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의 아즈텍 제국이 우리와 같은 말을 썼다는 주장의 실체

에스파냐어를 전공한 배재대학교 교수 손성태는 《우리 민족의 대이동》이라는 책에서 아메리카 인디언의 조상이 우리 민족이며 멕시코의 아스테카 제국을 건설한 주체도 한민족이라는 주장을 폈다. 이 책을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그가 쓴 글 〈멕이코에 나타난 우리민족의 언어: 나와들어의 생활용어를 중심으로〉와 관련 신문 기사, 블로그 글 등에 실린 아스테카 제국의 언어인 고전 나와틀어 속에서 우리말을 발견할 수 있다는 주장이 과연 […]

, , , , , , ,

영어의 전통적인 모음 구분

영어만큼 철자와 모음 발음의 상관 관계가 복잡한 언어는 찾기 힘들다. 책 한 권으로 설명해도 부족할 정도이다. 이 글에서는 영어에서 흔히 말하는 ‘장음 A(long A)’, ‘단음 E(short E)’ 등 전통적인 모음 명칭을 다루고자 한다. 영어에서는 전통적으로 a, e, i, o, u 다섯 글자를 모음으로 치고 각각 각각 ‘단모음(short vowel)’과 ‘장모음(long vowel)’으로 발음된다고 이야기한다. 이 전통적 의미에서

,

뤼브롱 산괴와 프랑스어 지명의 발음

알퐁스 도데(Alphonse Daudet)의 단편소설 〈별〉(Les Étoiles)의 배경인 뤼브롱 산괴(Massif Luberon). 프랑스 남부 프로방스 지방에 있다. 그런데 정작 프랑스인들은 그 지역 사람이 아니면 ‘뤼베롱’으로 발음을 잘못 하기가 쉽다. 뤼브롱 산괴의 그랑뤼브롱(Grand Luberon)산에서 본 프티뤼브롱(Petit Luberon)산(사진 출처) 프랑스에서는 ‘브뤼셀’을 잘못 발음한다?라는 글에서 프랑스인들이 같은 프랑스어권인 벨기에 수도 브뤼셀의 이름을 잘못 발음하는 것에 대한 얘기를 했는데 같은 프랑스의

, , ,

한국어 화자의 [f] 발음 사용에 대한 설문조사 소개

까롤로님이 무성 순치 마찰음 [f]를 한국어에서도 발음하는 현상에 관한 연구를 하면서 준비한 설문조사가 있어 이를 소개한다. 이 소재는 예전에 한국어 발음에 [f]를 혼용하는 현상에서 다룬 적이 있고 앞으로도 쓸 수 있는 내용이 남아있다. 이 현상에 대한 실태 조사를 본 적이 없어서 아쉬웠는데 이 설문조사를 통해 단편적으로나마 이 현상이 얼마나 퍼져 있는지 알아볼 수 있을지 기대된다.

,

홍콩 영화인 이름을 중국어 방언대로 표기한다면?

미스 홍콩 미모 논란과 중국인 인명 표기에서 트랙백. 중국어 인명을 한글로 표기하는 문제에는 뾰족한 해답이 없다. 보통 한국 전통 한자음대로 적느냐, 중국어 발음대로 적느냐를 놓고 논란이 많은데 외래어 표기법은 공자, 제갈량, 이백, 왕희지 등 과거인은 한국 한자음으로, 마오쩌둥, 장제스, 야오밍, 장쯔이 등 현대인은 중국어 발음대로 적도록 하고 있다. 과거인과 현대인을 나누는 기준은 외래어 표기법에서 명시하지

, , , , , , , ,

Slavoj는 ‘슬라보예’로 읽는다?

지젝,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에서 트랙백. 슬라보이 지제크 슬로베니아의 철학자 슬라보이 지제크는 국내에 ‘슬라보예 지젝’이란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슬로베니아어 이름인 Slavoj Žižek [ˈslavɔj ˈʒiʒәk]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면 ‘슬라보이 지제크’이다. 슬로베니아어의 표기에 대해서는 외래어 표기법에 특별히 규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보통 세르보크로아트어 규정대로 적는다. 슬로베니아어와 세르보크로아트어는 언어분류상 꽤 가까운 언어이고 철자와 발음 규칙도 비슷한

, , , , ,

구글 실험실의 아랍어 발음부호 추가 도구 ‘타슈킬’

아랍어 한글 표기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도구를 우연히 발견해 소개한다. 구글 실험실(Google Labs)의 ‘타슈킬(Tashkeel)‘이란 베타 프로젝트인데 아랍어 글을 입력하면 발음부호를 추가해주는 도구이다. (아랍어와 아랍 문자를 모르면서 쓰는 글이기 때문에 특히 아랍 문자의 전사 같은 내용에서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잘 아시는 분은 꼭 지적 부탁드립니다.) 완전한 발음을 보통 표기하지 않는 아랍 문자 아랍

,

‘그루지야’가 ‘조지아’로 바뀐다

‘벨로루시’가 ‘벨라루스’로 바뀐지 얼마 안되어 비슷한 소식을 또 전하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는데 이번에는 지금까지 ‘그루지야’라고 부르던 나라의 한글 표기를 ‘조지아’로 변경한다고 한다. 조지아 국기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의 ‘기타 공개 자료’에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 실무소위원회 7월 첫째 주 심의 확정안’이란 제목으로 올라온 글에 첨부된 문서를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 조지아 Georgia 캅카스 산맥 남쪽, 흑해 동쪽에 있는 공화국.

, , ,

‘브롱크호르스트’를 ‘브론크호르스트’로 바꾼 맹목적 규정 적용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에서 발표한 월드컵 출전 선수명 표기 가운데 준우승팀 네덜란드의 주장 이름을 보자. Giovanni van Bronckhorst 히오바니 판브론크호르스트 원래 이탈리아어 이름 ‘조반니’인 Giovanni는 네덜란드어에서도 ‘조바니’ 내지는 ‘지오바니’로 발음하는 듯하지만 논외로 하고 Bronckhorst의 표기를 주목하자. 이상하지 않은가? 이 선수 이름은 유로 2008 때는 ‘히오바니 판브롱크호르스트’로 심의된 바 있고 언론에서는 표기법에는 맞지 않지만 ‘반 브롱크호스트’라는 표기도 흔히 쓴다.

, , , ,

Xavi가 ‘사비’라고? 카탈루냐어 이름 표기

Xavi Hernández, Carles Puyol, Gerard Piqué, Joan Capdevila, Sergio Busquets. 이번 월드컵에서 우승한 스페인 대표팀의 주전 선수들이다. 이들은 스페인 외에도 또 다른 대표팀 선수로 활약한다. 바로 카탈루냐 대표팀이다. 국제 축구 연맹의 인정은 받지 못하지만 카탈루냐 대표팀은 정기적으로 여러 국가 대표팀과 친선경기를 벌인다. 작년 12월에는 바르셀로나 캄 노우(Camp Nou) 경기장에서 아르헨티나를 4-2로 꺾었다. 이들이 카탈루냐인들이라는 것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