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테네’가 로마 신화에 나오는 지혜의 여신이라고?

본 글은 원래 페이스북에 올렸던 것으로 원문은 여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날짜는 페이스북 게재 당시의 날짜로 표시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오는 다음 뜻풀이를 살펴보자.

아테네²(Athēnē)「명사」 『문학』 로마 신화에 나오는 지혜의 여신. 그리스 신화의 아테나에 해당한다.
아테나(Athena)「명사」 『문학』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지혜의 여신. 제우스의 딸로 올림포스 십이 신 가운데 하나이며 아테네 시의 수호신이다. 로마 신화의 아테네, 또는 미네르바에 해당한다.
미네르바(Minerva)「명사」 『문학』 로마 신화에 나오는 지혜의 여신. 그리스 신화의 아테나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정말 로마 신화에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여신 아테나에 해당하는 여신 ‘아테네’가 존재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는 잘못된 얘기이다. 로마 신화에서는 보통 미네르바(Minerva)를 아테나와 동일시했기 때문에 그리스식 이름은 쓰지 않았다. 만약 이를 썼다고 해도 ‘아테나(Athena)’라고 했지 ‘아테네’라고 부르지는 않았을 것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아테네’의 동형어 세 개가 제시되는데 ‘아테네¹(Athenae)’는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 ‘아테네³(Athenae)’는 그리스의 수도를 가리키고 위에 나오는 아테네²(Athēnē)가 로마 신화에 나오는 여신을 가리키는 것으로 나온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일본에서 나온 사전을 많이 참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국어대사전》에서는 アテネ[Atene] ‘아테네’를 넘겨주기 항목으로 처리하는데 원어가 Athēnē인 경우 원어 Athēna에 해당하는 여신 アテナ[Atena] ‘아테나’로, 원어가 Athenæ인 경우 원어 Athēnai에 해당하는 지명 アテナイ[Atenai] ‘아테나이’로 넘겨준다. 일본어에서도 지명은 보통 ‘아테네’로 쓰는데 《일본국어대사전》에서는 ‘아테나이’를 기본 표기로 삼은 것이 특이하다(아테나도 마지막 두 모음이 장음인 アテーナー[Atēnā] ‘아테나’가 더 흔한 듯하다).

어쨌든 여기서 Athēnē가 여신 이름 Athēna의 이형으로 제시된 것은 고대 그리스어에서 실제로 그렇게 쓰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다만 이것이 어떻게 로마 신화에서 쓴 형태로 잘못 알려졌는지는 수수께끼이다. 그리스 신화의 Ἀπόλλων(Apóllōn) ‘아폴론’, Περσεφόνη(Persephónē) ‘페르세포네’, Ἡρακλῆς(Hēraklês) ‘헤라클레스’에 해당하는 로마 신화의 Apollo ‘아폴로’, Proserpina ‘프로세르피나’, Hercules ‘헤르쿨레스’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로마 신화에서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이름에서 살짝 바뀐 형태가 쓰인 경우가 많은데 Athēnē라는 이형태를 보고 이것도 그 가운데 하나라고 잘못 짐작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어쨌든 《표준국어대사전》의 뜻풀이는 고쳐야 할 것이다.

아테네의 표기 문제에 대해서는 2009년에 글을 쓴 적이 있지만 여기서는 아테네와 아테나의 관계를 더 깊이 다루고자 한다.

고대 도시 국가 아테네와 여신 아테나는 밀접한 연관이 있다. 고대에도 지명에서 여신 이름이 나온 것인지, 여신 이름에서 지명이 나온 것인지 의견이 갈렸는데 독일의 고전학자 발터 부르케르트(Walter Burkert [ˈvaltɐ ˈbʊʁkɐt], 1931~2015)는 -ēnē로 끝나는 이름이 Μυκήνη(Mykḗnē) ‘미케네’, Μεσσήνη(Messḗnē) ‘메세네’, Κυρήνη(Kyrḗnē) ‘키레네’ 등 지명에 흔하므로 지명에서 여신 이름이 나온 것으로 보았다.

고대 그리스어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쓰였지만 고대로부터 위세를 떨치는 것은 고전 시대 즉 기원전 5~4세기 무렵의 아티카 그리스어로 지금도 고대 그리스어를 공부하면 보통 이 방언을 배운다. 이 고전 아티카 그리스어에서는 아테네를 복수형인 Ἀθῆναι(Athênai) ‘아테나이’라고 불렀다. 테베와 미케네도 고전 아티카 그리스어에서는 복수형인 Θῆβαι(Thêbai) ‘테바이’, Μυκῆναι(Μykênai) ‘미케나이’이다.

그런데 이전의 그리스어에서는 이들이 단수형으로 쓰였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Ἰλιάς, Iliás)》에는 단수형 Ἀθήνη(Athḗnē) ‘아테네’, Μυκήνη(Mykḗnē) ‘미케네’, 단수형 Θήβη(Thḗbē) ‘테베’에 해당하는 곡용형이 복수형 Ἀθῆναι(Athênai) ‘아테나이’, Μυκῆναι(Μykênai) ‘미케나이’, Θῆβαι(Thêbai) ‘테바이’에 해당하는 곡용형보다 대체로 많이 나타난다(여기서는 주격형을 나열했지만 보통 속격형, 대격형 등으로 나타난다). 아마도 여러 취락이나 부족이 합친 도시 국가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복수형으로 부르기 시작한 듯하다.

고전 아티카 그리스어는 헬레니즘 시대에 나타난 코이네 그리스어의 바탕이 되었으며 이는 현대 그리스어로 이어진다. 18세기 말에 고대 그리스어와 당시 구어를 절충하여 생겨난 문어체 현대 그리스어인 καθαρεύουσα(katharévousa) ‘카타레부사’ 즉 순수어에서는 고전 아티카 철자를 그대로 쓰고 발음만 현대식으로 하여 Ἀθῆναι(Athînai) [aˈθine] ‘아티네’, Μυκῆναι(Mykînai) [miˈcine] ‘미키네’, Θῆβαι(Thîvai) [ˈθive] ‘티베’로 부른다. 여기서 그리스어 θ(th)는 한글로 ‘ㅌ’으로 표기하지만 영어 think의 th와 같은 무성 치 마찰음 [θ]이다. 대신 고전 그리스어에서는 [tʰ]로 발음되었기 때문에 ‘ㅌ’으로 쓰며 편의상 현대 그리스어의 한글 표기에서도 이를 따르고 있다.

1830년 그리스 독립 이후 순수어가 사실상의 공용어로 쓰였지만 일상에서 쓰는 그리스어와 차이가 상당했기 때문에 일반 언중이 배우기 어려웠다. 많은 논란 끝에 1976년 현대 일상어를 바탕으로 한 δημοτική(dimotikí) ‘디모티키’ 즉 민중어가 순수어를 대체하여 그리스의 공용어가 되었다.

민중어에서는 그리스 지명 아테네와 테베를 단수형 Αθήνα(Athína) [aˈθina] ‘아티나’, Θήβα(Thíva) [ˈθiva] ‘티바’로 각각 부른다. 대신 미케네는 복수형 Μυκήνες(Mykínes) [miˈcines] ‘미키네스’로 부른다. 고대 그리스어와 순수어의 제1변화 명사 복수 주격형 어미 -αι(-ai)는 민중어 -ες(-es)에 대응된다. 참고로 테베라고 불리는 도시는 이집트에도 있었는데 이집트의 테베는 민중어로도 복수형 Θήβες(Thíves) [ˈθives] ‘티베스’를 쓴다.

그러면 여신 아테나는 어떨까? 고전 아티카 그리스어에서는 Ἀθηνᾶ(Athēnâ) ‘아테나’라고 불렀는데 《일리아스》에는 이오니아 그리스어 형태인 Ἀθήνη(Athḗnē) ‘아테네’로 나온다. 즉 지명 아테네와 동일한 형태를 쓴 것이다. 원래 그리스어에서 제1변화 명사의 단수 주격형 어미는 -α(-a)였는데 고대 그리스어 방언 가운데 하나인 이오니아 그리스어에서는 -η(-ē)로 변했다. 호메로스가 쓰는 언어는 주로 이오니아 그리스어를 바탕으로 하며 아이올리스 그리스어 등 다른 방언 형태도 일부 나타난다. 그래서 《일리아스》의 주 무대인 트로이아도 아티카 그리스어로는 Τροία(Troía) ‘트로이아’이지만 《일리아스》에는 Τροίη(Troíē) ‘트로이에’로 나온다.

그런데 아티카 그리스어에서도 일부 제1변화 명사의 단수 주격형 어미가 -η(-ē)로 변했다. 당장 라틴어 Attica에 따라 ‘아티카’로 쓰는 그리스 중부의 지방 이름을 정작 아티카 그리스어로는 Ἀττική(Attikḗ) ‘아티케’라고 하고 현대 그리스어로는 Αττική(Attikí) [atiˈci] ‘아티키’라고 한다. 아테네와 경쟁한 도시 국가 스파르타(라틴어: Sparta)도 아티카 그리스어로는 Σπάρτη(Spártē) ‘스파르테’, 현대 그리스어로는 Σπάρτη(Spárti) [ˈsparti] ‘스파르티’라고 한다. 크레타섬(라틴어: Creta)도 아티카 그리스어로는 Κρήτη(Krḗtē) ‘크레테’, 현대 그리스어로는 Κρήτη(Kríti) [ˈkriti] ‘크리티’라고 한다(참고로 라틴어 Creta ‘크레타’는 현대 프랑스어 Crète [kʁɛt] ‘크레트’에 해당하는 옛 프랑스어 형태를 거쳐 영어에서 Crete [ˈkɹiːt] ‘크리트’로 받아들였다).

제1변화 명사 어미가 -η(-ē)로 변한 것은 이오니아 그리스어와 일부 아티카 그리스어 명사에서만 일어난 현상이다. 스파르타와 크레타섬에서 쓰인 방언인 도리스 그리스어로는 Σπάρτα(Spárta) ‘스파르타’, Κρήτα(Krḗta) ‘크레타’이며 라틴어에서도 -a를 쓴 Sparta, Creta로 받아들였다.

도리스 그리스어는 아티카 그리스어에서 일부 위치에서 η(ē)로 변한 그리스 조어 *ā를 α(a)로 간직한 보수적인 특징이 있어서 어중에서도 아티카 그리스어의 η(ē)가 도리스 그리스어에서는 α(a)에 대응되는 경우가 있다. 도리스 그리스어에서 아테나/아테네의 단수형은 Ἀθάνα(Athána) ‘아타나’, 복수형은 Ἀθᾶναι(Athânai) ‘아타나이’라고 했다. 즉 아테나/아테네의 원래 형태는 ‘아타나’였을 것이다.

페니키아 문자에서 빌린 그리스 문자가 도입되기 이전, 기원전 14~13세기 무렵 미케네 문명에서 쓰인 선형 문자 B는 그리스어의 초기 형태를 기록하고 있는데 크레타섬 크노소스에서 발견된 점토판 V 52에는 A-ta-na-po-ti-ni-ja라는 문자열이 나온다. 이는 ‘아타나(Athānā) 부인’을 뜻하는 여격형 Athānāi potniāi 또는 속격형 Athānās potniāi로 해석된다. 아티카 그리스어에서 ποτνίᾳ(potníāi)는 ‘부인’을 뜻하는 πότνια(pótnia)의 여격형이다. 이 해석이 맞다면 기록에 나오는 아테나의 가장 오래된 형태는 Athānā이다. 연구자들은 이것이 여신의 개인 이름이라기보다는 그의 거처인 아테네를 이른 것으로 본다(Joann Gulizia, Kevin Pluta & Thomas Palaima. 2001. “Religion in the Room of the Chariot Tablets.” Potnia: Deities and Religion in the Aegean Bronze Age. In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Aegean Conference Göteborg, Göteborg University, 12-15 April 2000: 453–461, eds Robert Laffineur & Robin Hägg. Liège/Austin).

라틴어의 제1변화 명사 단수 주격형 어미도 -a이기 때문에 아티카 그리스어에서 -η(-ē)를 쓴 형태도 -a로 들여오는 경우가 많았을 것이다. 하지만 Δάφνη(Dáphnē) ‘다프네’, Φοίβη(Phoíbē) ‘포이베’, Ψυχή(Psychḗ) ‘프시케’를 라틴어에서 Daphne ‘다프네’, Phoebe ‘포이베’, Psyche ‘프시케’로 쓴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아티카 그리스어의 -ē를 살린 경우도 있었다.

이오니아 그리스어식 Ἀθήνη(Athḗnē) ‘아테네’에 해당하는 아티카 그리스어 형태는 Ἀθήνα(Athḗna) ‘아테나’ 또는 Ἀθήνη(Athḗnē) ‘아테네’일 텐데 왜 실제로는 아티카 그리스어에서 쓰는 여신 이름이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오는 Ἀθηνᾶ(Athēnâ) ‘아테나’가 되었을까? ᾶ(â)에 쓰인 발음 구별 기호는 고대 그리스어로 περισπωμένη(perispōménē) ‘페리스포메네’라고 하는데 하강하는 음을 나타내며 마지막 음절에 쓰이는 경우는 보통 어말 축약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실제로 시적인 형태로는 Ἀθηναία(Athēnaía) ‘아테나이아’가 쓰였으며 《일리아스》에서도 이오니아 그리스어식 Ἀθηναίη(Athēnaíē) ‘아테나이에’가 보인다. 그런데 이유가 어찌되었든 여신을 이르는 짧은 형태로는 이오니아 그리스어에서 Athḗnē, 아티카 그리스어에서 Athēnâ로 강세 음절이 달라지게 된 것이다.

이는 현대 그리스어에도 이어져서 지명 아테네는 둘째 음절에 강세를 준 Αθήνα(Athína) [aˈθina] ‘아ˈ티나’이지만 여신 아테나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를 준 Αθηνά(Athiná) [aθiˈna] ‘아티ˈ나’로 구별한다.

그러면 라틴어에서 아테나 여신도 이오니아 그리스어식 Ἀθήνη(Athḗnē)를 옮겨서 Athene라고 부르는 일이 있었을까? 물론 그런 일이 전혀 없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주요 라틴어 사전에서는 Athene라는 항목을 찾아볼 수 없다. 심지어 Athena라는 항목도 찾기 힘들다. 이미 설명했듯이 고대에는 라틴어로 그리스식 이름을 쓰지 않고 미네르바라고 불렀기 때문에 라틴어에서 Athena를 쓴 것은 르네상스 시대 이후의 자료에서나 찾을 수 있다.

신라틴어에서는 물론 Athena라는 형태를 쓰며 여신 이름으로 Athene가 쓰인 것으로 검색되는 것은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인문주의자 로렌초 발라(Lorenzo Valla, 1407~1457)의 《문법(Ars grammatica)》에 실린 시에서 Pallas, Athene라고 부른 정도이다. 이조차도 문맥상 주격형 Athene가 아니라 호격형 Athenae를 발음대로 쓴 철자가 아닌가 한다.

지명 아테네는 고대로부터 라틴어로 Athenae라고 불렀으며 통속 라틴어에서 분화한 로망 어군에서는 주격형 Athenae 대신 대격형 Athenas에서 비롯된 에스파냐어·포르투갈어 Atenas ‘아테나스’, 프랑스어 Athènes [atɛn] ‘아텐’, 카탈루냐어 Atenes ‘아테네스’ 등을 쓴다. 이탈리아어에서는 Atene ‘아테네’라고 부르는데 라틴어의 -as가 이탈리아어에서는 -e로 변했으므로 역시 대격형에서 나온 것으로 설명할 수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영어에서도 옛 프랑스어 형태를 거쳐 Athens [ˈæθ.ᵻnz] ‘애신스’라고 부른다.

여신 아테나를 이탈리아어·포르투갈어·카탈루냐어에서 Atena ‘아테나’로 부르는 것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지만 라틴어에서 물려받은 어휘에서 어말 -a가 묵음 -e로 변한 프랑스어에서도 *Athène이 아닌 Athéna [atena] ‘아테나’라고 부른다. 고대 라틴어에서는 미네르바로 치환하여 부르다가 르네상스 시대 이후 신라틴어에서 그리스식 이름 Athena를 쓰기 시작한 것을 차용한 것이라서 이렇게 쓰는 것이다.

한편 에스파냐어에서는 특이하게 아테나를 Atenea ‘아테네아’라고 부르는데 시적인 형태 Ἀθηναία(Athēnaía) ‘아테나이아’에 해당하는 라틴어 Athenaea ‘아테나이아’에서 온 것으로 보이며 ‘아테나 신전’ 또는 ‘학당’을 이르는 Ἀθηναῖον(Athēnaîon) ‘아테나이온’에서 나온 라틴어 Athenaeum ‘아테나이움’, 에스파냐어 ateneo ‘아테네오’의 영향을 받은 형태일 수도 있다.

또 같은 로망 어군에 속하는 루마니아어에서는 아테네와 아테나를 구별 없이 둘 다 Atena ‘아테나’라고 부르는데 이웃한 발칸반도의 여러 언어에서는 아테네를 세르보크로아트어 Atena/Atina ‘아테나/아티나’, 불가리아어 Атина(Atina) ‘아티나’, 알바니아어 Athina ‘아시나’ 등으로 부르는 것으로 보아 현대 그리스어의 단수형 Αθήνα(Athína) ‘아티나’를 따른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독일어에서는 아테나 여신을 Athene [aˈteːnə] ‘아테네’라고 부른다. 같은 게르만 어파에 속하는 네덜란드어,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등에서도 아테나를 Athene ‘아테네’라고 부른다(다만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네덜란드어 Athene는 ‘아테너’로 적는다). 그러나 스웨덴어에서는 Athena ‘아테나’라고 부르는 것을 보면 이는 이오니아 그리스어를 따른 것이라기보다는 이들 언어에서 어말 무강세 -a가 철자 -e로 적는 [ə]로 약화된 것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납작한 냄비’, ‘팬’을 뜻하는 후기 라틴어 panna에서 차용한 말이 독일어 Pfanne [ˈp͜fanə] ‘파네’, 네덜란드어 pan ‘판'(중세 네덜란드어 panne ‘파너’), 덴마크어 pande ‘파네’, 노르웨이어 panne ‘판네’인데 스웨덴어에서는 panna ‘판나’로 어말 -a가 보존된 것과 비슷한 예이다.

아테네는 독일어로 Athen [aˈteːn] ‘아텐’이라고 하고 덴마크어로도 Athen ‘아텐’, 노르웨이어로 Athen/Aten ‘아텐’이라고 해서 여신 아테나와 구별하는데 네덜란드어에서는 흥미롭게도 아테나와 동일하게 Athene ‘아테너’라고 부른다.

한편 한글로 지명을 ‘아테네’라고 쓰는 것은 이오니아 그리스어 Athḗnē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일차적으로는 일본어 アテネ[Atene] ‘아테네’를 따른 것이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아티카 그리스어 Athênai에서 나온 라틴어 Athenae에서 -ae가 단순모음화한 발음을 따른 것이다. 오늘날 가톨릭교에서 널리 쓰이는 이른바 교회 라틴어 발음을 따르면 Athenae는 [aˈtɛːne] ‘아테네’이다.

요즘에는 고전 라틴어 발음에 따라 ae [ae̯], oe [oe̯]는 ‘아이’, ‘오이’로 각각 적기 때문에 Athenae는 원칙상 ‘아테나이’로 써야 하지만 예전부터 쓰인 고대 이름 가운데는 Achaemenes ‘아케메네스’, Aethiopia ‘에티오피아’, Phoenicia ‘페니키아’ 등 ae, oe를 ‘에’로 쓴 것이 많다. 후기 라틴어에서 ae는 [ɛː], oe는 [eː]로 단순모음화했고 아예 철자에서도 e로 적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들은 고대 그리스어 Ἀχαιμένης(Achaiménēs) ‘아카이메네스’, Αἰθιοπία(Aithiopía) ‘아이티오피아’, Φοινίκη(Phoiníkē) ‘포이니케’에서 나온 말인데 그리스어에서도 αι(ai) [ai̯] ‘아이’, οι(oi) [oi̯] ‘오이’의 단순모음화가 일어났기 때문에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각각 [e] ‘에’, [i] ‘이’로 발음된다. 그래서 현대 그리스어로는 Αχαιμένης(Achaiménis) [açeˈmenis] ‘아헤메니스’, Αιθιοπία(Aithiopía) [eθioˈpia] ‘에티오피아’, Φοινίκη(Foiníki) [fiˈnici] ‘피니키’가 된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일본국어대사전》에서는 일부러 많이 쓰는 ‘아테네’ 대신 ‘아테나이’를 주 표제어로 삼고 있으며 한국어에서도 고대 그리스 역사를 다룬 글에서는 ‘아테네’, ‘스파르타’ 대신 ‘아테나이’, ‘스파르테’로 쓰는 모습도 종종 볼 수 있다. 물론 전문적인 글에서는 예외를 두지 않고 고대 그리스어 발음에 따라 한글 표기를 한결같게 통일하는 것이 편할 수 있겠다.

그런데 이와 같이 쓰는 것을 보고 혹여나 한국어에서 백 년 동안 써온 익숙한 표기인 ‘아테네’, ‘스파르타’가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 ‘아테나이’, ‘스파르테’는 아티카 그리스어 및 여기서 나온 코이네 그리스어 형태로서 대표 표기로 삼는 것일뿐 실제로는 고대 그리스어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쓰였다. 비록 ‘아테네’라는 한글 표기가 원래 이오니아 그리스어 이름을 따른 것은 아닐지라도 《일리아스》에 나온 형태를 충실히 옮기면 ‘아테네’가 맞다. ‘스파르타’ 역시 원래는 라틴어 형태를 따른 표기이지만 현지에서 쓰인 도리스 그리스어 이름도 ‘스파르타’가 맞다.

또 ‘아테네’가 라틴어 발음, 그것도 고전 라틴어가 아닌 후기 라틴어 발음을 따른 것이라고 해서 버릴 필요는 없을 것이다. 유럽 여러 언어에서 아테네를 ‘아테나스’, ‘아텐’, ‘아테네아’, ‘애신스’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는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예로부터 잘 알려진 이름일수록 그 형태에 독특한 역사가 담겨있기 마련이다. 이른바 원어에 따른 올바른 표기와 다르다고 해서 무조건 오늘날의 잣대로 획일화하려 하기 전에 기존 표기가 어떻게 나온 것인지 이해해보려 하고 다른 표기를 써서 얻는 것이 과연 익숙했던 표기가 달라지는 불편과 맞바꿀만한지 곰곰이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공유하기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