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아프리카 문학의 거장 응구기 와 디옹오(티옹오/시옹오/씨옹오)

  올해 노벨 문학상이 미국의 가수 밥 딜런에게 돌아가면서 매년 후보로 거론되는 케냐의 소설가이자 극작가, 수필가인 응구기 와 디옹오(Ngũgĩ wa Thiong’o, 1938년생)는 또 내년을 기약하게 되었다. 이 이름의 표준 표기는 2014년 12월 12일 외래어 심의 실무소위에서 ‘응구기, 와 티옹오’로 결정되었고 지난달 그가 제6회 박경리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을 때에는 ‘응구기 와 시옹오’라는 표기가 쓰였으며 그 외에도 […]

, , , ,

영어에서 가장 흔한 모음 ‘슈와’

주로 이공계에서 인기를 누리는 미국 웹 만화 xkcd 최근 편은 Schwa ‘슈와’라는 제목으로 다음과 같은 얘기를 한다. The schwa is the most common vowel sound in English. In fact, if you stick to the right conversation topics, you can avoid learning any other ones. 슈와는 영어에서 가장 흔한 모음이다. 실제로 적당한 대화 주제에서 벗어나지만 않으면

, ,

영어의 전통적인 모음 구분

영어만큼 철자와 모음 발음의 상관 관계가 복잡한 언어는 찾기 힘들다. 책 한 권으로 설명해도 부족할 정도이다. 이 글에서는 영어에서 흔히 말하는 ‘장음 A(long A)’, ‘단음 E(short E)’ 등 전통적인 모음 명칭을 다루고자 한다. 영어에서는 전통적으로 a, e, i, o, u 다섯 글자를 모음으로 치고 각각 각각 ‘단모음(short vowel)’과 ‘장모음(long vowel)’으로 발음된다고 이야기한다. 이 전통적 의미에서

,

왜 Ed Ruscha는 ‘에드 루샤’가 아니라 ‘에드 루셰이’일까?

1960년대에 미술계에 등장하여 팝 아트를 대표하는 거장이 된 미국의 화가 에드 루셰이(Ed Ruscha [ˈɛd ɹu.ˈʃeɪ̯]) 또는 에드워드 루셰이(Edward Ruscha [ˈɛd.wəɹd ɹu.ˈʃeɪ̯])는 한국에서 흔히 ‘에드 루샤’라고 부른다. Ruscha라는 철자로부터 ‘루셰이’라는 올바른 발음을 짐작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니 한국에서 잘못된 발음으로 알려진 것도 무리가 아니다. 철자만 봐서는 마치 [ˈʁʊʃa] ‘루샤’로 발음되는 독일어 이름인 것으로 추측하기 쉽다. 아무리 영어에서 철자와

, ,

제83차 외래어심의위 심의 결과

국립국어원 게시판에서: 제83차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 심의 결과 국립국어원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는 2009년 3월 25일 낮 12시 한국프레스센터 제83차 심의위원회를 열고, 지난 1월에 출범한 미국 오바마 정권의 내무, 상무장관 등 내각과 미국 환경보호국(EPA)국장, 무역대표부(USTR)대표 등 각료급 10여 명의 이름을 포함한 총 43개의 외국 인·지명의 우리말 표기를 심의, 결정했다. 특히, 심의회에서는 변경된 몰도바의 수도명과 타이 방콕 국제공항

, , , , , , , , , , , ,

지구에서 가장 빠른 인간 우사인 혹은 유세인 볼트

지구에서 가장 빠른 인간이라고 하면 지금은 은퇴했지만 여전히 100미터와 200미터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자메이카의 육상 선수 우사인 볼트(Usain Bolt)를 떠올리는 이가 많을 것이다. 그런데 영어권에서는 이 이름을 익숙한 한글 표기와는 사뭇 다르게 발음한다. 본인의 실제 발음은 [ˈjuːseɪ̯n ˈboʊ̯lt] ‘유세인 볼트’이기 때문이다. 그는 2008년 6월 1일 100미터를 9초72로 주파하여 세계 신기록을 수립하면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

프랑스에서는 ‘브뤼셀’을 잘못 발음한다?

벨기에의 수도는 브뤼셀이다. 벨기에 북부에서는 네덜란드어, 남부에서는 프랑스어를 쓰는데 네덜란드어와 프랑스어의 사용자 비율은 대략 3:2이다. 소수이지만 동쪽에는 독일어 사용자도 있으며 세 언어가 모두 공용어이다. 벨기에의 언어 분포. 네덜란드어 사용 지역, 프랑스어 사용 지역, 독일어 사용 지역. (그림 출처) 지도를 보면 수도 브뤼셀은 네덜란드어와 프랑스어 사용 지역 간의 경계선 북쪽에 있다. 하지만 브뤼셀과 수도권 지역에서는 프랑스어

, , , ,

헝가리 예술가 ‘모호이너지’ 혹은 ‘모홀리나지’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모호이너지’라는 인명이 다음과 같이 실려있다. 모호이너지(Moholy-Nagy, László) 「명사」 『인명』 헝가리 태생의 미국 화가·사진작가(1895~1946). 구성주의적 이념에 의하여 회화, 조각, 사진, 인쇄 따위의 분야에서 새 경지를 개척하였다. 바우하우스 지도진의 한 사람이다. 서양에서는 이름-성 순으로 보통 László Moholy-Nagy라고 쓰지만 헝가리어에서는 성-이름 순을 따르기 때문에 Moholy-Nagy László라고 부른다. 그는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구성했던 헝가리에서 태어났으며 1923년에 독일의 건축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