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가리어

고대 그리스어로 된 기록으로만 전해지는 초기 마자르족 지도자 레베디 혹은 레베디아스

전 글에 대한 댓글에서 초기 마자르족 지도자 Lebedias를 그리스어로 *Λεuεδίας로 적는다는 것을 들어 s가 영어의 sh와 같은 [ʃ]를 나타내는 현대 헝가리어와 달리 예전에는 헝가리어에서도 s가 [s]로 발음되었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일단 그리스어에는 [ʃ] 음이 없으니 차용어에서도 원어의 [ʃ]를 [s]로 흉내내며 헝가리어의 s는 원래부터 [ʃ]를 나타내는 철자로 생각된다고 답했는데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할 것 같다. 먼저 9세기경에 […]

, , , , , ,

이글루스 문답 바통 넘겨받았습니다.

imc84님께서 바톤/배턴/바통 받았음에서 제게 배턴/바통을 넘겨주셨습니다. imc84님께서 지적하신 것처럼 ‘바톤’이라는 표기가 널리 쓰이고 있지만 영어 발음을 따른 ‘배턴’ 또는 프랑스어 발음을 따른 ‘바통’만이 표준어로 인정되는 표기입니다. 동일한 질문 패턴을 바탕으로 정해주신 주제에 대해 이어서 글쓰기하는 것 같은데 제게는 ‘언어정책’이라는 조금 부담스러운 주제를 주셨네요. 정확히 어떤 종류의 언어정책을 말씀하시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최선을 다해 답해보겠습니다. 주어진 질문은

, , , , , , , , , , ,

헝가리 예술가 ‘모호이너지’ 혹은 ‘모홀리나지’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모호이너지’라는 인명이 다음과 같이 실려있다. 모호이너지(Moholy-Nagy, László) 「명사」 『인명』 헝가리 태생의 미국 화가·사진작가(1895~1946). 구성주의적 이념에 의하여 회화, 조각, 사진, 인쇄 따위의 분야에서 새 경지를 개척하였다. 바우하우스 지도진의 한 사람이다. 서양에서는 이름-성 순으로 보통 László Moholy-Nagy라고 쓰지만 헝가리어에서는 성-이름 순을 따르기 때문에 Moholy-Nagy László라고 부른다. 그는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구성했던 헝가리에서 태어났으며 1923년에 독일의 건축가

, ,

헝가리 작곡가 외트뵈시 페테르

현대 음악의 거장인 헝가리의 작곡가이자 지휘자 외트뵈시 페테르(Eötvös Péter)가 어제 향년 8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1944년에 당시 헝가리의 일부이던 트란실바니아의 세케이우드버르헤이(Székelyudvarhely)에서 태어났다. 이곳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령이 되어 오늘날 루마니아의 오도르헤이우세쿠이에스크(Odorheiu Secuiesc)이다. 외트뵈시는 다섯 살에 이미 작곡을 시작하여 열한 살 때 작곡 경연 대회에서 우승하면서 재능을 보였다. 역시 트란실바니아 태생인 헝가리의 유명한 작곡가

,

헝가리계 스웨덴 축구 선수 빅토르 예케레스 혹은 요케레스

지난 시즌 포르투갈 리그 득점왕을 기록하며 스웨덴 올해의 선수로 선정된 후 잉글랜드의 아스널로 이적, 어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소속팀의 리그 개막전을 치른 스웨덴 선수 Viktor Gyökeres는 한국에서 ‘요케레스’ 또는 ‘죄케레스’라고 흔히 부르고 있다. 하지만 본인 발음인 [ˈvɪ̌ktɔr ˈjø̌ːkərɛs]를 참고하여 외래어 표기법에 최대한 부합하게 적으면 사실 ‘빅토르 예케레스’가 된다. 그의 친할아버지는 헝가리 출신으로 스웨덴으로 이민했기 때문에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