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최근 위구르족과 한족 사이의 갈등이 유혈 사태로 번지는 일이 발생했다. 그 전까지 티베트에 대해서는 들어봤어도 위구르족에 대해서는 잘 몰랐던 이들이 많을 것이다.
위구르족이 쓰는 위구르어는 튀르크 어족에 속하며 중국어와는 계통 자체가 다르다. 터키의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Recep Tayyip Erdoğan) 총리가 이번 사태를 두고 집단 학살을 뜻하는 ‘제노사이드(genocide)’를 운운하며 강경한 반응을 보인 것도 중국의 위구르족이 한족보다는 서쪽 멀리 떨어진 터키인들과 언어적·문화적 유대가 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 서부 카스(Kashgar)의 소녀. 위구르족이거나 기타 소수민족 출신인 듯하다. (사진 출처)
‘우루무치’라는 표기
지금까지의 외래어 표기 관습에 따르면 중국 내의 지명은 중국어 이름을 외래어 표기법대로 적도록 되어 있다. 이 관습은 얼핏 생각하면 당연한 것 같지만 중국 내에도 전통적으로 중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가 쓰이는 지역이 있기 때문에 그대로 적용하면 좀 재미있는 결과가 생긴다. 중국어는 소리글자가 아닌 한자를 쓰는만큼 이미 존재하는 한자의 중국어 음가로 다른 언어의 소리를 흉내내야 하는데 아무래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티베트의 수도 Lhasa는 중국어 이름 拉萨(Lāsà)에 따라 ‘라싸’라고 적는다. 일반 외국어 지명이었더라면 아마 ‘라사’라고 적었을 것이다. Lhasa는 로마 문자 표기이고 원 티베트 문자 표기는 사진으로 대신하겠다.
‘라싸’가 티베트어(왼쪽)와 중국어로 적힌 라싸 공항의 간판(사진 출처)
눈치채셨겠지만 최근 시위로 우리에게 알려진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구도 우루무치도 원래 중국어 이름이 아니다. 우루무치의 위구르어 이름은 ئۈرۈمچی, 로마 문자로는 Ürümchi이며 발음은 [yrymˈtʃi], 즉 ‘위륌치’에 가깝다. 이것을 중국어로 乌鲁木齐(Wūlǔmùqí)라고 흉내낸 것을 우리는 다시 ‘우루무치’라고 옮긴 것이다.
위구르어를 적는 문자
고대 위구르어는 원래 돌궐 문자를 사용하였다가 소그드 문자를 받아들인 고대 위구르 문자로 적었다. 이 고대 위구르 문자는 후에 몽골 문자와 만주 문자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16세기부터는 위구르어는 아랍 문자, 정확히는 페르시아 아랍 문자를 사용해서 적고 있다. 20세기에 와서는 로마 문자, 드물게 키릴 문자를 사용하기도 하고 있다. 로마 문자 표기도 여러 종류가 있어서 혼란스러운데 이 글에서는 기본적으로 2001년에 완성된 Uyghur Latin Yéziqi (ULY) 표기법을 쓰되 ULY 표기법의 e 대신 ä를 써서 [æ] 발음이 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2024. 5. 26. 추가 내용: 이 글을 쓸 때는 몰랐는데 오늘날의 위구르어는 한문으로 회홀(回鶻)이라고 부른 고대 위구르의 언어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다. 고대 위구르어에서 유래한 언어로 현존하는 것은 중국 간쑤성에서 쓰이는 서부 유구르어(Western Yugur)라고 불리는 언어뿐이다. 그래서 지금은 혼동을 피하기 위해 ‘고대 위구르어’ 대신 ‘회홀어’, ‘고대 위구르 문자’ 대신 ‘회홀 문자’라고 부르는 것을 선호한다. 원문에서는 또 돌궐 문자를 소그드 문자에서 유래한 고대 위구르 문자와 혼동했는데 이를 바로잡았다.
아랍 문자로 적은 위구르어, 중국어, 영어가 나란히 적힌 카스(Kashgar) 시장 간판(사진 출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국립국어원 홈페이지를 검색하면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가 둘 다 표준으로 인정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신장(新疆; Xīnjiāng)’은 중국어이지만 ‘웨이우얼(维吾尔; Wéiwú’ěr)’은 ‘위구르’의 중국어 음역이다. 위구르족을 ‘웨이우얼족’이라고 부르지 않는 이상 ‘신장 위구르 자치구’라고 부르는 쪽이 더 자연스러워 보인다.
위구르어 한글로 표기하기
그러면 본격적으로 위구르어 이름을 몇몇 살펴보고 위구르어 발음에 따른 한글 표기를 시도해 보자.
언어학 블로그 Language Log에 실린 “A Little Primer of Xinjiang Proper Nouns”라는 글을 참조하면 여러 위구르어 고유명사를 위구르어와 중국어로 발음한 것을 들을 수 있다. 먼저 그 글에 나오는 고유명사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위구르는 아랍 문자로 ئۇيغۇر, 로마 문자로 Uyghur라고 적는다. 영어에서는 Uighur라는 철자가 많이 쓰인다. 발음은 [ujɣur] 또는 [ujʁur]이다. 영어판 위키백과에서는 위구르어 음절 끝의 r가 발음되지 않고 앞의 모음만 연장시킨다 하여 [ʔʊɪˈʁʊː]로 표기하고 있으나 한글 표기에는 그렇게까지 상세한 음운 현상을 반영할 필요는 없을 듯하다. 로마 문자로 gh라고 적는 음은 ‘ㄹ’보다는 ‘ㄱ’ 또는 ‘ㅎ’으로 적는 것이 나을 것이다. 아랍어의 gh/ġ (غ)도 [ɣ] 음을 나타내고 고전 아랍어에서는 [ʁ]로 발음되는데 한글로는 ‘ㄱ’으로 적으니 위구르어의 gh도 ‘ㄱ’으로 적는 것이 좋을 듯하다. ‘우이구르‘라고 표기하는 것이 원칙이겠지만 [uj]가 한 음절이므로 ‘위’에 가깝게 들릴 수도 있으니 예외적으로 ‘위구르‘라고 표기해도 괜찮을 것이다.
우루무치 시내. 뒤에 톈산산맥이 보인다(사진 출처)
위에서 언급한대로 우루무치의 위구르어 이름은 아랍 문자로 ئۈرۈمچی, 로마 문자로 Ürümchi이며 발음은 [yrymˈtʃi]이니 ‘위륌치‘라고 표기하는 것이 좋겠다.
타클라마칸 사막은 영어에서 흔히 쓰는 이름인 Taklamakan을 옮긴 것이다. 중국어로는 타커라마간(塔克拉玛干; Tǎkèlāmǎgān) 사막이라고 한다. 위구르어 이름은 تەكلىماكان / Täklimakan으로 발음은 [tæklɨmakan]이다. 위구르어의 /æ/를 어떻게 표기할까?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에 따르면 ‘애’를 써야 하지만 실제 이 규칙이 적용되는 언어는 영어 뿐이다. 외래어 표기법에서 다루는 다른 모든 언어에서 [æ]는 찾기 힘들고 있더라도 /a/ 또는 /ɛ/, /e/의 다른 음으로 취급되어 ‘아’ 또는 ‘에’로 표기된다. 더구나 위구르어의 /æ/는 흔히 알려진 로마자 표기에서 a로 둔갑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위구르어의 /æ/는 ‘아’로 적는 것이 낫겠다. 한편 다른 대부분의 튀르크 어족 언어와 달리 위구르어의 철자로는 /ɨ/와 /i/가 구별이 되지 않으므로 둘 다 ‘이’로 표기하는 것이 편할 것이다. ‘타클리마칸‘이란 표기가 무난하다.
2024. 5. 26. 추가 내용: 이 글을 쓴 후 아제르바이잔어 표기 용례에서 ə /æ/를 ‘애’로 적은 용례가 나타났다. 그러니 앞으로 튀르크 어족 언어의 표기에서 /æ/를 ‘애’로 적는 것도 고려할만하다. 한편 영어에서 쓰는 이름 Taklamakan은 고전 페르시아어 تکلهمکان Taklah Makān ‘타클라마칸’에서 나온 것이고 이 형태가 널리 알려졌으니 기본 표기로 삼는 것이 좋을 것이다.
타림 분지는 중국어로 타리무(塔里木; Tǎlǐmù) 분지라고 하지만 위구르어 이름은 تارىم / Tarim이며 발음은 [tarɨm]이다. 위구르어 발음에 따른 표기 역시 ‘타림‘이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 서부의 오아시스 도시 카스(喀什; Kāshí)는 카스가얼(喀什喀尔; Kāshígá’ěr)의 준말이다(噶는 음차에만 쓰이는 글자로 발음이 gá라는 자료도 있고 gé라는 자료도 있다). 영어로는 Kashgar라고 흔히 부르고 중국의 공식 병음 표기는 Kaxgar인데 이는 페르시아어 이름인 كاشگار에서 따온 듯하다. 위구르어 이름은 قەشقەر / Qäshqär이며 발음은 [qæʃqær]이다. [q]는 아직 고시되지 않은 아랍어 표기 시안에서는 ‘ㄲ’으로 적도록 하고 있지만 ‘ㅋ’으로 적는 것이 오랜 관행이다. ‘카슈카르‘가 위구르어 발음에 따른 표기로는 무난하다.
2024. 5. 26. 추가 내용: 아랍어 표기 시안에서 [q]를 ‘ㄲ’으로 적게 한 것은 아랍어에서 [q]가 [k]에 대응되는 강세 자음 짝을 이루면서 보통 무기음으로 발음되는 것을 흉내낸 것이다. 그런데 위구르어를 비롯한 튀르크어에서는 해당되지 않는 사항이고 튀르크어에서는 [q]도 어두에서 유기음으로 발음되는 일이 흔하므로 ‘ㅋ’에 가깝게 들리니 ‘ㄲ’으로 적을 이유가 없다.
톈산(天山; Tiānshān)산맥을 위구르어로는 تەڭرىتاغ / Tängri Tagh이라 부르며 발음은 [tæŋri taɣ]이다. ‘탕리 타그‘라고 표기하는 것이 좋겠다. ‘ㅇ’ 받침 뒤의 ‘ㄹ’이 ‘ㄴ’으로 발음되는 것이 염려되면 ‘탕으리 타그‘로 적는 것도 괜찮을 듯하다. 이 Tängri는 ‘단군’과 관련이 있다는 설이 있는 몽골어 Tengri와 어원이 같다.
Language Log의 글에 실리지 않은 이름들도 몇몇 살펴보자.
신장 위구르 자치구 북부의 도시 커라마이(克拉瑪依; Kèlāmǎyī)는 위구르어로 قاراماي / Qaramay이다. ‘카라마이‘가 무난할 듯싶다.
중국 최대의 이슬람 첨탑인 투루판의 이민(Emin) 첨탑(사진 출처)
투루판(吐魯番; Tǔlǔfān)은 위구르어로 تۇرپان / Turpan이다. ‘투르판‘이 무난할 것이다.
호탄(영어로 Hotan)은 중국어로 허톈(和田; Hétián)이라 하며 위구르어로 خوتەن / Xotän이다. 위구르어 발음에 따른 표기도 ‘호탄‘이다.
사업가이자 세계위구르회의 의장인 Rebiya Kadeer는 중국어 이름(熱比婭·卡德爾)의 병음 표기 Rèbǐyǎ Kǎdé’ěr를 단순화시킨 로마자 표기를 외신에서 사용하는 경우이다. 중국어 표기법에 따르면 러비야 카더얼이 된다. 위구르어 이름은 رابىيه قادىر이며 로마 문자로는 Rabiyä Qadir이다. ‘라비야 카디르‘가 위구르어 발음에 따른 표기이다. 재미있게도 중국어 병음 표기로 나온 Kadeer는 우연히 영어에서 ‘이’ 발음을 ee로 적은 것과 비슷한 표기가 되었다.
2008년 세계한강줄타기대회 남자부 입상 선수들. 가운데가 야쿱잔 메메트 일리, 왼쪽이 압두사타르 호잡둘라(사진 출처)
2007년부터 해마다 열리고 있는 세계한강줄타기대회의 1회와 2회 남자부 우승자는 둘 다 중국 위구르족 선수들이었다. 국내 언론은 1회 우승자를 ‘압두사타에르 우지압둘라(A Budusataer Wujiabudula)’로, 2회 우승자를 ‘야케퓨장 메이미틸리(Ya Kefujiang Maimitili)’로 표기했다. 위구르어 이름을 중국어로 음역한 것을 다시 한어 병음에 따라 로마 문자로 옮긴 것을 한글로 표기한 것이니 원래 위구르어 이름과는 전혀 딴판이 되었다.
검색해보니 이들의 위구르어 이름은 각각 Abdusattar Xojabdulla, Yaqubjan Memet Ili이다. ‘압두사타르 호잡둘라‘, ‘야쿱잔 메메트 일리‘라고 적는 것이 위구르어 발음에 가까울 것이다.
앞으로의 과제
튀르크 어족 언어의 한글 표기 동시 연구 필요. 위구르어를 한글로 제대로 표기하려면 위구르어의 각 음운에 어떤 한글 자모를 대입시킬지, 위구르어 음운 현상은 어떻게, 얼마만큼 반영할지 등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사실 위구르어 뿐만이 아니라 터키어, 아제르바이잔어, 우즈베크어, 카자흐어, 투르크멘어, 키르기스어, 타타르어, 크림타타르어 등 튀르크 어족 언어의 한글 표기를 함께 마련해볼 필요가 있다. 이들은 뿌리가 같은만큼 음운 체계가 상당히 겹치며 페르시아 아랍 문자, 키릴 문자, 로마 문자 등을 사용해 기록한 철자법이 서로 비슷한 것이 많다. 예를 들어 위구르어의 gh를 어떻게 표기할지 정하려면 터키어와 아제르바이잔어, 타타르어, 카자흐어의 ğ, 우즈베크어의 gʻ의 한글 표기도 참고하고 키르기스어와 투르크멘어에서 [ʁ]는 /g/의 변이음으로 취급된다는 사실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위구르어에 따른 표기만이 능사가 아니다. 중국의 위구르어 지명이나 중국의 위구르족 인명은 중국어 이름에 따라 표기할 것인가, 위구르어 이름에 따라 표기할 것인가? 나는 원 언어에 따라 표기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생각한다. ‘러비야 카더얼’보다는 ‘라비야 카디르’가 더 자연스럽고, ‘타리무 분지’보다는 ‘타림 분지’가 더 자연스럽다. 하지만 한자 표기만 알고 위구르어 이름을 알아내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에는 중국어 표기법을 따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더더구나 위구르족은 중국의 여러 소수민족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명 가운데에도 원 언어로 어느 것을 삼을지 애매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카스(중국어)’/’카슈카르(위구르어)’는 국제적으로 더 알려진 페르시아어식 표기인 ‘카슈가르’로 부르는 것이 가장 나을 수도 있다. 중국의 공식 《중국지명록》에 실린 병음 표기를 기준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중국은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인 한어 병음 뿐만이 아니라 각 소수 언어에 대한 로마자 표기를 마련하였으며 이들도 ‘병음’으로 불린다). 중국의 공식 병음으로 위구르는 Uygur, 우루무치는 Ürümqi, 투루판은 Turpan, 카라마이는 Karamay, 호탄은 Hotan이라 쓰는데, 크게 고민할 필요 없이 이 병음 표기만 따라도 괜찮을 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