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 홍콩 미모 논란과 중국인 인명 표기에서 트랙백.
중국어 인명을 한글로 표기하는 문제에는 뾰족한 해답이 없다. 보통 한국 전통 한자음대로 적느냐, 중국어 발음대로 적느냐를 놓고 논란이 많은데 외래어 표기법은 공자, 제갈량, 이백, 왕희지 등 과거인은 한국 한자음으로, 마오쩌둥, 장제스, 야오밍, 장쯔이 등 현대인은 중국어 발음대로 적도록 하고 있다. 과거인과 현대인을 나누는 기준은 외래어 표기법에서 명시하지 않지만 보통 신해혁명(1911년) 당시 활동했던 이는 현대인으로 친다.
그런데 이 외래어 표기법은 1986년에야 고시된 것이어서 예전에 중국어 이름을 한자음대로 읽던 당시의 표기가 더 익숙한 것이 많다. 세대에 따라 마오쩌둥은 모택동, 장제스는 장개석으로 더 잘 아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외래어 표기법이 정착된 이후 알려진 야오밍, 장쯔이 같은 경우는 한자음 요명, 장자이가 오히려 낯설다. 하지만 중국 조선족들은 중국어 이름을 한자음대로 표기하기 때문에 요명, 장자이 같은 표기를 쓴다.
그런데 여기서 중국어 발음이라는 것은 표준 중국어, 즉 보통화(普通話) 발음을 일컫는다(편의상 한자는 간체자 대신 정체자로 통일). 우리가 보통 중국어라 부르는 언어는 사실 단일 언어로 보기 힘들다. 라틴어에서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루마니아어 등이 갈라져 나온 것처럼 상고 한어(漢語)에 뿌리를 두는 여러 중국어 방언들은 서로 의사 소통이 불가능할 정도로 달라진 것들이 많다.
보통화는 이 가운데 북방어 또는 관화(영어로 Mandarin)로 알려진 방언군에 속하는 베이징어를 기초로 한 중국의 공용어이다. 그러니 북방어 사용 지역의 중국어는 보통화 발음으로 흉내내도 대체로 무난하다. 쓰이는 지역의 넓이로 따지면 중국 본토의 대부분이 북방어 사용 지역이다.
하지만 상하이에서 베트남 국경까지 이르는 해안 지대를 포함한 중국 남부에서는 월어, 민어, 객가어(하카어) 등 다른 방언군들이 여럿 있다. 이들은 같은 한자를 읽을 때도 북방어와 발음이 매우 다르다. 이는 북방어에서 어말 파열음과 [m]이 사라지고 연구개음이 구개음화하는 등 다른 방언군에 비해서 심한 음운 변화를 겪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들 방언군의 이름들을 보통화 발음에 따라 표기하는 것은 외래어 표기법의 원칙인 원지음 중시와는 약간 거리가 있다.
중국어 방언 얘기를 하자면 끝이 없으므로 우리가 접하기 쉬운 몇 가지만 소개하고 각 발음에 따라 한글로 표기하면 어떻게 될지 살펴보도록 하자. 북방어 이외의 중국어 이름을 각 방언 발음에 따라 한글로 표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아니다. 이 글에서는 중국어 이름을 한자음으로 적어야 한다거나 외래어 표기법을 따라 보통화 발음대로 적어야 한다는 등 일체의 주장을 할 생각이 없다. 다만 우리가 중국어 이름을 다양한 경로로 접하는 현실을 볼 때 한글 표기를 한 가지 방식으로만 통일하기는 어려우니 방언 발음에 따라 표기할 필요가 생길 때를 대비해 미리 표기 방식을 생각해두는 것이 나쁘지 않다는 의견이다.
2024. 5. 28. 추가 내용: 원문에서는 상고 한어에서 유래하여 중국에서 쓰이는 여러 말씨를 ‘방언’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전한의 양웅(揚雄, B.C.53~A.D.18)이 《방언(方言)》을 저술한 이래 전통적으로 쓰인 용법이지만 언어학 용어로 쓰는 방언과는 다른 개념이다. 원래 《방언》에서는 고조선 지역의 어휘 등 중국어에 속하지 않는 말씨도 ‘방언’ 즉 지방 말씨라고 불렀으며 일상적으로는 방언을 표준 말씨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흔히 쓴다. 반면 언어학에서는 한 언어가 지역, 계층 등에 따른 화자 집단을 기준으로 분화된 것을 이르는 dialect의 번역어로 ‘방언’을 쓴다(즉 언어학에서는 표준어 역시 하나의 방언이다). 언어학적인 기준으로 중국 북방어, 월어, 민어, 하카어, 오어 등은 단일 언어를 이루지 않으며 중국 어파에 속하는 각기 다른 언어 또는 언어군으로 취급해야 할만큼 차이가 크다.
광둥어
월어(粵語)에 속하는 광둥어는 광저우, 홍콩, 마카오에서 쓰인다. 영어로는 Cantonese라고 한다. 또 전세계에 퍼진 화교들 가운데에도 광둥어를 쓰는 이들이 많다. 특히 캐나다, 영국, 미국 등의 중국계 이민 가운데 광둥어 사용자가 많다. 캐나다인들 가운데 중국어가 모국어인 이들의 대다수는 광둥어 사용자들이다.
홍콩 영화가 한창 인기이던 시절 홍콩 인명은 보통 한국 한자음대로 알려졌다. 홍콩 출신 영화인들을 중심으로 한국 한자음과 보통화 발음, 광둥어 발음, 그리고 영어 이름까지 비교해보자. 보통화 발음은 한어 병음과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로 나타냈다. 광둥어 발음의 로마자 표기는 월병(粵拼)으로 흔히 불리는 홍콩 언어학 학회 월어 병음을 따랐고 한글 표기는 외래어 표기법의 표준 중국어 표기를 응용하여 예전에 마련해본 방식을 썼다. 표준 중국어 표기에서처럼 첫소리 ‘ㄱ, ㄷ, ㅂ’ 등은 사실 된소리 ‘ㄲ, ㄸ, ㅃ’에 가까운 음을 나타낸다. 광둥어 발음은 온라인 사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글 표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성조 표기는 생략하였다.
광둥어에서 s는 보통화에서와 같이 ‘ㅆ’으로 적되 전설 고모음 [i, ɪ, y] 앞에서 [ɕ]나 [ʃ]로 실현되는 일이 많으므로 i, y 앞의 s는 ‘ㅅ’으로 적는 것이 좋겠다. 추가: 마찬가지로 z는 보통 ‘ㅉ’으로 적되 i, y 앞에서 ‘ㅈ’으로 적는 것이 좋겠다.
2024. 5. 28. 추가 내용: 광둥어는 s [s]와 sh [ʂ]/x [ɕ]를 구별하는 북방어와 달리 20세기 초반에 원래 있던 s [s]와 sh [ɕ]의 음소적 구별이 사라졌다. 그러니 굳이 ‘ㅆ’와 ‘ㅅ’으로 표기를 나누지 않는 것이 좋겠다. 마찬가지로 z [ʦ]와 zh [ʨ], c [ʦʰ]와 ch [ʨʰ]의 음소적 구별도 사라졌으니 z는 ‘ㅈ’으로 표기를 통일하는 것이 좋겠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 쓰는 표기도 수정하였다.
한편 통용 로마자 eung으로 적는 운모 oeng [œːŋ]도 흔히 쓰는 표기를 따라 ‘욍’ 대신 ‘엉’으로 표기를 수정하였다. 광둥어의 [œː]는 [ɵ]에 대응되는 긴 모음으로 둘은 단일 모음 음소의 변이음으로 볼 수 있는데 평균적으로 중설 중모음 [ə]의 위치에서 발음되는 원순 모음으로 보고 ‘어’로 적는 데 큰 무리가 없다.
홍콩 배우 주윤발/저우룬파/자우연팟
한자 이름 | 한국어 한자음 | 보통화 발음 | 광둥어 발음 | 영어 이름 |
---|---|---|---|---|
劉德華 | 유덕화 | Liu Dehua 류더화 | Lau Dak Waa 라우닥와 | Andy Lau, Lau Tak-Wah |
周潤發 | 주윤발 | Zhou Runfa 저우룬파 | Zau Jeon Faat 자우연팟 | Chow Yun-Fat |
吳宇森 | 오우삼 | Wu Yusen 우위썬 | Ng Jyu Sam 응위삼 | John Woo, Woo Yu-Sen |
王家衛 | 왕가위 | Wang Jiawei 왕자웨이 | Wong Gaa Wai 웡가와이 | Wong Kar-wai |
張國榮 | 장국영 | Zhang Guorong 장궈룽 | Zoeng Gwok Wing 정궉윙 | Leslie Cheung, Cheung Kwok-Wing |
周星馳 | 주성치 | Zhou Xingchi 저우싱츠 | Zau Sing Ci 자우싱치 | Stephen Chow, Chow Sing-Chi |
徐克 | 서극 | Xu Ke 쉬커 | Ceoi Hak 처이학 | Tsui Hark |
王晶 | 왕정 | Wang Jing 왕징 | Wong Zing 웡징 | Wong Jing |
張曼玉 | 장만옥 | Zhang Manyu 장만위 | Zoeng Maan Juk 정만육 | Maggie Cheung, Cheung Man Yuk |
梅艷芳 | 매염방 | Mei Yanfang 메이옌팡 | Mui Jim Fong 무이임퐁 | Anita Mui, Mui Yim-fong |
劉偉強 | 유위강 | Liu Weiqiang 류웨이창 | Lau Wai Koeng 라우와이컹 | Andrew Lau, Lau Wai-Keung |
張學友 | 장학우 | Zhang Xueyou 장쉐유 | Zoeng Hok Jau 정혹야우 | Jacky Cheung, Cheung Hok-Yau |
梁朝偉 | 양조위 | Liang Chaowei 량차오웨이 | Loeng Ciu Wai 렁치우와이 | Tony Leung, Leung Chiu-Wai |
梁家輝 | 양가휘 | Liang Jiahui 량자후이 | Loeng Gaa Fai 렁가파이 | Tony Leung, Leung Ka-fai |
陳港生 | 진항생 | Chen Gangsheng 천강성 | Can Gong Sang 찬공상 | Jackie Chan, Chan Kong Sang |
홍콩에서는 영어도 쓰이기 때문에 Andy, Steven, Maggie 등 영어식 이름을 가진 이들이 꽤 있다. 하지만 중국어 이름의 영어식 표기에 주목해보자. 대부분 광둥어 발음대로 표기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吳宇森만이 보통화 발음에 따라 Woo Yu-Sen이란 표기를 쓰고 있는데, 광둥어로 ‘응’이라고 발음되는 성을 가진 이들은 로마자로 Ng 대신 Woo, Wu 등을 쓰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아무래도 Ng이란 이름을 다른 언어권에서 발음하기 어려워서일 것이다. 吳宇森은 영어로 John Woo로만 알려져 있고 Yu-Sen이란 보통화식 이름을 실제 본인이 쓰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
트랙백한 글에서 인용한 신문 기사는 미스 홍콩 1위 陳庭欣의 영어 이름 Toby Chan을 ‘토비 첸’이라고 적고 있는데 성룡의 본명에서처럼 陳의 광둥어 발음을 ‘찬’에 가깝다. 영어식으로 발음한다 해도 [tʃæn]이므로 ‘챈’이라고 써야 할 텐데 ‘애’와 ‘에’를 혼동한 듯하다. 陳庭欣의 광둥어 발음은 찬팅얀(Chan Ting Jan)이다.
광둥어는 사실상 홍콩의 공용어였기 때문에 대체로 표준 발음이 정해져 있으며 특히 중국어권 밖에서 활동하는 이들 가운데 광둥어식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이들이 많다. 예를 들어 광저우 태생으로 현재 하버드대 수학 교수인 蕭蔭堂은 광둥어식 발음인 시우얌통(Siu Yam Tong)에 따라 영어 이름을 Yum-Tong Siu로 쓰고 있다. 보통화 발음은 샤오인탕(Xiao Yintang)이다.
광둥성 산터우 태생으로 역시 하버드대 수학 교수인 丘成桐도 광둥어식 발음인 야우싱퉁(Yau Sing Tung)을 따라 영어 이름을 Shing-Tung Yau로 쓴다. 보통화 발음은 추청퉁(Qiu Chengtong)인데 Puzzlist님의 제보에 의하면 언론에서 영어식 이름과 너무 다른 보통화식 표기를 쓴 바람에 국내 수학자들은 누구를 이르는 것인지 몰랐다고 한다.
홍콩 딤섬
또 보통 용어로도 알려진 것들이 꽤 있다. 점심 전후의 가벼운 식사를 일컫는 딤섬은 광둥어 딤삼(點心 dim sam)이 영어식 dim sum을 거쳐 들어온 말이다. 한국어의 점심도 같은 한자를 쓴다. 홍콩 국제공항의 이름으로 쓰는 첵랍콕은 홍콩의 광둥어 지명 첵랍곡(赤鱲角 Cek Laap Gok)이 영어식 표기 Chek Lap Kok를 토대로 심의된 표기이다.
호키엔어
전통적으로 민어(閩語)라 불리는 방언군은 그 내부에도 차이가 심해 보통의 기준으로는 민어의 하위 분류인 민북어, 민동어, 민남어, 민중어, 보선화(莆仙話) 등을 모두 다른 언어로 볼 수 있을 정도이다. 이 가운데 민남어(閩南語)에 속하는 호키엔어/푸젠어 또는 복건화(福建話, 영어로 Hokkien)는 중국의 푸젠성과 타이완에서 쓰이고 동남아시아 화교들도 많이 쓴다. 타이완에서 쓰이는 호키엔어는 타이완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추가 내용: 사실 여기서 정확한 용어 선택에 어려움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호키엔어는 민남어 가운데서도 취안저우(泉州)와 샤먼(廈門), 장저우(漳州)의 말씨를 말하며 중국어식 명칭은 천장편(泉漳片)이다. 민(閩)은 푸젠성의 약칭이니 호키엔어라고 하면 민어 전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어 딱히 만족스러운 용어는 아니다. 또 푸젠성 전체가 민어 사용 지역은 아니며 마찬가지로 광둥성 전체가 광둥어 사용 지역이 아니라는 것도 알아두어야겠다.2024. 5. 28. 추가 내용: 원문에서는 福建의 중국 표준어 발음 Fújiàn에 따른 ‘푸젠’을 써서 ‘푸젠어’라고 불렀지만 말레이인도네시아어 Hokkien에 따른 ‘호키엔어’로 수정하였다. 이는 호키엔어 Hok-kiàn ‘혹꼔’에서 나온 이름인데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이름이므로 이를 따랐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하카(Hakka[客家])’를 표제어로 쓰는 것처럼 널리 쓰이는 통용 로마자 표기를 따르기로 했다.
호키엔어 자음에는 유기음, 무기음, 유성음의 3계열 대립이 있다. 한글로 표기할 때는 한국어의 거센소리, 된소리, 예사소리에 대응시키는 것이 자연스럽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보통 된소리를 쓰지 않지만 한국어와 비슷한 자음의 3계열 대립이 있는 태국어, 베트남어의 표기에는 된소리를 쓴다(예: 태국어 ภูเก็ต Phuket 푸껫).
호키엔어에는 또 비음화된 모음이 있다. 백화자(POJ)라 불리는 로마자 표기에서는 해당 모음 뒤에 ⁿ을 붙여 나타내고 이게 불편하여 요즘에는 대문자 N을 붙여 나타내기도 하는데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등의 표기법을 따라 ‘ㅇ’ 받침으로 적는 것이 원칙이겠지만 비음화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듯하고 한국어의 ‘ㅇ’ 받침에 해당하는 [ŋ] 음과 구별하는 문제도 있으므로 비음화는 표시하지 않는 것도 생각할 수 있겠다.
트랙백한 글에 나오는 미스 홍콩 3위 莊思明의 영어 이름은 특이하게도 Lisa Ch’ng이라고 적는다. 말레이시아 국적이라고 하는데 Ch’ng은 아마 莊을 호키엔어 발음대로 적은 것 같다. 호키엔어 사전을 보니 POJ(백화자)라 불리는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Chng [tsŋ̍]이다. 한글로는 ‘쯩’으로 적을 수 있다. 인용된 신문 기사에서는 ‘리사 청’이란 표기를 썼다. 莊思明의 호키엔어 발음은 쯩수빙(Chng Su Beng)이다.
싱가포르 전 총리 고촉통(吳作棟; POJ: Go Chok Tong)은 호키엔어 발음에 따라 이름을 로마자로 Goh Chok Tong으로 표기한다. 호키엔어 발음에 가깝게 적으면 ‘고쪽똥’이 된다. 보통화 발음은 우쭤둥(Wu Zuodong)이다.
말레이시아 배우 양자경/미셸 요
말레이시아 화교 출신의 배우 양자경(楊紫瓊)은 영어로는 미셸 요(Michelle Yeoh)로 알려져 있으며 출생 시 성명은 Yeoh Choo-Kheng이다. 호키엔어 발음을 따른 것이라고 하는데 표준 호키엔어 발음인 융찌킹/유찌킹(POJ: Iuⁿ Chi Kheng)과는 조금 거리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말레이시아 북부의 화교들이 쓰는 피낭 호키엔어(Penang Hokkien)는 표준 호키엔어와 발음 차이가 꽤 있다. 그에 비해 말레이시아 남부와 싱가포르의 호키엔어는 표준 발음에 더 가깝다. 피낭 호키엔어에서 羊은 iauⁿ로 발음된다고 하니 楊의 발음도 비슷하지 않을까 한다. 어쨌든 楊을 Yeoh로 적는 것은 말레이시아 북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표기이다. 참고로 楊紫瓊은 보통화로 양쯔충(Yang Ziqiong), 광둥어로 영지킹(Joeng Zi King)이다.
우리가 쓰는 말 가운데 호키엔어에서 나온 보통 명사도 있다. 호키엔어에서 생선 소스를 뜻한 옛 단어 꿰짭(鮭汁 koe chiap)은 오늘날의 말레이시아를 거쳐 영국에 전해져 여러 식탁용 소스를 부를 때 쓰였다. 그 가운데 토마토로 만든 소스가 인기를 끌게 되었고 그것이 영어의 ketchup을 거쳐 한국으로 전해진 것이 케첩이다.
하카어
하카어 또는 객가화(客家話)는 광둥 북부 출신으로 동남아시아 각지에 퍼진 하카(Hakka 客家)족이 쓰는 언어이다. 타이완 정부에서 제공하는 하카어 사전이 있다. 자음에는 유기음과 무기음의 2계열 대립이 있으니 각각 한국어의 거센소리, 예사소리에 대응시킬 수 있다. 로마자 표기로 v로 나타내는 접근음 [ʋ]가 있는데 /w/와 /v/ 사이의 중간음 정도로 볼 수 있다. 타이완 텔레비전 방송의 하카어와 영어 속담을 배우는 코너 동영상을 보면 로마자 표기가 발음과 어떻게 대응되는지 볼 수 있는데 v 음이 없는 다른 방언 화자들에게는 어려운 발음이다 보니 w 음으로 잘못 발음하는 것도 흉내내고 있다. 일단 하카어의 v 음은 ‘ㅂ’으로 적는 것이 어떤가 한다.
싱가포르 배우 판웡
‘상하이 나이츠’에서 성룡과 함께 출연한 싱가포르의 배우 판웡(Fann Wong)의 본명은 Fann Woon Fong으로 한자는 范文芳이다. 표준 하카어로 치는 메이현 발음에 따른 로마자 표기는 Fam Vun Fong이다. 표준 발음을 따르면 팜분퐁이겠지만 성을 Fam 대신 Fann으로 적은 것은 방언에 따라 -m이 -n과 합쳐지기도 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 광둥어 등 다른 방언 발음의 영향을 받은 것일 수도 있겠다.
무국적(?) 로마자 표기
중국계 이름의 로마자 표기가 모두 특정 방언 발음에 따라 일관성 있게 정해진 것은 아니다.
싱가포르의 초대 총리 리콴유(李光耀)는 영어로 이름을 Lee Kuan Yew라고 적는다. 예전에는 한자음대로 이광요라고 읽었다. 그런데 Lee Kuan Yew라는 로마자 표기는 어떻게 나온 것인지 알 수 없다. 본인은 하카 출신인데 영어가 모어로 정치에 입문하면서 중국어를 하기 시작했다.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을 상대로 보통화 사용을 장려하는 이른바 강화어 운동(講華語運動)을 벌이기 전에는 호키엔어로 연설을 하기도 했다. 그런데 李光耀의 발음은 하카어로 리공야우(Li Gong Iau), 광둥어로 레이궝이우(Lei Gwong Jiu), 호키엔어로 리꽁야우(Li Kong Iau), 보통화로 리광야오(Li Guangyao)이다. 주요 방언에서 光에 [n] 음을 쓰는 것은 찾아보지 못했다.
싱가포르 초대 총리 리콴유
원래 해리(Harry)라는 영어식 이름을 썼고 중국어를 늦게 시작한 경우이니 중국어 발음을 잘 몰라 Lee Kuan Yew라는 표기를 쓰게 된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니 Lee Kuan Yew의 원 방언 발음을 찾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하고 아예 영어 이름처럼 보고 리콴유라고 표기하는 것이 무난하다.
리콴유의 아들이자 현 싱가포르 총리인 리셴룽(李顯龍)은 보통화 발음에 따라 Lee Hsien Loong이라고 표기한다. 병음은 Li Xianlong이다.
상하이 출신으로 초대 홍콩 행정 장관을 지낸 董建華는 영어로는 Tung Chee Hwa로 알려져 있다. 이것 역시 어느 방언 발음인지 찾으려는 것은 헛수고이다. 보통화로는 둥젠화(Dong Jianhua), 광둥어로는 둥긴와(Dung Gin Waa), 상하이어로는 똥찌호(Dong Ji Hho [toŋ tɕi ɦɔ])이다. 영어 이름의 Tung과 Hwa는 보통화 발음에서, Chee는 상하이어 발음에서 각각 딴 것이다.
상하이어는 오어(吳語)에 속한다. 사용 인구는 많지만 홍콩, 타이완에서 많이 쓰이는 광둥어, 호키엔어, 하카어 등에 비해 푸대접을 받는 느낌이다. 우리가 접하는 중국어 이름의 로마자 표기에도 상하이어 발음에 의한 표기는 찾아보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