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어

세계에서 가장 독특한 언어, 피라항어(Pirahã)

전세계 언어의 다양성에 웬만큼 익숙한 이들에게도 ‘언어란 이런 것이다’라는 고정관념을 깨뜨려주는 언어가 있다. 브라질 중부 아마존 밀림 한가운데 마이시(Maici)강 유역에 사는 수렵채집인들인 피라항족이 쓰는 언어가 그것이다. 피라항어에는 색이나 숫자를 나타내는 단어가 없고 인칭대명사는 아마존 유역에서 여러 집단들이 서로 소통할 때 쓰는 언어인 녜엥가투어(Nheengatu)에서 모조리 빌려온 듯하다. 피라항족 남성들은 밀림에서 사냥을 할 때 휘파람을 통해 “말”을 […]

,

에스트레마두라/엑스트레마두라/이스트레마두라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에스트레마두라’라는 지명이 에스파냐의 지역 이름으로 실려있다. 에스트레마두라(Estremadura)「명사」 『지명』 에스파냐 서남부, 포르투갈에 인접한 지역. 조금 건조한 구릉성 산지가 많고 목축과 농업을 주로 한다. 그런데 정작 에스파냐어로는 이를 Extremadura라고 부른다. 외래어 표기법을 적용하면 ‘엑스트레마두라’로 쓰는 것이 맞다. 왜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원어를 Estremadura라고 쓰고 ‘에스트레마두라’를 표제어로 삼았을까?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이는 포르투갈의 이스트레마두라(Estremadura) 지방의 영향을 받은 것일 수 있다.

, , , , , , ,

오류투성이인 제92차 외래어심의위 결정안 분석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는 언론에 보도되는 이름들을 중심으로 외래어 표기법을 적용하여 한글 표기를 결정한다. 그런데 최근 들어 심의위 결정이 질적으로 하락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원 발음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대충 정하는 것이 아닌가 할만큼 이상한 표기가 부쩍 늘었다. 지난 9월 15일 심의위에서 결정한 표기들을 자세히 들여다보자. 국립국어원 게시판에서 찾을 수 있는 심의 결정안 전문을 싣는다. 해설은 파란

, , , , , , , , , , , , , , , , , , , , , ,

프랑스어 인명의 de 표기 문제

최근 댓글에서 베트남에서 활동한 프랑스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로드(Alexandre de Rhodes)는 ‘드 로드’와 같이 전치사와 뒤 요소를 띄어 쓰는 경우가 더 많고 동시기 활동한 포르투갈 선교사 Francisco de Pina의 이름도 ‘드 피나’의 사례가 많다며 어떤 방식으로 표기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질문에서는 또 스위스 언어학자 Ferdinand de Saussure는 아예 de를 생략하고 ‘소쉬르’로 지칭하는 것도 예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