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롱크호르스트’를 ‘브론크호르스트’로 바꾼 맹목적 규정 적용

본 글은 원래 이글루스에 올렸던 글입니다. 이글루스가 종료되었기에 열람이 가능하도록 이곳으로 옮겼습니다. 기한이 지난 정보가 있을 수도 있고 사항에 따라 글을 쓴 후 의견이 바뀌었을 수도 있지만 오타 수정이나 발음 기호를 균일하게 고치는 것 외에는 원문 그대로 두었고 훗날 내용을 추가한 경우에는 이를 밝혔습니다. 외부 링크는 가능한 경우 업데이트했지만 오래되어 더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은 그대로 남겨두었습니다. 날짜는 이글루스 게재 당시의 날짜로 표시합니다.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에서 발표한 월드컵 출전 선수명 표기 가운데 준우승팀 네덜란드의 주장 이름을 보자.

Giovanni van Bronckhorst 히오바니 판브론크호르스트

원래 이탈리아어 이름 ‘조반니’인 Giovanni는 네덜란드어에서도 ‘조바니’ 내지는 ‘지오바니’로 발음하는 듯하지만 논외로 하고 Bronckhorst의 표기를 주목하자. 이상하지 않은가? 이 선수 이름은 유로 2008 때는 ‘히오바니 판브롱크호르스트’로 심의된 바 있고 언론에서는 표기법에는 맞지 않지만 ‘반 브롱크호스트’라는 표기도 흔히 쓴다. ‘ㅇ’ 받침으로 잘 쓰던 것을 왜 ‘ㄴ’ 받침으로 바꾸었을까?

2024. 5. 27. 추가 내용: Giovanni는 네덜란드어에서 [ʤoˈvɑni]로 발음하니(동영상) ‘조바니’로 적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이다. “처음에 ‘브롱크’로 했다가, 외심위 위원의 지적과 표기법에 따라 ‘브론크’로 표기했습니다.”

네덜란드어의 표기 규정에서 nk 앞에 오는 n은 받침 ‘ㅇ’으로 적게 되어 있다(예: Frank 프랑크, Hiddink 히딩크, Benk 벵크, Wolfswinkel 볼프스빙컬). 뒤따르는 /k/ 때문에 /n/이 [ŋ]으로 자음동화하는 현상을 반영한 것이다. 그런데 Bronckhorst에서는 nk가 아니라 nck이니 이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를 지적한 외심의 위원은 네덜란드어에서 정말 nck에서는 n이 자음동화하지 않고 [n]으로 발음된다고 생각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영어와 독일어에서와 마찬가지로 네덜란드어에서 ck는 /k/를 나타내는 다른 철자일 뿐이므로 Bronckhorst [ˈbrɔŋkhɔrst]에서도 n은 [ŋ]으로 발음된다.

더구나 네덜란드어 표기 규정이 고시되면서 발표된 용례집을 보면 네덜란드의 음악가 Jan Pieterszoon Sweelinck ‘얀 피터르스존 스베일링크’에서 nck의 n도 받침 ‘ㅇ’으로 적은 적이 있다. 이 용례집을 준비한 이들은 아마 네덜란드어의 발음에 대해 알고 있었기 때문에 별 생각 없이 자연스럽게 nck의 n도 받침 ‘ㅇ’으로 적었을 것이다.

결국 Bronckhorst를 ‘브론크호르스트’로 적은 것은 원래의 발음에 대한 고려는 배제한 채 표기 규정을 기계적으로 적용한 결과로 볼 수 있겠다. 외래어 표기법은 현실적으로 외국어 이름 표기에서 생길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다루지 못하기 때문에 규정을 문자 그대로 따르지 않더라도 원 언어의 발음을 고려하여 표기를 결정하는 융통성이 필요하다.

비슷한 예로 나이지리아의 스웨덴인 감독 Lars Lagerbäck는 이번에 ‘라르스 라예르베크’로 심의되었다. 규정상 e 앞의 g는 ‘이’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치게 되어 있어 이를 그대로 따른 것이다. 하지만 스웨덴어에서 e 앞의 g가 무조건 [j]로 발음되는 것이 아니며 무강세 음절에서는 [g]로 발음되는 경우도 많다. 이 경우 lager의 g는 [g]로 발음되니 ‘라게르베크’로 적는 것이 원 발음에 가깝다. 기존 용례 가운데에도 Pär Lagerkvist는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Selma Lagerlöf는 ‘셀마 라겔뢰프’가 있다. 아마 스웨덴어 발음을 아는 이들이 ‘라게르크비스트’, ‘라겔뢰프’ 등의 표기를 결정했을 것이다. 반면 ‘라예르베크’는 스웨덴어 발음은 모르고 스웨덴어 표기 규정만 적용한 결과일 것이다.

2024. 5. 27. 추가 내용: [v]를 f로 나타낸 구식 철자를 쓴 성씨인 Lagerlöf는 [ˈlɑ̂ːɡəˌɭøːv]로 발음되므로 정말 스웨덴어 발음을 알았더라면 ‘라겔뢰브’로 표기를 결정했을 가능성이 높겠다.

발음을 고려하지 않고 규정만 엄격히 적용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 수 있는지 프랑스 대표팀 선수 두 명을 예를 들어보자.

Yoann Gourcuff [joan ɡuʁkyf] William Gallas [wiljam ɡalas]

이번 심의위에서는 ‘요안 구르퀴프’, ‘윌리암 갈라스’라고 표기를 정했다. 나도 최상의 표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외래어 표기법의 프랑스어 표기 규정에 부합하지 않는 표기이다.

그럼 규정을 엄격히 적용한 표기는 무엇일까?

.
.
.
.
.
.
.
.
.
.
.
.
.
.
.
.
.

바로 ‘이오안 구르퀴프’, ‘우일리암 갈라스’이다. 외래어 표기법을 문자 그대로 따르면 프랑스어에서 어두의 반모음 [j]와 [w]는 각각 ‘이’, ‘우’로 뒤따르는 모음과 합치지 않고 적어야 한다.

순수 프랑스어에서 반모음 [j]와 [w]는 /i/와 /u/ 뒤에 다른 모음이 따른 결과이다([w]는 이중모음 oi [wa]에서도 나타난다). 이 현상은 꽤 규칙적으로 위 William [wiljam]의 두번째 i가 반모음 [j]로 발음되는 것도 뒤에 /a/가 오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반모음 [j]나 [w]로 시작하는 단어도 철자상으로는 보통 /i/, /u/로 시작하는 것처럼 보인다. 한글 표기로도 ‘이’, ‘우’로 나누어 적는 것이 무리가 아니다(예: hier [(i)jɛr] ‘이에르’, ouest [wɛst] ‘우에스트’).

2024. 5. 27. 추가 내용: 요즘은 사실 프랑스어에서도 어두와 모음 뒤의 [w]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서 적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즉 ouest [wɛst]는 ‘웨스트’로 적는 것으로 규정을 바꾸자는 의견이다. 참고로 ‘서쪽’을 뜻하는 프랑스어 ouest는 고대 영어 west에서 차용한 낱말이다. 한편 oui [wi]도 현행 규범에 따른 ‘우이’ 대신 ‘위’로 적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런데 Yoann은 원래 브르타뉴어 이름이고 William은 원래 영어 이름 ‘윌리엄’이다. 이들 이름에서 나타나는 반모음 [j]와 [w]는 철자상으로도 y, w로 적은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순수모음 /i/와 /u/가 변화한 것이 아니라 원래부터 반모음이다.

따라서 이를 ‘이오안’, ‘우일리암’으로 적는 것은 터무니가 없다. 규정에 나와있는 것에만 매달려서 표기를 정하면 이런 우스운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외래어 표기법을 쓰는 모든 이들이 원 언어의 발음을 알 것이라고 기대할 수는 없다. 하지만 적어도 올바른 표기를 심의하는 이들은 외래어 표기법 규정을 맹목적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만족하지 말고 원 발음을 충분히 확인하고 표기를 결정하기를 당부한다.

적어도 예전에 ‘판브롱크호르스트’로 심의되었던 멀쩡한 표기를 ‘판브론크호르스트’로 바꾸는 것과 같은 일은 더이상 없었으면 한다.

공유하기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