상의 성적을 낸 적이 없던 미국 테니스 선수 제시카 퍼굴라(Jessica Pegula [ˈʤɛsɪkə pəˈɡuːlə])가 US오픈 테니스 대회 여자 단식 결승에 진출했다. 한국 언론에서는 보통 그의 성을 ‘페굴라’로 표기하면서 그가 한국계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듯하다. 반면 미국 언론에서는 그의 부모가 억만장자 석유 재벌인 테리 퍼굴라(Terry Pegula)와 킴 퍼굴라(Kim Pegula) 부부로 테리는 NHL 아이스하키

VRT Taal의 벨기에 네덜란드어 발음 안내를 인터넷에서 다시 볼 수 있다

벨기에 네덜란드어 공영 방송국 VRT에서 운영하며 네덜란드어 발음 정보를 제공하던 언어 안내 웹사이트 VRT Taal이 폐쇄되었다는 글을 작년 2월에 쓴 적이 있다. 그런데 이 정보를 다시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다는 반가운 소식을 일 년만에 전할 수 있게 되었다. 벨기에 골프 선수 Thomas Detry의 발음이 궁금해서 찾아보다가 현재 플랑드르 정부의 언어 안내 웹사이트에서 예전에 VRT Taal에서

, , ,

Xavi가 ‘사비’라고? 카탈루냐어 이름 표기

Xavi Hernández, Carles Puyol, Gerard Piqué, Joan Capdevila, Sergio Busquets. 이번 월드컵에서 우승한 스페인 대표팀의 주전 선수들이다. 이들은 스페인 외에도 또 다른 대표팀 선수로 활약한다. 바로 카탈루냐 대표팀이다. 국제 축구 연맹의 인정은 받지 못하지만 카탈루냐 대표팀은 정기적으로 여러 국가 대표팀과 친선경기를 벌인다. 작년 12월에는 바르셀로나 캄 노우(Camp Nou) 경기장에서 아르헨티나를 4-2로 꺾었다. 이들이 카탈루냐인들이라는 것은

, , ,

고무나무 대신 천연 고무 생산에 쓸 수 있는 관목 ‘과율레’

미국 서남부와 멕시코 북부의 치와와 사막에서 자라는 관목인 과율레(Parthenium argentatum, guayule)는 천연 고무를 채취할 수 있는 대체 자원 가운데 하나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영국령 말라야(현 말레이시아)의 고무나무에서 생산되는 고무 수입이 일본군에 막히자 미국에서는 과율레를 재배하여 부족한 고무를 충당하기도 하였다. 천연 고무는 보통 고무나무, 대표적으로 브라질 파라 지방을 중심으로 한 아마존강 유역이 원산지인 파라고무나무(Hevea brasiliensis,

, , ,

구글 실험실의 아랍어 발음부호 추가 도구 ‘타슈킬’

아랍어 한글 표기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도구를 우연히 발견해 소개한다. 구글 실험실(Google Labs)의 ‘타슈킬(Tashkeel)‘이란 베타 프로젝트인데 아랍어 글을 입력하면 발음부호를 추가해주는 도구이다. (아랍어와 아랍 문자를 모르면서 쓰는 글이기 때문에 특히 아랍 문자의 전사 같은 내용에서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잘 아시는 분은 꼭 지적 부탁드립니다.) 완전한 발음을 보통 표기하지 않는 아랍 문자 아랍

,

국제 음성 기호

국제 음성 기호 (IPA,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본 블로그에서는 발음을 적을 때 불친절하게도 별다른 설명 없이 국제 음성 기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기본적으로 [] 안에 쓴 것은 특별한 설명이 없어도 국제 음성 기호로 적은 것이라고 보면 된다. 다른 언어의 발음을 한국어의 비슷한 발음을 통해 설명하거나 ‘굴리는 소리’, ‘가래 끓는 소리’ 등 비전문적인 용어를 통해 설명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유성

,

군사 쿠데타로 집권한 가봉의 임시 대통령 브리스 올리기 응게마

아프리카 중부 가봉을 14년 간 통치해온 알리 봉고 온딤바(Ali Bongo Ondimba)를 몰아내고 군사 쿠데타로 집권하여 임시 대통령으로 취임한 브리스 올리기 응게마(Brice Oligui Nguema) 장군을 국내 보도에서 어떻게 표기하고 있는지 궁금해서 확인해보았다. 《한겨레》에서는 ‘브리스 올리기 응게마’로 올바르게 표기하고 있지만 《연합뉴스》에서는 ‘브리스 올리귀 응게마’, 《서울신문》에서는 ‘브리스 올리귀 응구마’로 원 발음을 잘못 파악한 표기가 눈에 띈다. 가봉은 1885년부터

, , , ,

나이지리아 에산어 mh는 어떻게 발음될까?

지난 글에서 나이지리아 축구 선수 Victor Osimhen ‘빅터 오시멘’의 한글 표기를 다루면서 나이지리아 에산(Esan)어 이름의 로마자 표기에 나오는 mh가 한 음을 나타내고 방언에 따라 m과 교체가 가능하므로 ‘ㅁ’으로 적는 것이 낫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mh의 정확한 음가를 밝히지 못한 것이 걸렸다. 그래서 자료를 더 찾아보다가 나이지리아 언어학자 벤 오히오마메 엘루그베(Ben Ohiọmamhẹ Elugbe)가 1989년에 펴낸 《에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