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ㅟ+ㅓ’의 준말은 어떻게 표기할까?

본 글은 원래 이글루스에 올렸던 글입니다. 이글루스가 종료되었기에 열람이 가능하도록 이곳으로 옮겼습니다. 기한이 지난 정보가 있을 수도 있고 사항에 따라 글을 쓴 후 의견이 바뀌었을 수도 있지만 오타 수정이나 발음 기호를 균일하게 고치는 것 외에는 원문 그대로 두었고 훗날 내용을 추가한 경우에는 이를 밝혔습니다. 외부 링크는 가능한 경우 업데이트했지만 오래되어 더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은 그대로 남겨두었습니다. 날짜는 이글루스 게재 당시의 날짜로 표시합니다.

한글에 대한 여러 생각에서 오늘날 쓰는 한글 자모 가운데 ‘ㅟ+ㅓ’를 한 음절로 발음하는 소리를 표기할만한 것이 없다는 얘기를 했다. ‘바뀌어’, ‘쉬어’ 등의 준말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배주채의 《한국어의 발음》에서는 옛 자모를 활용하여 이 소리를 ‘ㆊ’로 적을 것을 제안했다는 것도 언급했다.

그러자 Puzzlet C.님께서 2000년에 한글 학회의 학회지에도 이 문제를 다룬 글이 실렸다는 제보를 해주셨다. 조규태의 〈우리말 ‘ㅟ+ㅓ’의 준말에 대하여〉라는 글이다. ‘ㅟ+ㅓ’를 한 음절로 발음하는 소리를 한국어의 새로운 중모음(겹홀소리)으로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PDF 문서로 전문을 볼 수 있다(2000년 제249호를 검색해야 한다). 다음은 글의 내용을 요약한 것.

   우리말에 는 ‘ㅟ+ㅓ’의 준말이 만들어 내는 겹홀소리가 있다. 이 겹홀소리는 제대로 인식이 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 겹홀소리를 표기할 글자도 따로 만들어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이 겹홀소리를 인정하지 않게 되면, 예컨대 ‘바꾸어’의 준말인 ‘바꿔'(pak’wə]와 ‘바뀌어’의 준말인 [pak’ɥə] 또는 [pak’wjə]가 변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우리말 겹홀소리 체계 속에 [ɥə]와 [wjə]를 새로이 설정해야 한다.
이 겹홀소리의 존재는 최근의 방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가 있다. 지금 우리말에서는 ‘ㅟ’가 방언과 세대에 따라 [ü], [wi], [i] 세 가지로 발음되고 있는데, 이 다른 발음에 따라 ‘ㅟ+ㅓ’의 준말도 [ɥə]와 [wjə], 그리고 [jə], [i]로 각각 발음된다. 두 겹홀소리 [ɥə]와 세 겹홀소리 [wjə]는 지금 한글 체계 속에는 이들을 표기할 글자가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으나, ‘ㅜㅕ’라는 글자로 표기할 수가 있다. 예컨대, ‘쉬+어’의 준말은 ‘수ㅕ’와 같이 표기할 수가 있다.

여기서는 ‘ㆊ’가 아니라 ‘ㅜㅕ’라는 글자로 쓸 것을 제안하고 있다. 주의할 것은 이 블로그에서 ‘ㅓ’의 발음을 보통 [ʌ]로 적는데 조규태는 [ə]로 적고 있고, ‘ㅟ’의 단모음(홑홀소리) 발음을 [y] 대신 [ü]로 적고 있다는 점이다. 이어지는 내용에서는 이 블로그에서 사용하는 표기 방식으로 통일하겠다.

생각해보니 배주채도 ‘ㅜㅕ’라고 쓰자는 제안에 대해 언급했으나 ‘ㆊ’는 이미 같거나 비슷한 음가를 나타내기 위해 쓰인 적이 있는 옛 자모이니 그것을 쓰자고 했던 것도 같다. 하지만 내가 지금 책을 가지고 있지 않아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2023. 8. 11. 추가 내용: 나중에 배주채가 정말로 ‘ㅜ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 “‘ɥə’를 한글로 굳이 적으려는 사람들은 흔히 ‘우ㅕ’로 적는다. 그 사람들에게 ‘ɥa’를 발음해 주고 적어보라고 하면 ‘요ㅏ’로 적는다. 그렇다면 ‘ɥa, ɥə’를 ‘오ㅑ, 유ㅓ’로 적지 못할 이유도 없다. 따라서 이런 표기보다는 ‘ㆇ, ㆊ’를 이용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ㅟ+ㅓ’를 표기하는 두 가지 방법을 ‘바뀌었다’의 준말에 적용한 예. 나눔명조를 손질한 것.

‘ㆊ’ 대신 ‘ㅜㅕ’로 쓰는 것은 획 하나가 주니 쓰기도 좀더 편하고 글자의 밀도도 그렇게 높지 않아 미관상으로는 더 마음에 든다. 하지만 전례를 고려하여 ‘ㆊ’로 쓰는 것이 낫다는 주장도 이해가 간다.

하지만 ‘ㆊ’라고 쓰면 마치 ‘ㅠ+ㅕ’로 발음해야 할 것 같아 실제 ‘ㅟ+ㅓ’의 발음과는 거리가 먼 것 같고, ‘ㅜㅕ’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ㅟ+ㅓ’의 가능한 발음 가운데 하나인 [wjʌ]를 비교적 잘 나타내는 것 같다.

‘ㅟ+ㅓ’의 발음

지난 글에서 ‘ㅟ+ㅓ’의 발음은 [ɥʌ]라고 표기했다. ‘ㅟ’는 단모음(홑홀소리) [y]로 발음되고 이게 반모음화하면서 [y]에 해당하는 반모음인 [ɥ]가 된다고 본 것이다. 반모음은 모음이 마치 자음처럼 짧게 발음되는 것으로 ‘우’ [u]에 해당하는 반모음은 [w]이고 ‘이’ [i]에 해당하는 반모음은 [j]인데 단모음 ‘위’ [y]에 해당하는 반모음은 [ɥ]인 것이다.

그런데 표준 발음법에서 ‘ㅟ’는 단모음 발음과 이중모음 발음을 모두 허용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로 갈수록 ‘ㅟ’를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 이는 보통 [wi]로 표기하는데, /w/가 변이음 [ɥ]로 대체되어 [ɥi]로 발음된다고 보기도 한다. 또 표준 발음법에서 명시하지 않은 [i]로 발음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조규태는 이에 따라 ‘ㅟ+ㅓ’는 [ɥʌ] 외에도 [wjʌ], [jʌ], 심지어 [i]로 발음될 수 있다고 한다. 내게는 생소한 얘기지만 지역에 따라 ‘바뀌었다’의 준말을 ‘바낐다’로 발음하는 곳도 많이 있다고 한다.

[jʌ]와 [i]는 각각 ‘ㅕ’와 ‘ㅣ’로 표기할 수 있으니 나타내는데 새로운 자모를 쓸 필요가 없다. 하지만 [ɥʌ] 또는 [wjʌ]로 발음하여 ‘ㅕ’와 ‘ㅣ’는 물론 ‘ㅝ’와도 구별하는 이들의 발음을 나타내려면 새로운 자모가 필요하다.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뉘어’를 한 음절로 발음한다면 ‘녀’와도 구별하고 ‘눠’와도 구별할 것 같다.

앞으로의 과제

‘ㅟ+ㅓ’의 준말을 한글로 나타낼 때 ‘ㆊ’를 쓸지, ‘ㅜㅕ’를 쓸지, 아니면 다른 방법을 쓸지 합의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학술적인 용도로만 쓸 것인지 일반 언어 생활에 널리 쓸 수 있도록 표준 자모로 추가할 것인지도 결정해야 할 것이다. 만약 표준어 맞춤법에서도 쓰는 것으로 한다면 입력 방식과 인코딩, 지원하는 글꼴 문제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결론이 어떻게 나든 오늘날 한국어 화자의 대부분이 ‘ㅟ+ㅓ’의 준말을 다른 소리와 구별되게 발음하며 표준 자모로 마땅히 적을 길이 없다면 이 문제를 진지하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공유하기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