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소리

온라인 덴마크어 발음 사전 udtaleordbog.dk

덴마크어 이름 발음에 대한 연구를 하다가 우연히 udtaleordbog.dk라는 온라인 덴마크어 발음 사전을 발견했다. 세계 언어의 발음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가장 신나는 일은 아마도 전에 몰랐던 새로운 자료를 찾아내는 것이 아닐까 한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한글로 표기하자면 《우드탈레오르보그.데코》라고 적을 수 있는 이 온라인 발음 사전은 덴마크 음성학자 루벤 샥텐하우펜(Ruben Schachtenhaufen, 1975~)이 외부 기관의 지원 없이 개인적으로 […]

,

고대 그리스어로 된 기록으로만 전해지는 초기 마자르족 지도자 레베디 혹은 레베디아스

전 글에 대한 댓글에서 초기 마자르족 지도자 Lebedias를 그리스어로 *Λεuεδίας로 적는다는 것을 들어 s가 영어의 sh와 같은 [ʃ]를 나타내는 현대 헝가리어와 달리 예전에는 헝가리어에서도 s가 [s]로 발음되었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일단 그리스어에는 [ʃ] 음이 없으니 차용어에서도 원어의 [ʃ]를 [s]로 흉내내며 헝가리어의 s는 원래부터 [ʃ]를 나타내는 철자로 생각된다고 답했는데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할 것 같다. 먼저 9세기경에

, , , , , ,

헝가리계 스웨덴 축구 선수 빅토르 예케레스 혹은 요케레스

지난 시즌 포르투갈 리그 득점왕을 기록하며 스웨덴 올해의 선수로 선정된 후 잉글랜드의 아스널로 이적, 어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소속팀의 리그 개막전을 치른 스웨덴 선수 Viktor Gyökeres는 한국에서 ‘요케레스’ 또는 ‘죄케레스’라고 흔히 부르고 있다. 하지만 본인 발음인 [ˈvɪ̌ktɔr ˈjø̌ːkərɛs]를 참고하여 외래어 표기법에 최대한 부합하게 적으면 사실 ‘빅토르 예케레스’가 된다. 그의 친할아버지는 헝가리 출신으로 스웨덴으로 이민했기 때문에

, , , , , , ,

‘바쉐론 콘스탄틴’과 ‘바슈롱 콩스탕탱’

한국에서 ‘바쉐론 콘스탄틴’이라는 표기를 쓰는 스위스의 고급 시계 회사 이름을 일부 언론 보도에서 Vacheron Constantin의 프랑스어 발음인 [vaʃʁɔ̃ kɔ̃stɑ̃tɛ̃]에 맞게 외래어 표기법을 적용하여 ‘바슈롱 콩스탕탱’이라고 불러서 어색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모양이다. 원칙적으로 외국어 고유 명사를 한글로 표기할 때는 외래어 표기법을 써야 하지만 이미 한국에서 등록된 상호나 상표의 경우는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나더라도 이를 존중하는 것이 마땅할

, , , , , , , , ,

명품 상표 반클리프 아펠의 올바른 원어 발음은?

고급 보석이나 시계, 화장품 등을 취급하는 프랑스의 명품 상표인 Van Cleef & Arpels는 한국에서 ‘반클리프 아펠’이라고 쓴다. 그런데 올바른 프랑스어 발음을 따르면 ‘반클레프 아르펠스’ 정도로 써야 한다. ee는 영어식으로 발음되지 않으며 끝의 s는 묵음이 아니다. 파리에서 다이아몬드 세공인의 아들로 태어난 알프레드 반클레프(Alfred Van Cleef [alfʁɛd van-klɛf], 1872~1938)는 1895년에 역시 파리에서 태어난 에스텔 아르펠스(Estelle Arpels [ɛstɛl

, ,

베트남 난민 출신의 덴마크 미술가 얀 보

2014년 미국 뉴욕시의 브루클린교 공원과 시청 공원에서 구리로 만든 조각 여러 점이 전시되었다. 얼핏 추상적인 동상처럼 보였지만 이들은 사실 근처 리버티섬(Liberty Island)에 있는 자유의 여신상을 여러 부분으로 나눠서 실물 크기로 복제한 《위 더 피플(We the People)》이라는 미술 프로젝트의 일부였다. 이를 기획한 덴마크 미술가의 공식 이름은 Trung Ky-Danh Vo Rosasco Rasmussen이고 흔히 얀 보(Danh Vo)라고 부른다.

, , ,

수수께끼의 북아일랜드 신예 작가 리어던 니퀸

올해 초 북아일랜드의 비극적인 현대사를 다룬 한 신예 작가의 데뷔 단편 소설집 《에브리 원 스틸 히어(Every One Still Here)》가 출판되어 문학계에서 극찬을 받고 있다. 그런데 그 작가의 신상은 알려지지 않았다. 그는 Liadan Ní Chuinn이라는 아일랜드어식 필명을 쓰며 아일랜드 북부(north of Ireland)에서 벨파스트 협정이 체결된 해인 1998년에 태어났다는 짤막한 소개만 나온다. 영국의 일부인 북아일랜드를 일반적으로 부르는

, ,

핵무기의 위협으로부터 인류를 보호하기 위해 시작된 퍼그워시 회의

1955년 7월, 영국의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의 주도로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비롯한 저명한 과학자들이 모여 핵무기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한다고 경고하고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이를 러셀·아인슈타인 선언이라고 하는데 전세계의 과학자들이 모여서 핵무기의 위협에 대한 공동 대처 방안을 의논할 것을 제안하는 내용도 포함되었다. 그리하여 1957년 7월, 캐나다 노바스코샤주에 있는 작은 마을 퍼그워시(Pugwash)에 미국, 소련, 일본,

, , , , , , ,

노르웨이어 이름 Edvard의 표기

예전에 썼던 글에서 《절규》로 유명한 노르웨이 화가 Edvard Munch는 외래어 표기 용례에 ‘에드바르 뭉크’로 나와있지만 표기 규정에 따르면 ‘에드바르드 뭉크’로 적는 것이 맞다는 얘기를 했다. 노르웨이어 표기 규정에서 장모음+rd의 d는 적지 않고 단모음+rd의 d는 어말에서 ‘드’로 적도록 하고 있는데 공교롭게도 노르웨이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에 Edvard의 a가 장모음인 것처럼 나와있지만 실제로는 Edvard는 a가 단모음인 [ˈedvɑɖ~ˈedvɑrd]로 발음되므로

, ,

최초의 흑인 주장이 이끄는 남아공 크리켓 대표팀의 세계 제패

최초의 흑인 주장이 이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크리켓 대표팀이 잉글랜드에서 열린 2025 ICC 월드 테스트 챔피언십(ICC World Test Championship, WTC) 결승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남아공은 인종 분리 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로 국제 경기 출전이 금지되었다가 1992년에 국제 무대에 복귀한 이후 실력에 비해 주요 대회에서 실망스러운 성적을 거두고는 했는데 코사(Xhosa)계 흑인 주장 템바 바부마(코사어: Temba Bavuma)는 백인과 흑인,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