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체 아랍어의 한글 표기 권고안

문어체 아랍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자음

로마자아랍어 자모한글보기
모음 앞자음 앞·어말
ʾ(ʼ/ʔ)ءʾab أب 아브, muʾmin مؤمن 무민, badʾ بدء 바드, saʾʾāl سأل 사알
ʿ(ʻ/ʕ)عʿaṣr عصر 아스르, biḍʿah بدعة 비다, shaʿb شعب 샤브, ḍilʿ ضلع 딜, ʾashiʿʿah أشعة 아시아
bب브, ㅂbāb باب 바브, sabʿah سبعة 사바, ʿAbdu llāh عبد الله 압둘라, kitāb كتاب 키타브, dubb دب 두브
dدdirham درهم 디르함, badr بدر 바드르, Muḥammad محمد 무함마드, Ṣaddām صدام 사담
ḍ(ḑ)ضḍirs ضرس 디르스, maḍbūṭ مضبوط 마드부트, ʾarḍ أرض 아르드, fiḍḍah فضة 피다
dh(ḏ)ذdhahab ذهب 다하브, madhhab مذهب 마드하브, ʾustādh أستاذ 우스타드, taḥadhdhur تحذر 타하두르
fفfatḥ فتح 파트흐, nafs نفس 나프스, kashf كشف 카슈프, raff رف 라프
gh(ġ/ḡ)غghurfah غرفة 구르파, al-Maghrib المغرب‎ 마그리브, ṣamgh صمغ 삼그, shaghghāl شغال 샤갈
hه흐, haram هرم 하람, nahr نهر 나흐르, fiqh فقه 피크흐, ʿĀʾishah عائشة 아이샤, takahhun تكهن 타카훈
حḥadīth حديث 하디스, baḥr بحر 바흐르, milḥ ملح 밀흐, Nūḥ نوح 누흐, mulaḥḥin ملحن 물라힌
j(ǧ)جjamāl جمال 자말, rijl رجل 리질, burj برج 부르지, fajj فج 파지
kك크, ㄱKindah كندة 킨다, shukran شكرا 슈크란, maktab مكتب 막타브, Mubārak مبارك‎ 무바라크, shakk شك 샤크
kh(ḫ/ẖ/ḵ/x)خkhalīfah خليفة 할리파, fakhr فخر 파흐르, shaykh شيخ 샤이흐, mukhkh مخ 무흐
lلㄹ, ㄹㄹㄹ, ㄹ르laḥm لحم 라흠, salām سلام 살람, ʿAbdu l-ʿAzīz عبد العزيز 압둘아지즈, silm سلم 실름, sahl سهل 사흘, ballūṭ بلوط 발루트
mمㅁ, 므al-Masīḥ المسيح 마시흐, taqsīm تقسيم 탁심, jamrah جمرة 잠라, ʿamr عكر 아므르, ʾamn أمن 아믄, ʾumm عم 움, Ḥammū حمو 함무
nنㄴ, 느naḥl نحل 나흘, ʾinsān إنسان 인산, ghunm غنم 구늠, fann فن 판
q(ḳ)ق크, ㄱqaṣr قصر 카스르, naqṣ نقص 낙스, ṣadīq صديق 사디크, al-Maqqarī المقري 마카리
rرrisālah رسالة 리살라, dars درس 다르스, sidr سدر 시드르, marrah مرة 마라
sسsafar سفر 사파르, nasr نسر 나스르, turs ترس 투르스, mufassir مفسر 무파시르
ṣ(ş)ضṣabāḥ صباح 사바흐, at-Taṣrīf التصريف‎ 타스리프, qaṣṣāṣ قصاص 카사스
sh(š)ش시*슈, 시shams شمس 샴스, mushṭ مشط 무슈트, mishmish مشمش 미슈미시, mubashshir مبشر 무바시르
tتtamr تمر 타므르, sitr ستر 시트르, ist است 이스트, bayt بيت 바이트, battār بتار 바타르
ṭ(ţ)طṭabl طبل 타블, maṭbakh مطبخ 마트바흐, sharṭ شرط 샤르트, baṭṭah بطة 바타
th(ṯ)ثthalj ثلج 살지, ithnān اثنان 이스난, ḥadath حدث 하다스, mumaththil ممثل 무마실
wو우*ward ورد 와르드, wilāyah ولاية 윌라야, badw بدو 바두, khiwwāṣah خواصة 히우와사
yي이*yad يد 야드, Yuḥannā يوحنا 유한나, wakhy وخي 와히, suyyāḥ سياح 수이야흐
zزzamīl زميل 자밀, Nazhūn نزهون 나즈훈, ʾarz أرز 아르즈, ruzz رز 루즈, ghazzāl غزال 가잘
ẓ(z̧/ḏ̣)ظẓarf ظرف 자르프, maẓhar مظهر 마즈하르, ḥifẓ حفظ 히프즈, ḥaẓẓ حظ 하즈

모음

로마자아랍어 자모한글보기
a, ā(á)ـَى/ـَا ,ـَʾadab أدب 아다브, ʾākhir آخر 아히르, Mūsā موسى 무사
i, īـِي ,ـِist است 이스트, ṣadīq صديق 사디크
u, ūـُو ,ـُʾusrah أسرة 우스라, suhūl سهول 수훌
ay(ai)ـَيْ아이sayf سيف 사이프, ʾAyyūb أيوب 아이유브, khuwayy خوي 후와이
aw(au)ـَوْ아우yawm يوم 야움, law لو 라우, jaww جو 자우, Shawwāl شوال 샤우왈

* sh/š의 ‘시’, w의 ‘우’, y의 ‘이’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표기 세칙

문어체 아랍어는 각 음소를 구별하여 적은 로마자 표기를 기준으로 대조표를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b(ب), k(ك), q(ق)

1. 비음(m, n)이나 유음(l, r), 유성 마찰음(dh, gh, z, ẓ), h, 어중의 w 앞에서 b, k, q는 각각 ‘브’, ‘크’, ‘크’로 적는다.

ʾabnūs أبنوس 아브누스

al-Miknāsī المكناسي 미크나시

ʾaqmār أقمار 아크마르

qiblah قبلة 키블라

ʾAbū Bakr أبو بكر 아부바크르

aṣ-Ṣaqlabī الصقلبي 사클라비

tabdhīr تبذير 타브디르

ṣibgha صبغة 시브가

khubz خبز 후브즈

takdhīb تكذيب 타크디브

rikz ركز 리크즈

zaqzāq زقزاق 자크자크

yaqẓah يقظة 야크자

Nabhān نبهان‎ 나브한

nak·hah نكهة 나크하

fiqh فقه 피크흐

shakwah شكوة 샤크와

miqwad مقود 미크와드

2. 어말에서도 b, k, q는 각각 ‘브’, ‘크’, ‘크’로 적는다.

madhhab مذهب‎ 마드하브

Kujuk كجك‎ 쿠주크

al-Burāq البراق 부라크

ʿishq عشق 이슈크

3. 폐쇄음·파찰음(b, d, ḍ, j, k, q, t, ṭ) 및 무성 마찰음(f, ḥ, kh, s, ṣ, sh, th) 앞에서는 b, k, q를 각각 받침 ‘ㅂ’, ‘ㄱ’, ‘ㄱ’으로 적는다.

ʿAbdu llāh عبد الله 압둘라

ʾabjad أبجد 압자드

as-Subkī السبكي 숩키

ṭibq طبق 팁크

Ibtisām ابتسام 입티삼

khabṭ خبط 합트

Ṣubḥ صبح 숩흐

Mabkhūt مبخوت 맙후트

an-Nakbah النكبة‎ 낙바

maktab مكتب 막타브

al-Mustakfī المستكفي 무스탁피

mukḥulah مكحلة 묵훌라

ʾiksīr إكسير 익시르

makth مكث 막스

ʾIqbāl إقبال 익발

naqḍ نقض 낙드

yasaqjī يسقجي 야삭지

al-Muqtadir المقتدر 묵타디르

raqṣ رقص 락스

naqsh نقش 낙시

제2항 j(ج), s(س), ṣ(ص), sh(ش), z(ز)

1. sh는 자음 앞에서 ‘슈’로 적고 어말에서 ‘시’로 적는다.

khashm خشم 하슘

Jarash جرش 자라시

mishmish مشمش 미슈미시

mubashshir مبشر 무바시르

2. 어말에서 d, ḍ, t, ṭ 뒤에 오는 j, s, ṣ, sh는 앞의 자음과 합쳐 각각 ‘지’, ‘츠’, ‘츠’, ‘치’로 적는다.

ḥidj حدج 히지

naḍj نضج 나지

khadsh خدش 하치

quds قدس 쿠츠

kībūts كيبوتس 키부츠

waṭsh وطش 와치

3. 차용어에서 원어의 파찰음을 나타내는 dz, ts, tsh, tz는 모음 앞에서 각각 ‘ㅈ’, ‘ㅊ’, ‘ㅊ’, ‘ㅈ’으로 적고 dz, tz는 어말에서 ‘즈’로 적는다.

Būtsuwānā بوتسوانا 부추와나(<Botswana)

tsār تسار 차르(<tsar)

Bītshīn بيتشين 비친(<Piccini)

Tshād تشاد 차드(<Chad)

bītzā بيتزا 비자(<pizza)

Līdz ليدز 리즈(<Leeds)

제3항 h(ه)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 ‘흐’로 적되, 어말에서 모음이나 y 다음에 올 경우에는 적지 않는다.

nahr نهر 나흐르

kunh كنه 쿤흐

ghurfah غرفة 구르파

risālah رسالة 리살라

faqīh فقيه 파키

intibāh انتباه 인티바

Sībawayh سيبويه 시바와이

tanabbuh تنبه 타나부

제4항 l(ل)

1. 어말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음절 첫소리로 적는 자음 앞 또는 어중의 w 앞의 l도 받침 ‘ㄹ’로 적는다.

Ṭalāl طلال 탈랄

ghusl غسل‎ 구슬

kalb كلب 칼브

salwā سلوى 살와

2. 어중의 l이 모음이나 y, 어말의 w 앞에 올 때는 ‘ㄹㄹ’로 적고 받침으로 적는 자음 앞에 올 때는 ‘ㄹ르’로 적는다. 다만 비음 m, n 뒤에서는 ‘ㄹ’로 적는다.

ṭālib طالب 탈리브

kulyah كلية 쿨리아

ḥulw حلو 훌루

ḥulm حلم 훌름

ar-Ramlī الرملي‎ 람리

al-Qaramānlī القرمانلي 카라만리

제5항 m(م), n(ن)

1. 어말의 m, n은 각각 받침 ‘ㅁ’, ‘ㄴ’으로 적는다. 일반 아랍어 철자에 나타나지 않더라도 어미에 n이 첨가되어 발음될 경우 받침 ‘ㄴ’으로 적는다. y와 어말의 w를 제외한 자음 앞에서도 m, n을 받침으로 적는다.

dirham درهم 디르함

raqm رقم 라큼

jurn جرن 주른

māḍin ماض 마딘

hamzah همزة 함자

ʿImrān عمران 임란

ʾintifāḍah انتفاضة 인티파다

tanwīn تنوين 탄윈

2. 다만, 받침으로 적는 자음과 어말 r 앞의 m, n은 각각 ‘므’, ‘느’로 적고 gh, k, kh, q 앞의 n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ʾamn أمن 아믄

raml رمل 라믈

tamr تمر 타므르

ghunm غنم 구늠

inghilāq انغلاق 잉길라크

al-Jāshankīr الجاشنكير‎ 자샹키르

mankhar منخر 망하르

Munqidh منقذ 뭉키드

제6항 w(و), y(ي)

1. 모음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dawām دوام 다왐

ar-Riyāḍ الرياض‎ 리야드

2. w가 자음과 모음 사이에 올 때에는 앞의 자음과 갈라 적고 뒤의 모음과 합쳐 적는다. 다만, 페르시아어식 어휘에서 원어의 초성 자음군 khw가 예외적으로 보존되는 경우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화’와 같이 적는다. y가 자음과 모음 사이에 올 때에는 앞의 자음과 합쳐 ‘이’로 적는다.

ʾAnwar أنور 안와르

ʾaswad أسود‎ 아스와드

tajwīd تجويد 타지위드

al-Khwārizmī الخوارزمي 화리즈미

Sufyān سفيان‎ 수피안

Yaḥyā يحيى‎ 야히아

3. w, y가 어말에서 자음 뒤에 올 때에는 각각 ‘우’, ‘이’로 적는다. ‘우’로 적는 모음을 따르는 어말의 w는 적지 않는다.

badw بدو 바두

ḥanw حنو 하누

wakhy وخي 와히

ʿadūw عدو 아두

제7항 ʾ(ء), ʿ(ع)

적지 않는다. ʾ, ʿ 앞의 정관사 al- 또는 그 변화형 l-을 적는 경우 이를 ʾ, ʿ를 뒤따르는 모음과 끊어 적는다.

ʾalif ألف 알리프

al-ʾAshʿarī الأشعري 아샤리

ʿĀtikah عاتكة 아티카

badʾ بدء 바드

Balʿarab بلعرب 발라라브

muʾmin مؤمن 무민

sabʿah سبعة 사바

as-Samawʾal السموأل 사마왈

Ṣanʿāʾ صنعاء 사나

Simʿān سمعان 시만

ṭabʿ طبع 타브

aṭ-Ṭāʾiʿ الطائع 타이

al-ʾAqṣā الأقصى 알악사(이슬람교 사원)

al-ʿArabīyah العربية 알아라비야(방송사)

ʿAbdu l-ʾAḥad عبد الأحد‎ 압둘아하드

ʿAbdu l-ʿAlīm عبد العليم‎‎ 압둘알림

제8항 겹자음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는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모음 사이에서 mm, nn은 각각 ‘ㅁㅁ’, ‘ㄴㄴ’으로 적으며 ww, yy는 각각 ‘우우’, ‘이이’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친다.

ʿAbbās عباس 아바스

taqaddum تقدم 타카둠

dubb دب 두브

al-Kadhdhāb الكذاب 카다브

ruzz رز 루즈

ʾumm أم 움

fann فن 판

marrah مرة 마라

Wahhābī وهابي 와하비

Naḥḥās نحاس 나하스

jaww جو 자우

kayy كي 카이

tayammum تيمم‎ 타얌뭄

jahannam جهنم 자한남

al-ʿAwwām العوام 아우왐

ʾUmayyah أمية 우마이야

제9항 인명

1. 인명에 쓰이는 정관사 al- 및 태양 글자(d, ḍ, dh, n, r, s, ṣ, sh, t, ṭ, th, z, ẓ)가 뒤따를 때 이와 동화되어 나타나는 변화형 ad-, aḍ-, adh-, an-, ar-, as-, aṣ-, ash-, at-, aṭ-, ath-, az-, aẓ-는 적지 않는다.

al-ʿAbbās العباس 아바스

al-Ḥusayn الحسين 후사인

an-Nuʿmān النعمان 누만

ash-Sharīf الشريف 샤리프

2. 인명 가운데 연결형 구문, 즉 명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합 이름은 마지막 단어를 제외한 각 단어의 고전 아랍어식 격어미를 살려 단어 경계를 무시하고 하나의 이름처럼 붙여 쓴다. 정관사가 있으면 모음을 생략한 형태 l-을 기준으로 하며 태양 글자가 뒤따르면 이와 동화된 형태 d-, n-, r- 등을 기준으로 한다. 이때 생기는 겹자음의 표기는 제8항을 따른다.

ʿAbdu Manāf عبد مناف‎ 압두마나프

Dhu n-Nūn ذو النون 둔눈

Fakhru d-Dīn فخر الدين‎ 파흐루딘

Sittu l-Mulk ست الملك‎ 시툴물크

Nāṣiru d-Dawlah ناصر الدولة‎ 나시루다울라

Shajaru d-Durr شجر الدر‎ 샤자루두르

3. 인명에 쓰이는 연결형 구문의 첫 단어, 즉 제1연결어가 ‘아들’을 뜻하는 Ibn ابن 또는 ibn/bin بن, ‘딸’을 뜻하는 Ibnat ابنة 또는 bint بنت일 경우 고전 아랍어식 격어미 없이 ‘이븐’, ‘이븐/빈’, ‘이브나트’, ‘빈트’로 각각 적고 나머지 부분, 즉 제2연결어 이하를 독자적인 이름으로 취급하여 한글로 옮긴 것과 붙여 쓴다. 이때 제2연결어 이하는 주격형이 아닌 속격형으로 쓰며(예: ʾAbū أبو 대신 ʾAbī أبي, ʿAbdu عبد 대신 ʿAbdi عبد) 제2연결어에 붙는 정관사는 적지 않는다. ibn/bin بن은 ibn으로 읽고 ‘이븐’으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근대 이후 인물에서는 bin으로 읽고 ‘빈’으로 적는다.

Ibn Baṭṭūṭah ابن بطوطة‎ 이븐바투타

ibn Zayd بن زيد 이븐자이드

Ibnat ʿAjlān ابنة عجلان 이브나트아질란

bint Shihāb بنت شهاب 빈트시하브

Ibn al-Yāsamīn ابن الياسمين 이븐야사민

Ibnat al-Khuss ابنة الخس 이브나트후스

bint al-Ḥasan بنت الـحسن 빈트하산

ibn ʾAbī Rabīʿah بن أبي ربيعة 이븐아비라비아

bint ʿAbdi l-Muṭṭalib بنت عبد المطلب 빈트압딜무탈리브

Mājid bin Saʿīd ماجد بن سعيد 마지드 빈사이드(근대 인물)

4. 인명에 쓰이는 연결형 구문의 제1연결어가 ‘아버지’를 뜻하는 ʾAbū أبو(주격형) 또는 ʾAbī أبي(속격형)일 경우 ‘아부’, ‘아비’로 각각 적되 단어 경계를 무시하고 하나의 이름처럼 붙여 쓴다. 정관사가 있으면 모음을 생략한 형태 l-을 기준으로 하며 태양 글자가 뒤따르면 이와 동화된 형태 d-, n-, r- 등을 기준으로 한다. 제1연결어가 ‘어머니’를 뜻하는 ʾUmm أم일 경우 고전 아랍어식 격어미 없이 ‘움’으로 적고 제2연결어 이하를 독자적인 이름으로 취급하여 한글로 옮긴 것과 붙여 쓴다. 이때 제2연결어 이하는 주격형이 아닌 속격형으로 쓰며(예: ʾAbū أبو 대신 ʾAbī أبي, ʿAbdu عبد 대신 ʿAbdi عبد) 제2연결어에 붙는 정관사는 적지 않는다.

ʾAbū Bakr أبو بكر 아부바크르

ʾUmm Mallāl أم ملال 움말랄

ʾAbū ʿAbdi llāh أبو عبد الله 아부압딜라

ʾUmm ʾAbī ʿAlī أم أبي علي‎ 움아비알리

ʾUmm al-Kirām أم الكرام 움키람

ʾAbu l-Qāsim أبو القاسم‎ 아불카심

ʾAbu r-Rabīʿ أبو الربيع 아부라비

ʾAbu ṭ-Ṭayyib أبو الطيب 아부타이이브

5. 전치사 bi-, li- 등이 붙는 인명 요소는 고전 아랍어 문법에 따라 주격형이 아닌 속격형을 쓴다.

al-Ḥākim bi-ʾAmri llāh الحاكم بأمر الله‎ 하킴 비암릴라

al-Muʿizz li-Dīni llāh المعز لدين الله 무이즈 리디닐라

제10항 지명

1. 지명에 쓰이는 정관사 al- 및 태양 글자(d, ḍ, dh, n, r, s, ṣ, sh, t, ṭ, th, z, ẓ)가 뒤따를 때 이와 동화되어 나타나는 변화형 ad-, aḍ-, adh-, an-, ar-, as-, aṣ-, ash-, at-, aṭ-, ath-, az-, aẓ-는 적지 않는다.

al-Fusṭāṭ الفسطاط 푸스타트

al-Mashriq المشرق 마슈리크

ad-Dilāʾ الدلاء 딜라

as-Sūdān السودان‎ 수단

2. 연결형 구문을 비롯하여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지명에서 첫 단어에 붙는 정관사는 적지 않고 나머지 단어에 붙는 정관사는 ‘알’로 통일하여 적는다. 다만 연결형 구문에서 제1연결어가 고전 아랍어식 격어미 없이도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제2연결어에 붙는 정관사는 모음을 생략한 형태 l-을 기준으로 하고 태양 글자가 뒤따르면 이와 동화된 형태 d-, n-, r- 등을 기준으로 하여 하나의 이름처럼 붙여 쓴다.

al-Qaṣr al-Kabīr القصر الكبير 카스르알카비르

ar-Rubʿ al-Khālī الربع الخالي 루브알할리

Madīnat al-Baʿth مدينة البعث‎ 마디나트알바스

Ṭaraf al-Ghār طرف الغار 타라프알가르

Qalʿat an-Nisāʾ قلعة النساء 칼라트알니사

ʾUmm al-Faḥm أم الفحم 움알파흠

Wādī l-Mujīb وادي الموجب 와딜무지브

Wādī z-Zuhaymī وادي الزهيمي 와디주하이미

제11항 일반 용어

1. 추상적인 개념을 가리키는 명사에 쓰이는 정관사 al- 및 태양 글자(d, ḍ, dh, n, r, s, ṣ, sh, t, ṭ, th, z, ẓ)가 뒤따를 때 이와 동화되어 나타나는 변화형 ad-, aḍ-, adh-, an-, ar-, as-, aṣ-, ash-, at-, aṭ-, ath-, az-, aẓ-는 적지 않는다.

al-Baʿth البعث‎ 바스(정치 운동)

al-fuṣḥā الفصحى 푸스하(문어체 아랍어)

al-Hijrah الهجرة 히지라(역사 사건)

an-Nahḍa النهضة‎ 나흐다(문예부흥 운동)

2. 단체, 기관, 구조물 등의 이름과 작품, 간행물 등의 제목에서는 정관사를 ‘알’로 통일하여 뒷말에 붙여 쓴다. 아랍어에서 띄어 쓰는 어절은 연결형 구문이라도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ʾAbū أبو, ʾUmm أم은 뒷말에 붙여 쓴다. 관용적으로 정관사 없이 통용되는 경우는 이를 적지 않는다.

al-ʾAhlī الأهلي 알아흘리(구단)

ash-Shabāb الشباب 알샤바브(무장 단체)

al-Bilād البلاد‎ 알빌라드(은행)

al-ʾAzhar الأزهر 알아즈하르(대학교)

al-Masjid an-Nabawī المسجد النبوي 알마스지드 알나바위(이슬람교 사원)

al-ʿArabīyah العربية‎ 알아라비야(방송사)

al-Jazīrah الجزيرة 알자지라(방송사)

al-Quds al-ʿArabī القدس العربي 알쿠츠 알아라비(신문)

al-Jabr الجبر 알자브르(수학서)

ash-Shifāʾ الشفاء 알시파(전기)

Kitāb al-ʾAghānī كتاب الأغاني‎ 키타브 알아가니(시집)

Rawḍ al-Qirṭās روض القرطاس 라우드 알키르타스(역사서)

ʾAbū Sayyāf أبو سياف‎ 아부사이야프(무장 단체)

ʾUmm al-Qurā أم القرى 움알쿠라(신문)

al-Kaʿbah الكعبة 카바(성소)

al-Qurʾān القرآن‎ 쿠란(경전)

4. 왕조나 가문 이름은 그 기원이 되는 인명을 기준으로 정관사 없이 쓴다. 다만 인명이 아닌 일반 명사를 딴 이름에 붙는 정관사는 ‘알’로 통일하여 뒷말에 붙여 쓴다. 정관사 al-이 아니라 ‘가문’을 뜻하는 ʾĀl آل은 아랍어에서도 띄어 쓰는 독자적인 단어이므로 ‘알’로 띄어 쓴다. 가문이나 부족 이름에 쓰이는 ibn بن의 복수형 banū‎ بنو, banī‎ بني는 고전 아랍어식 주격형 banū로 통일하여 ‘바누’로 적고 뒤따르는 이름과 붙여 쓰되 뒤따르는 이름에 정관사가 붙는 경우 모음을 생략한 형태 l-을 기준으로 하며 태양 글자가 뒤따르면 이와 동화된 형태 d-, n-, r- 등을 기준으로 한다.

al-ʾAghlāb الأغلب‎ 아글라브(왕조)

al-Muhallab المهلب 무할라브(가문)

al-Murābiṭ المرابط 알무라비트(왕조, ‘수도원 요새의 사람’에서 유래)

al-Muwaḥḥid الموحد 알무와히드(왕조, ‘유일신주의자’에서 유래)

ʾĀl Rashīd آل رشيد‎ 알 라시드(왕조)

ʾĀl ash-Shaykh آل الشيخ‎ 알 샤이흐(가문)

Banū Qurayẓah بنو قريظة‎ 바누쿠라이자(부족)

Banū l-Qayn بنو القين 바눌카인(부족)

5. 아랍어 구절을 한글로 옮길 때는 아랍어에서 띄어 쓰는 어절 단위로 띄어 쓰고 정관사는 ‘알’로 통일하여 뒷말에 붙여 쓴다. 다만 모음으로 끝나는 전치사를 뒤따르는 정관사는 모음을 생략한 형태 l-을 기준으로 하고 태양 글자가 뒤따르면 이와 동화된 형태 d-, n-, r- 등을 기준으로 하여 앞의 전치사와 붙여 쓴다.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를 뒤따르는 Allāh الله는 첫 모음을 생략한 형태 llāh를 기준으로 앞말과 합쳐 한 단어처럼 적는다. Allāh/llāh가 연결형 구문의 제2연결어인 경우 제1연결어의 고전 아랍어식 격어미를 살려 제2연결어가 llāh인 형태로 적는다. 관용구 내부에서 고전 아랍어식 격어미가 관용적으로 발음되는 경우에도 이를 살려 적되 어말에는 격어미를 붙이지 않는다.

ṣabāḥ an-nūr صباح النور 사바흐 알누르

maʿa s-salāmah مع السلامة 마아살라마

bi-t-tawfīqi بالتوفيق 비타우피키

ʾin shāʾa llāh إن شاء الله 인 샤알라

bi-smi llāh بسم الله‎ 비스밀라

subḥāna llāh سبحان الله 숩하날라

ʾāyatu llāh آية الله‎ 아야툴라

ḥizbu llāh حزب الله 히즈불라

al-ḥamdu li-llāh الحمد لله 알함두 릴라

Allāhu ʾakbar الله أكبر 알라후 악바르

lā ʾilāha ʾillā llāh لا إله إلا الله 라 일라하 일랄라

as-salāmu ʿalaykum السلام عليكم 알살라무 알라이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