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테네와 테베, 그리스어 이름의 표기 문제

본 글은 원래 이글루스에 올렸던 글입니다. 이글루스가 종료되었기에 열람이 가능하도록 이곳으로 옮겼습니다. 기한이 지난 정보가 있을 수도 있고 사항에 따라 글을 쓴 후 의견이 바뀌었을 수도 있지만 오타 수정이나 발음 기호를 균일하게 고치는 것 외에는 원문 그대로 두었고 훗날 내용을 추가한 경우에는 이를 밝혔습니다. 외부 링크는 가능한 경우 업데이트했지만 오래되어 더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은 그대로 남겨두었습니다. 날짜는 이글루스 게재 당시의 날짜로 표시합니다.
‘아테네’와 ‘테베’는 그리스어 발음에 따른 표기가 아니다?

슈타인호프님의 교과서 오류 시리즈 – 이수스 전투와 알렉산더, 그리고 다리우스 3세에 대한 덧글들이 ‘알렉산더’의 표기 문제가 발단이 되어 고대 그리스어와 라틴어 인명의 표기에 관한 짧은 토론으로 발전하였다. 지금은 통상적으로 쓰는 독일어식 표기인 ‘알렉산더’와 고대 그리스어 Ἀλέξανδρος(Aléxandros)를 따른 ‘알렉산드로스’가 둘 다 표준 표기로 인정되고 있다. 그리스어 이름을 제3 언어의 발음에 따라 표기하는 상황에 대한 의견을 내는 가운데 한 분이 테베 Θῆβαι(Thêbai)도 고대 그리스어 발음대로 표기하면 ‘테바이’라는 것을 예로 들었다. 아테네 Ἀθῆναι(Athênai)역시 고대 그리스어 발음대로 표기하면 ‘아테나이’이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아직 그리스어의 표기를 정식으로 정비하지는 않았지만 그리스어의 표기 원칙이라는 짤막한 규정 가운데 “ae, oe, ou는 각각 ‘아이’, ‘오이’, ‘우’로 적는다”라는 것이 있다. 여기서 ae는 αι를 라틴어로 옮긴 철자이니 이 원칙만 따지면 ‘아테나이’, ‘테바이’가 맞는 표기이다. 라틴어 이름 Athenae, Thebae도 라틴어의 표기 원칙에 따라 적으면 ‘아테나이’, ‘테바이’이다.

아테네와 테베를 고대 그리스어로 쓴 것

그럼 왜 ‘아테네’, ‘테베’로 표기하게 되었을까? 나는 당시 덧글에서 이탈리아어에서 아테네와 테베를 각각 Atene, Tebe라고 하는 것을 들어 한국에서 쓰는 표기는 이탈리아어를 따른 것이 아닐까 하는 추측을 하였다. 그런데 더 조사해보니 꼭 그런 것 같지는 않다. 더 깊이 파고들수록 문제가 생각보다 복잡하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몇 줄로는 설명하기 힘드니 아예 그리스어의 역사를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아테네와 테베

아테네는 새삼스레 설명할 필요가 없겠지만 유럽 역사에서 철학의 중심지이자 민주주의의 발상지로 매우 중요한 곳이다. 그러면서 2004년 하계 올림픽을 개최한 오늘날 그리스의 수도이기도 하다.

고대 아크로폴리스의 유적은 현대 그리스의 수도 아테네의 중심에 남아 있다.

테베 역시 고대에는 아테네와 자웅을 겨루던 대표적인 도시 국가였다. 그러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군대에 파괴당한 이후 옛 영광을 되찾지 못해 오늘날의 위상은 아테네에 못 미친다.

고대 테베의 유적지

그런데 테베라는 지명을 가진 곳은 이집트에도 있다. 이 테베는 고대 이집트 문명의 중심지 가운데 하나로 이집트 제국의 수도인 적도 있었다. 신전 유적으로 유명한 오늘날의 룩소르가 고대 테베의 변두리에 해당한다. 고대 이집트어로는 이 도시를 niwt (도시), niwt-rst (남쪽 도시), niwt-imn (아문의 도시)이라 했는데 그리스인들은 자세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그리스 도시 국가 테베와 같은 이름으로 불렀다.

그리스어의 역사

아테네와 테베는 그리스어 이름이니 그리스어 발음에 따라 표기해야 할 텐데 이게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그리스어는 글자로 기록된 역사만 해도 수천 년이 되는 언어이니 같은 이름도 조금씩 바뀌고 발음은 더더욱 바뀌었기 때문에 어느 발음을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표기도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위에서 봐서 알겠지만 그리스어는 우리에게 조금 생소한 그리스 문자로 적는다. 고대 미케네인들이 쓰던 그리스어 방언은 선문자 B(Linear B)라는 고대 문자로 기록되었지만 미케네 문명의 몰락 이후 약 5세기간 문자 기록이 없다가 다시 페니키아 문자에서 따온 그리스 문자를 쓰기 시작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그리스인들은 페니키아 문자에서 그리스어에는 없는 소리를 나타내는 기호를 모음을 나타내는데 사용하면서 비로소 모음까지 나타내는 완전한 알파벳을 도입하였다. 이는 문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순간으로 꼽힌다. ‘알파벳’의 어원은 그리스 문자의 첫 두 글자인 ‘알파(Α)’와 ‘베타(Β)’에서 왔다. 우리에게 익숙한 로마 문자(A, B, C, …)는 그리스 문자의 서부 형태가 고대 이탈리아에 전해져 에트루리아어 등을 적는데 쓰인 것을 다시 고대 라틴어를 적기 위해 변형시킨 것이다.

그리스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한 후 그리스어의 역사는 다음과 같이 크게 네 시기로 나눌 수 있다.

1. 고대 그리스어(기원전 9세기~기원전 4세기)

고대 그리스어는 다시 아르카이크 그리스어(기원전 9세기~기원전 6세기)와 고전 그리스어(기원전 5세기~기원전 4세기)로 나뉜다. 이 시기 그리스어는 도리스 방언, 아이올리스 방언, 이오니아 방언 등 3개의 방언군으로 나눌 수 있다. 호메로스의 서사시는 이오니아 방언을 기초로 하고 있어 초기에는 이오니아 방언이 고대 그리스 세계의 문어 역할을 했다. 핀다로스의 작품을 비롯한 서정시는 도리스 방언으로 지어졌다.

아티카 지방의 도시 국가 아테네는 이오니아 방언의 한 갈래인 아티카 방언을 사용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을 비롯한 고전 시대의 문학은 대부분 아티카 방언으로 기록되었다.

2023. 8. 4. 추가 내용: ‘아르카이크’는 프랑스어 archaïque [aʁkaik]를 표기한 것으로 ‘예스러운’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ἀρχαϊκός(archaïkós) ‘아르카이코스’에서 나온 말이다. 고대 그리스의 예술 양식에 따른 시대 구분에 쓰이는 말로는 ‘고졸(古拙)’로 번역하여 아르카이크 그리스어는 고졸기 그리스어라고 할 수도 있다.

사실 고대 그리스어의 방언 구분은 상당히 복잡한 문제이며 여기 나오는 설명은 극도로 단순화시킨 것이다. 아티카는 고대 그리스어의 아티카 방언으로 Ἀττική(Attikḗ) ‘아티케’라고 했으나 라틴어식 Attica ‘아티카’가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표준 표기이므로 이를 따른다.

2. 코이네 그리스어(기원전 4세기~4세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활동으로 시작된 헬레니즘 시대에 그리스어는 서남아시아와 동북아프리카에서 널리 쓰이는 국제 언어가 되었다. 아티카 방언을 토대로 다른 방언의 요소가 더해져서 ‘코이네 그리스어’라는 공통 언어가 되었다. 코이네(Κοινή/Koinḗ)는 ‘공통’이란 뜻이다. 헬레니즘 시대 이후 로마 시대에도 로마 제국의 동부에서는 코이네 그리스어가 국제어로 통했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히브리어 성경(구약 성경)이 그리스어로 번역되었는데, 이를 ’70인 역’이라고 한다. 신약 성경은 로마 시대에 코이네 그리스어로 기록되었다.

3. 중세 그리스어(4세기~15세기)

그리스어는 비잔티움 제국이라고도 하는 동로마 제국의 공용어였다.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서서히 현대 그리스어를 닮은 모습으로 바뀌었다. 그러면서도 글로 쓸 때에는 신약성경의 코이네 그리스어 문체를 보통 따랐고, 더 격식을 갖출 때에는 고전 아티카 방언의 문체를 따르기도 하여 평상시에 쓰는 언어와 글로 쓰는 언어가 다른 양층 언어(diglossia) 현상이 일어났다.

4. 현대 그리스어(15세기~현재)

1453년 오스만 제국이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한 것을 기준으로 중세 그리스어에서 현대 그리스어로 넘어간다. 그리스가 오스만 제국의 지배 아래 들어간 후에도 그리스어의 양층 언어 현상은 계속되었다. 일반 그리스인들이 평상시에 쓰던 구어체는 ‘민중어’라는 뜻으로 ‘디모티키(δημοτική/dimotikí)’라고 불렀다. 후에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은 많은 지식인들은 디모티키가 다른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 고전 그리스어의 모습과 많이 달라졌다고 여겨 예스러운 문어체를 고집했다.

아다만디오스 코라이스

그리스 독립 운동에 큰 영향을 끼친 고전학자 아다만디오스 코라이스(Αδαμάντιος Κοραής/Adamántios Koraís)도 디모티키가 다른 언어, 특히 튀르크어(터키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는 사실을 언짢아했다. 하지만 오스만 제국의 지배 아래 있는 그리스의 부흥을 위해서는 민중의 교육이 필수적이었고, 구어체와 매우 다른 고전 그리스어를 문어로 쓰는 것은 더이상 현실적이지 않았다. 그래서 고전 그리스어의 문법을 디모티키처럼 단순화하되 튀르크어, 이탈리아어, 라틴어 등 다른 언어의 영향을 최대한 배제한 그리스어를 창시하였고 이를 ‘순수한 언어’라는 뜻으로 ‘카타레부사(Καθαρεύουσα/Katharévousa)’라고 불렀다.

2023. 8. 4. 추가 내용: 원문에서는 ‘카사레부사’라고 썼지만 뒤에서 언급하는 그리스어 표기 시안에 따라 ‘카타레부사’로 수정한다. 현대 그리스어에서 θ는 무성 치 마찰음 [θ]로 발음되고 외래어 표기법의 영어 표기 규정에 쓰이는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에 따르면 [θ]를 ‘ㅅ’으로 적으며 자모 θ의 표준 이름도 ‘세타’이지만 고대 그리스어의 한글 표기와 통일성을 기하기 위해서인지 심의된 외래어 표기 용례에서는 그리스어 표기 시안을 적용하여 현대 그리스어의 θ도 일관되게 ‘ㅌ’으로 적고 있다.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θ가 유기음 [tʰ] ‘ㅌ’로 발음되었다.

카타레부사가 고전 그리스어보다는 현실 언어에 가까워졌다고는 하지만 민중의 언어와는 거리가 있어 교육 받지 못한 이는 제대로 알아들을 수가 없었다. 하지만 1830년 그리스 독립 이후 다듬어지지 않은, 튀르크어에 ‘오염된’ 언어인 디모티키보다는 순수한 그리스어인 카타레부사가 일국의 언어로 적합하다고 하여 공용어로 채택되었다. 오히려 고전 그리스어로 돌아가자는 주장도 있었다.

하지만 언문의 불일치로 인한 갈등은 계속되었고 20세기에 이르러서는 디모티키를 교육에 도입하려는 시도가 늘어났다. 마침내 1976년 콘스탄디노스 카라만리스 정부는 디모티키를 공용어로 지정, 1세기 넘게 계속된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헬레니즘 시대 이후 그리스어를 쓸 때는 기식음의 유무, 고저 악센트 등을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발음 구별 부호를 사용하였다. 그런데 시간이 흘러 발음이 변화하면서 그리스어에서 기식음과 고저 악센트가 사라졌다. 하지만 옛 발음 구별 부호를 포함한 철자는 계속 썼기 때문에 많은 그리스인들은 이를 배우는데 애를 먹었다. 그래서 1982년에는 옛 발음 구별 부호를 단순화하여 강세를 나타내는 부호와 모음을 따로 발음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부호 둘만 남기는 개혁을 단행하였다.

전통 발음 구별 부호를 모두 사용하는 것을 폴리토니코스(πολυτονικός/polytonikós) 철자법이라고 하고 부호 둘만 사용하는 것으을 모노토니코스(μονοτονικός/monotonikós) 철자법이라 한다.

그리스어 주기도문. 왼쪽은 폴리토니코스 철자법, 오른쪽은 모노토니코스 철자법을 썼다.

‘아티나’와 ‘티바’

오늘날 쓰이는 그리스어는 쉽게 말하면 모노토니코스 철자법을 사용하여 적는 디모티키이다. 물론 오늘날의 디모티키는 오랜 갈등 관계였던 카타레부사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이고, 모노토니코스 철자법을 개악이라 주장하며 폴리토니코스 철자법을 고집하는 사람도 꽤 많다. 예를 들어 《에스티아(Ἑστία/Estía)》라는 보수 일간지는 그리스 신문으로는 유일하게 약간 간소화된 폴리토니코스 철자법과 카타레부사를 고수하고 있다.

어쨌든 아테네와 테베를 현대 그리스어로 어떻게 부르는지 알아보자. 디모티키를 모노토니코스 철자법을 사용하여 적으면 아테네와 테베의 표기는 다음과 같다.

아테네와 테베를 현대 그리스어로 쓴 것

Αθήνα(Athína)는 [aˈθina]로 발음된다.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를 따르면 ‘아티나’로 적을 수 있다. Θήβα(Thíva)는 [ˈθiva]로 발음되고 마찬가지로 ‘티바’로 적을 수 있다. 여기서 ‘ㅅ’으로 적는 음은 영어 단어 think의 th와 같은 음인데 한국어에 비슷한 음이 없으니 표기가 어색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2023. 8. 4. 추가 내용: 마찬가지로 원문에서는 ‘아시나’, ‘시바’라고 썼지만 ‘아티나’, ‘티바’로 수정한다.

그럼 카타레부사 이름은 어떨까? 카타레부사로 아테네와 테베는 고대 그리스어 표기와 똑같이 Ἀθῆναι, Θῆβαι로 적는다. 이는 그리스 독립 이후 1976년 디모티키가 공식 언어로 지정될 때까지 아테네와 테베의 공식 표기였다. 하지만 발음은 고대 그리스어와 많이 달라졌다.

아테네와 테베 발음의 변화

고대 그리스어에서 지금까지의 발음 변화를 살펴보자.

Ἀθῆναι(Athênai)Θῆβαι(Thêbai)
고전 그리스어(아티카 방언)[aˈtʰɛ̂ːnai̯][ˈtʰɛ̂ːbai̯]
초기 코이네 그리스어[aˈtʰe̝nɛ][ˈtʰe̝bɛ]
후기 코이네 그리스어[aˈθinɛ][ˈθiβɛ]
중세 그리스어[aˈθine][ˈθive]

2023. 8. 4. 추가 내용: 원문에서는 고전 그리스어와 코이네 그리스어, 중세 그리스어 발음만 제시했지만 영어판 위키낱말사전의 발음 설명( Ἀθῆναι, Θῆβαι)에 따라 초기 코이네 그리스어(1세기 이집트)와 후기 코이네 그리스어(4세기)를 세분화하고 거기서 제시한 발음 기호를 따라서 수정했다.

이게 현대 그리스어에 와서 카타레부사로 이어진 것이 [aˈθine], [ˈθive]이고 디모티키로는 단수형 [aˈθina], [ˈθiva]가 된다. 학자에 따라 발음 변화가 일어난 시기에 대한 견해 차이는 있지만 여기서는 영어판 위키백과에 나오는 시기 구분을 따른다. 다만 위의 구분은 편의상의 구분이고 실제 코이네 그리스어 시기에 중세 그리스어 발음으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고대 그리스어의 θ(세타)는 한국어의 ‘ㅌ’와 같은 [tʰ] 음이었다. 그러나 후에 영어 think의 th와 같은 [θ] 음이 되었다. 또 β(베타)는 영어의 b와 같은 [b] 음이었으나 약해져 [β]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v]가 되었다.

모음 η(에타)는 원래 한국어의 장음 ‘애’와 비슷한 [ɛː]로 발음되었다. Ἀθῆναι, Θῆβαι에서처럼 물결 모양(반달 모양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부호를 붙인 ῆ는 상승했다 하강하는 성조를 나타낸다. η의 발음은 [eː]를 거쳐 [i]로 바뀌었다.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η(에타), ι(요타), υ(입실론)이 모두 [i] 발음을 나타낸다. 원래 다른 모음이었지만 한국어에서 ‘애’와 ‘에’의 발음이 합쳐지고 있듯 발음이 합쳐진 것이다.

고대 그리스어의 모음 조합 αι는 글자 i의 영어 이름 ‘아이’와 비슷한 이중모음 [ai̯]로 발음되었다. 그러나 그리스어의 이중모음은 거의 언제나 단순모음화되어 αι의 경우 [ɛ]를 거쳐 [e]가 되었다. 한국어의 ‘애’도 원래 ‘아이’ 비슷한 이중모음이었으나 오늘날 단순모음으로 발음되고, [ɛ]를 거쳐 [e] 즉 ‘에’와 합쳐지고 있는 것과 매우 비슷하다.

때로 고대 그리스어의 αι에서 앞의 α가 길게 발음되면 뒤의 ι는 생략되고 [a]가 되기도 했다. 이럴 때는 α 밑에 작게 ι를 써서 표시했다. 그런데 Ἀθῆναι, Θῆβαι가 현대 디모티키에서 Αθήνα, Θήβα가 된 것은 이 현상하고는 관계가 없다. 이들 이름에서 -αι로 끝나는 형태는 복수형, -α로 끝나는 형태는 단수형인데 디모티키에서는 단수형을 선호한 것 뿐이다.

아, 또 한가지. 현대 디모티키에서 그리스의 테베는 Θήβα라고 하지만 이집트의 테베는 Θήβες(Thíves)라고 한다. Θήβες는 고대의 Θῆβαι에 해당하는 복수형이다. 현대 디모티키에서 -α로 끝나는 형태의 복수형은 -ες로 바뀌었다. 그리스의 테베는 단수형, 이집트의 테베는 복수형으로 써서 구별하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호메로스의 서사시에서는 이집트의 테베가 고대 그리스어의 단수형 Θήβη(Thḗbē)로도 등장한다. 그래서인지 일본에서는 그리스의 테베는 テーバイ[Tēbai], 이집트의 테베는 テーベ[Tēbe]로 다르게 표기한다.

내용 추가: 호메로스의 서사시에서는 운율을 맞추기 위해 테베는 물론 아테네도 이름의 형태를 필요에 따라 바꿨기 때문에 단수형, 복수형이 모두 나타난다. 9625님의 제보에 감사드린다.

2023. 8. 4. 추가 내용: 호메로스의 서사시에 나타나는 아테네의 단수형은 Ἀθήνη(Athḗnē) ‘아테네’이다. 이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여신 ‘아테나’의 이오니아 방언 형태이기도 했다. 고전 아티카 그리스어에서는 아테아 여신을 Ἀθηνᾶ(Athēnâ) ‘아테나’라고 부른다.

‘아이’와 ‘에’

자. 이쯤에서 초기 코이네 그리스어식 발음 [aˈtʰe̝nɛ]와 [ˈtʰe̝bɛ]를 옮기면 ‘아테네’, ‘테베’가 된다는 것을 알아차리신 분들이 있을 것이다. 그러니 ‘아테네’, ‘테베’ 같은 표기는 그리스어 발음이 아닌 제3 언어의 발음을 따른 것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는 것이다.

내가 생각하기에도 ‘아테네’, ‘테베’ 같은 표기가 이탈리아어 발음을 따른 것이라고 보는 것보다 코이네 그리스어 발음을 따른 것이라고 보는 것이 더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통상적으로 쓰는 표기에서 그리스어의 αι를 ‘아이’가 아닌 ‘에’로 적은 것은 ‘아테네’, ‘테베’ 외에도 ‘미케네’, ‘테르모필레’, ‘니케아’ 등이 있다. ‘그리스어의 표기 원칙’에서 고대 그리스어의 발음을 들어 αι를 ‘아이’로 적는 것으로 정하기 전에 이미 이 형태로 굳어진 이름들일 것이다.

그런데 이중모음 ‘아이’가 단순모음이 되는 현상은 매우 흔해서 라틴어에서도 있었다. 라틴어의 ae도 원래는 이중모음 [ai]였지만 후에 단순모음 [ɛː]가 되었다. 그래서 예전에는 라틴어의 ae도 ‘에’로 적는 일이 흔했다. 그러니 ‘아테네’, ‘테베’ 등도 라틴어의 Athenae, Thebae를 예전 방식으로 적은 것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사실 라틴어화된 그리스어 이름을 가지고도 그냥 그리스어 이름이라고 부르는 일이 많으니 이런 경우 라틴어와 그리스어의 경계는 생각보다 모호하다.

2023. 8. 4. 추가 내용: 초기 라틴어에서는 아예 철자 ai를 썼다가 고전 라틴어에서 ae가 되었으니 발음이 [ai̯]에서 [ae̯]로 변한 것으로 생각된다.

상황이 이러니 ‘아테네’, ‘테베’ 등의 표기를 쓰게 된 것은 코이네 그리스어 발음을 따른 것일 수도 있고 후기 라틴어 발음을 따른 것일 수도 있으며 어느 쪽이 맞는지 알아내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내용 추가: 알고 보니 아테네는 일본어로도 アテネ[Atene]라고 쓴다. 그러니 ‘아테네’는 일본어 표기를 그대로 따른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하지만 일본어에서는 어느 발음을 따른 것이냐는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2023. 8. 4. 추가 내용: 요즘은 Athenae, Thebae를 후기 라틴어 발음에 따라 적었거나 중세 라틴어식 철자 Athene, Thebe를 기준으로 한 형태를 받아들여 ‘아테네’, ‘테베’로 표기하게 되었다는 것이 사실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현대 유럽 언어에서 쓰는 여러 형태는 여기서 비롯된 것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어에서도 Athene [aˈteːnə] ‘아테네’, Thebe [ˈteːbə] ‘테베’라고 쓴다(현행 외래어 표기법 규정대로는 ‘아테너’, ‘테버’). 일본어 사전에 따라 アテネ[Atene]의 원어는 라틴어 Athenae로 제시하기도 한다. 아무래도 ‘아테네’, ‘테베’가 그리스어를 직접 따른 표기일 확률은 상당히 낮다. 한편 영어 Athens [ˈæθ.ᵻnz] ‘애신스’와 Thebes [ˈθiːbz] ‘시브스’, 프랑스어 Athènes [atɛn] ‘아텐’과 Thèbes [tɛb] ‘테브’에 붙는 -(e)s는 라틴어 대격형 Athenas ‘아테나스’, Thebas ‘테바스’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어의 한글 표기 규정 마련하기

위에서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아직 그리스어의 한글 표기 규정을 정식으로 마련하지 않았다고 했다. ‘그리스어의 표기 원칙’은 국립국어원에서 외래어 표기 용례를 발간하면서 외래어 표기법에서 다루지 않는 언어에 적용한 몇가지 원칙을 정리한 것 가운데 하나이다.

꽤 오래 전부터 국립국어원에서는 그리스어, 터키어, 아랍어의 표기법 시안을 준비하고 있다. 그리스어 표기 시안이 체택된다면 ‘그리스어의 표기 원칙’을 대체하게 된다. ‘개정판 바른 말글 사전(한겨레출판, 2007년)’에는 이 세 언어의 표기 시안이 아직 정식으로 고시된 것이 아니라는 설명과 함께 실려있다. 이 시안 내용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시안의 존재는 알고 있었지만 그 내용은 모르고 있을 때 나도 현대 그리스어 표기 규정을 나름대로 작성한 적이 있다. ‘아테네’와 ‘테베’의 예에서 짐작할 수 있겠지만 고대 그리스어의 발음과 현대 그리스어의 발음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표기 규정도 따로 두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우선 현대 그리스어 발음에 따른 한글 표기부터 연구했다. 국립국어원에서 마련한 시안에서도 현대 그리스어와 ‘고전 그리스어’를 나누어서 표기하도록 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에서 마련한 시안의 현대 그리스어 부분과 내가 작성한 현대 그리스어 표기 시안을 비교해보면 미세한 부분에서 많은 차이가 난다. 예를 들어 나는 θ(세타)를 발음에 따라 ‘ㅅ’으로 적도록 했고 국립국어원 시안에서는 발음과는 달라지더라도 고대 그리스어 표기와 통일되도록 ‘ㅌ’으로 적도록 했다. 예를 들어 아테네, 테베의 현대 그리스어 이름을 나는 ‘아시나’, ‘시바’로 적지만 국립국어원 시안에서는 ‘아티나’, ‘티바’로 적는다. 사실 [θ] 음도 ‘ㅅ’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고려하면 차라리 국립국어원 시안의 방법도 괜찮다는 생각도 든다.

국립국어원의 시안에는 ‘지명은 원칙적으로 현대 그리스어 표기법을 적용한다’는 조항이 있다. 그런데 그리스 지명 가운데는 역사와 신화를 통해 고대 그리스어식 표기가 익숙한 것이 많아 이게 얼마나 받아들여질지는 의문이다. 고대 그리스어식으로 ‘델포이’라고 할 것인가, 현대 그리스어식으로 ‘델피’라고 할 것인가? 어쩌면 오늘날의 도시를 이를 때는 ‘델피’라고 하고 고대 그리스 역사나 신화를 다룰 때는 ‘델포이’라고 하는 식으로 구분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도 든다. 어쨌든 앞으로 이 시안이 확정된다 해도 ‘아테네’, ‘테베’ 같이 익숙한 이름은 관용 표기로 그대로 쓸 것이 거의 확실하다.

글을 쓰면서 그리스어와 중국어가 오랜 역사를 통해 생긴 언문의 불일치, 발음의 변화 등 여러 면에서 참 비슷하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외래어 표기법은 처음 고시되었을 때부터 중국어의 표기를 다루었으니 그리스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방안을 연구할 때 그동안 중국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문제를 다룬 경험이 참고가 많이 될 것 같다.

공유하기

“아테네와 테베, 그리스어 이름의 표기 문제”에 대한 1개의 생각

  1. 핑백: ‘아테네’가 로마 신화에 나오는 지혜의 여신이라고? – 끝소리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