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메르어의 한글 표기 권고안

현대 크메르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자음

로마자크메르어 자모한글보기
모음 앞자음 앞·어말
bប, ◌្ប (a)Baphuŏn បាភួន 바푸온, Bu Sra ប៊ូស្រា 부스라, Siĕm Réab សៀមរាប 시엠리업
chច, ◌្ច (a) ជ, ◌្ជ (o)ㄱ, 찌Cham ចាម 짬, Chuŏn ជួន 쭈온, séchkdei សេចក្ដី 섹끄데이, Réach រាជ 리억, Chbar Môn ច្បារមន 찌바르몬
chhឆ, ◌្ឆ (a) ឈ, ◌្ឈ (o)ㄱ, 치Chhay ឆាយ 차이, Chhœ̆m ឈឹម 츰, chhmar ឆ្មារ 치마르
dដ, ◌្ដ (a) ឌ, ◌្ឌ (o)Dângrêk ដងរែក 당랙, Duŏng ឌួង 두옹, Pĭsĕdth ពិសិដ្ឋ 삐셋
fហ្វ (a)Fŭnsĭnpĕch ហ្វ៊ុនស៊ិនប៉ិច 푼신뻭, kafé កាហ្វេ 까페, frăng ហ្វ្រ័ង 프랑
gហ្គ (a)gas ហ្គាស 가스, vagŏng វ៉ាហ្គុង 바공, grin ហ្គ្រីន 그린
hហ, ◌្ហ (a)Haô ហោ 호, Hêl ហ៊ែល 핼, mhob ម្ហូប 므홉, lhév ល្ហេវ 르헤우, hnœ̆ng ហ្នឹង 능
Srăh Sráng ស្រះស្រង់ 스라스랑, Krâchéh ក្រចេះ 끄라쩨, Kaôh Kŏng កោះកុង 꼬꽁
kក, ◌្ក (a) គ, ◌្គ (o)ㄱ, 끄kapĭ កាពិ 까삑, kŭhéa គុហា 꾸히어, Bâksei បក្សី 박세이, Néak នាគ 니억, Kdei ក្ដី 끄데이
khខ, ◌្ខ (a) ឃ, ◌្ឃ (o)ㄱ, 크Khăn ខ័ន 칸, Khŭn ឃុន 쿤, Sŏkh សុខ 속, Ta Khmau តាខ្មៅ 따크마우, Khleăng ឃ្លាំង 클레앙
lល, ◌្ល (o) ឡ, ◌្ឡ (a)ㄹ, ㄹㄹㄹ, 르Lôley លលៃ 롤레이, Lay-Sréng ឡាយស្រេង 라이스렝, Kŏla កុឡា 꼴라, hluŏng ហ្លួង 루옹, Kândal កណ្ដាល 깐달, lbŏkkâtaô ល្បុក្កតោ 르보까또
mម, ◌្ម (o)ㅁ, 므Môndôl Kĭri មណ្ឌលគិរី 몬돌끼리, hmay ហ្មាយ 마이, Sângkôm សង្គម 상꼼, mtés ម្ទេស 므떼스
nន, ◌្ន (o) ណ, ◌្ណ (a)nôkôr នគរ 노꼬르, Ŭnnaloŭm ឧណ្ណាលោម 운날롬, hnapăk ហ្នាប៉ាក់ 나빡, Chhĭn ឈិន 친, Mébŏny មេបុណ្យ 메본
ngង, ◌្ង (o)응, ㅇNgaô ង៉ោ 응오, Snguŏn ស្ងួន 승우온, Sâmraông សំរោង 삼롱
nhញ, ◌្ញ (o)니*nhêk ញែក 냭, Pânhnha បញ្ញា 빤냐, Krâvanh ក្រវាញ 끄라반
pព, ◌្ព (o) ប៉, ប (a)ㅂ, 쁘Pilika ពីលីកា 삘리까, Paôypêt ប៉ោយប៉ែត 뽀이뺏, Sŏphéap សុភាព 소피업, Prân ប្រន 쁘란
phផ, ◌្ផ (a) ភ, ◌្ភ (o)ㅂ, 프Phâkkŭni ផគ្គុនី 파꾸니, phoŭchâniy ភោជនីយ 포짜니, Léaph លាភ 리업, Phnum Pénh ភ្នំពេញ 프놈뻰
rរ, ◌្រ (o) ◌៌Réam រាម 리엄, Rân រ៉ន 란, Ângkôr អង្គរ 앙꼬르, karn កាណ៌ 까르, suŏrkéa សួគ៌ា 수오르끼어
sស, ◌្ស (a)sâmlâ សម្ល 삼라, Rôluŏs រលួស 롤루오스, spéan ស្ពាន 스삐언
tត, ◌្ត (a) ទ, ◌្ទ (o)ㅅ, 뜨Ta Saôm តាសោម 따솜, Tônlé Sab ទន្លេសាប 똔레삽, sâmpót សំពត់ 삼뽓, Bat បាទ 밧, Tbêng ត្បែង 뜨뱅
thឋ, ◌្ឋ (a) ថ, ◌្ថ (a) ឍ, ◌្ឍ (o)ㅅ, 트Théng ថេង 텡, Thŭnthĭ ឍុណ្ឍិ 툰틱, Chédtha ជេដ្ឋា 쩨타, thmâ ថ្ម 트마
vវ, ◌្វ (o)오, 우, 브Vithŭn វីធុន 비툰, Takêv តាកែវ 따깨오, kŭy téav គុយទាវ 꾸이띠어우, vheuy វ្ហើយ 브허이
yយ, ◌្យ (o)이*Yâng យ៉ង 양, Svay ស្វាយ 스바이, ĕntrĭy ឥន្ទ្រិយ 엔뜨리, khyál ខ្យល់ 키알, Syam ស្យាម 시암
អ, ◌្អ (a)trâ’al ត្រអាល 뜨라알, k’êk ក្អែក 끄액, L’ang ល្អាង 르앙, Phĭméan’akas ភិមានអាកាស 피미언아까스

모음

로마자크메르어 자모한글보기
a(a)baray បារាយ 바라이, Bŭnma ប៊ុនម៉ា 분마
ă(a), ា់ (a)Khăn ខ័ន 칸, Chăn ចាន់ 짠
â(a)Prân ប្រន 쁘란, âksâr អក្សរ 악사르
á◌់ (a)tráng ត្រង់ 뜨랑, kát កត់ 깟
ă’(a)âkkhâră’ អក្ខរៈ 아카락, sră’ ស្រៈ 스락
aeu(a)lbaeuk ល្បើក 르벅, Châng’aeur ចង្អើរ 짱어르, laeung ឡើង 렁, kaeut កើត 껏
ăh(a)lbăh ល្បះ 르바, srăh ស្រះ 스라
ai(a)아이baideika បៃដីកា 바이데이까, Tatai តាតៃ 따따이
ămាំ (a)Nămhŏng ណាំហុង 남홍, Chămkrŏng ចាំក្រុង 짬끄롱
âm(a)Sâmphân សំផន 삼판, Dâmrei ដំរី 담레이
ăngាំង (a)Chhăng ឆាំង 창, Prăng ប្រាំង 쁘랑
(a), ឱ, ឲKâmpóng Saôm កំពង់សោម 깜뽕솜, Péam Krâsaôp ពាមក្រសោប 삐엄끄라솝, aôkăs ឱក័ស 오까스, aôy ឲ្យ 오이
au(a), ឳ아우Chau ចៅ 짜우, Ta Khmau តាខ្មៅ 따크마우, aulœ̆k ឳឡឹក 아울륵
âu어우âuchrœ̆ng ឪជ្រឹង 어우찌릉, âupŭk ឪពុក 어우뿍
ĕ(a), ឥPoŭchĕntŏng ពោធិ៍ចិនតុង 뽀쩬똥, kĕrĭya កិរិយា 께리야, ĕlov ឥឡូវ 엘러우
êSên សែន 샌, Lôngvêk លង្វែក 롱백
éMéng ម៉េង 멩, Tévi ទេវី 떼비, Sarét សារ៉េត 사렛
(o), ា់ (o)에아leăkt ល័ក្ត 레악, prâtheăk ប្រធាក់ 쁘라떼악
éa(o)이어Chéa ជា 찌어, Sŏtthéa សុទ្ធា 소티어
eă’(o)âkkâcheă’ អគ្គជៈ 아까짝, hĕmeă’ ហិមៈ 헤막
eăh(o)에아Preăh Koŭ ព្រះគោ 쁘레아꼬, sâmpeăh សំពះ 삼뻬아
eăngាំង (o)에앙pheăng ភាំង 페앙, Trâpeăng ត្រពាំង 뜨라뻬앙
ei(a), ឦ에이Sérei សេរី 세레이, Kdei ក្ដី 끄데이, eisan ឦសាន 에이산
eu(o)chheu ឈើ 처, ngeup ងើប 응업, yeung យើង 영
ey(o), ័យ (o)에이Prey Vêng ព្រៃវែង 쁘레이뱅, pĭney ពិន័យ 삐네이, Cheyâvârmăn ជ័យវរ្ម័ន 쩨야바르만
i(o)mi មី 미, Sŏthi សុធី 소티
ĭ(o)Bĭn ប៊ិន 빈, Pĭsei ពិសី 삐세이
이에Iĕng អៀង 이엥, riĕl រៀល 리엘
o(a), ឩOn អូន 온, kroch ក្រូច 끄록, omă’ ឩម 오막
ŏ(a), ឧLŏng ឡុង 롱, Sŏkhŏn សុខុន 소콘, ŏchéang ឧជាង 오찌엉
ô(o)chhôr ឈរ 초르, Pônhéa ពញា 뽀니어
ó◌់ (o)Rós រស់ 로스, Kóng គង់ 꽁
(o), ា់ (o)Bayoăn បាយ័ន 바욘, Suŏ Proătr សួព្រ័ត្រ 수오쁘롯, Sĕrei Saôphoăn សិរីសោភ័ណ 세레이소폰
ŏăhោះ (o)kŏăh គោះ 꼬, nhŏăh ញោះ 뇨
ŏâmាំ (o)rŏâmvóng រាំវង់ 롬봉, mŏâm មាំ 몸
omុំ (a)Bŏny Om Tuk បុណ្យអុំទូក 본옴뚝, klom ក្លុំ 끌롬
(o)koŭprey គោព្រៃ 꼬쁘레이, chroŭng ជ្រោង 찌롱
ŏu(o)어우Pŏu ពៅ 뻐우, tŏu ទៅ 떠우
ovូវ (a)어우trov ត្រូវ 뜨러우, sâmkov សំកូវ 삼꺼우
œឺ, (ឬ, ឮ)Lœ លឺ 르, Sœn សឺន 슨, Rânârœtth រណឬទ្ធិ 라나릇
œ̆ឹ, (ឫ, ឭ)Stœ̆ng ស្ទឹង 스뜽, Khœ̆n ឃឹន 큰, rôlœ̆k រឭក 롤륵
œă으어Œă អឿ 으어, krœăng គ្រឿង 끄르엉, Bŭn-Chhœăn ប៊ុនឈឿន 분츠언
u(o), ឩTu ទូ 뚜, Prê Rub ប្រែរូប 쁘래룹, urŭ ឩរុ 우룩
ŭ(o), ឧVŭtthi វុទ្ធី 부티, Hŭn ហ៊ុន 훈, ŭchŭ ឧជុ 우쭉
um(o)Phnum Dei ភ្នំដី 프놈데이, Kâmpóng Thum កំពង់ធំ 깜뽕톰
ŭmុំ (o)Khmŭm ឃ្មុំ 크뭄, Chhŭm ឈុំ 춤
우오Nuŏn នួន 누온, Suŏng សួង 수옹
uvូវ (o)nhuv ញូវ 뉴, Téachuv ទាចូវ 띠어쭈

* nh의 ‘니’와 y의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위 대조표에서 (a)는 a계열 자음 및 거기에 붙을 때의 모음 음가를 나타내고 (o)는 o계열 자음 및 거기에 붙을 때의 모음 음가를 나타낸다. 자음군은 구성 자음 가운데 l, m, n, ng, nh, r, v, y를 무시한 나머지 자음 가운데 마지막 자음의 계열을 따른다. 다만 vh는 v의 계열을 따른 o계열이다. o계열 자음에 ◌៉ 부호가 붙으면 뒤따르는 모음이 a계열 자음을 따르는 음가로 바뀌고 a계열 자음에 ◌៊ 부호가 붙으면 뒤따르는 모음이 o계열 자음을 따르는 음가로 바뀐다. 자음 자모 위에 이미 모음 부호가 붙어있는 경우 계열 바뀜 부호를 ◌៉, ◌៊ 대신 ុ로 적는다.

표기 세칙

현대 크메르어는 발음에 따라 적은 로마자를 기준으로 대조표를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파열음

1. 어두에서 자음 앞에 오는 파열음 p, ph, d, t, th, k, kh은 ‘으’를 붙여 적고 ch, chh는 ‘이’를 붙여 적는다.

chhngiĕm ឈ្ងៀម 칭이엠

dbĕt ដ្បិត 드벳

kbát ក្បត់ 끄밧

khsăch ខ្សាច់ 크삭

Prasat Krâvăn ប្រាសាទក្រវាន់ 쁘라삿끄라반

thmei ថ្មី 트메이

2. 어중에서 첨족자(다른 자음자 하단에 붙는 자형)로 쓰는 l, m, n, r, v 앞의 파열음 p, ph, d, t, th, k, kh은 ‘으’를 붙여 적고 ch, chh는 ‘이’를 붙여 적는다.

akné អាគ្នេយ៍ 아끄네

atmăn អាត្ម័ន 아뜨만

Chântréa ចន្ទ្រា 짠뜨리어

dochnéh ដូច្នេះ 도찌네

kâmpláng កំប្លង់ 깜쁠랑

mâklœă មក្លឿ 마끌르어

Péchréada ពេជ្រាដា 뻬찌리어다

prâchhlŏăh ប្រឈ្លោះ 쁘라칠로

ŭpâtvip ឧបទ្វីប 우빠뜨빕

véakmĭn វាគ្មិន 비어끄민

3. 다만 어중에서 v를 첨족자로 쓴 pv는 p와 같이 적는다.

bâpvâchĭt បព្វជិត 바빠찟

Nĭpvéan Bat និព្វានបាទ 니삐언밧

bŏpvé បុព្វេ 보뻬

tĭpvéarâmm ទិព្វារម្មណ៍ 띠삐어람

4. 그 외의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오는 모음 뒤의 파열음 b, p, ph, d, t, th, ch, chh, k, kh는 받침으로 적는다.

moăt មាត់ 못

Smăch ស្មាច់ 스막

sŏnâkh សុនខ 소낙

téab ទាប 띠업

âphsŏk អផ្សុក 압속

bâksei បក្សី 박세이

Bătdâmbâng បាត់ដំបង 밧담방

ŏknha ឧកញ៉ា 옥냐

pdéchnha ប្ដេជ្ញា 쁘덱냐

Sŭtsakhân ស៊ុតសាខន 숫사칸

제2항 l, m

1. 어두에서 자음 앞에 오는 l, m은 ‘으’를 붙여 적고 그 외의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Lvéa Êm ល្វាឯម 르비어앰

mchăk ម្ចាក់ 므짝

châmngay ចម្ងាយ 짬응아이

Kâmpŭchéa កម្ពុជា 깜뿌찌어

kâmsiĕv កំសៀវ 깜시에우

meul ngéay មើលងាយ 멀응이어이

phâlkŭn ផល្គុន 팔꾼

pôltoŭ ពលទោ 뽈또

Réam រាម 리엄

rumduŏl រំដួល 롬두올

2. 모음이나 받침으로 적지 않는 자음 뒤의 l은 모음 앞에서 ‘ㄹㄹ’로 적는다.

Krâlănh ក្រឡាញ់ 끄랄란

khlŏy ខ្លុយ 클로이

3. 어말이나 자음 앞의 um은 ‘옴’으로 적는다. 다만 단일 운모 um이 아니라 모음 u와 자음 m의 조합을 나타내는 경우는 ‘움’으로 적고 어말이나 자음 앞의 ŭm도 ‘움’으로 적는다.

Lumphăt លំផាត់ 롬팟

Svay Chrum ស្វាយជ្រំ 스바이찌롬

phum(ĭ) ភូមិ 품

vum វូម 붐

Bŏtŭm Sakôr បុទុមសាគរ 보뚬사꼬르

khmŭm ឃ្មុំ 크뭄

제3항 nh, y

1. 초성 nh ‘니’와 y ‘이’를 ‘으’로 적는 모음과 합칠 때는 각각 ‘녀’, ‘여’로 적는다.

Nhœ̆k ញឹក 녁

yœ̆t យឹត 엿

2. 초성 자음군의 둘째 자음이 y인 경우 ‘이’로 적어 앞의 자음과 합치고 뒤따르는 모음과 갈라 적는다.

khyâng ខ្យង 키앙

prâtyâks ប្រត្យក្ស 쁘라띠악

sênyanŭphéap សែន្យានុភាព 새니아누피업

vĭtyéa វិទ្យា 비띠이어

3. 자음 앞이나 어말의 y가 ‘이’로 적는 모음 뒤에 올 때는 따로 적지 않는다.

ĕntrĭy ឥន្ទ្រិយ 엔뜨리

sthaniy ស្ថានីយ 스타니

제4항 v

1. 자음 앞이나 어말의 종성 v는 ‘아’와 ‘애’로 적는 모음 뒤에서 ‘오’로, 그 외의 모음 뒤에서는 ‘우’로 적되 ov는 ‘어우’로, uv는 ‘우’로 적는다.

Savrôs សាវរស 사오로스

Takêv តាកែវ 따깨오

lhév ល្ហេវ 르헤우

kŭy téav គុយទាវ 꾸이띠어우

srâyov ស្រយូវ 스라여우

Yangchuv យ៉ាងចូវ 양쭈

2. 초성 자음군의 첫째 자음인 v는 ‘브’로 적는다.

chĭvha ជិវ្ហា 찌브하

vhŏăh vheuy វ្ហោះវ្ហើយ 브호브허이

3. 로마자 표기 wat, Sisowath으로 각각 통용되는 vôtt វត្ត, Sisŏvâtth(ĕ) ស៊ីសុវត្ថិ은 예외적으로 각각 ‘왓’, ‘시소왓’으로 적는 것을 허용한다.

Ângkôr Vôtt អង្គរវត្ត 앙꼬르봇, *앙꼬르왓(통용 로마자: Angkor Wat)

Sisŏvâtth(ĕ) ស៊ីសុវត្ថិ 시소밧, *시소왓(통용 로마자: Sisowath)

제5항 자음의 겹침

같은 자음이 겹쳐 있을 때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ŭttâm, ŭttâr 등 일부 어근에서 t가 d와 같이 발음되는 것은 ‘ㄷ’으로 적는다. 같은 계열의 파열음이 겹치고 둘째 음이 무성음(p, ph, t, th, k, kh)인 -bp-, -bph-, -chchh-, -dt-, -dth-, -kkh- 등도 겹치지 않은 것처럼 둘째 음을 기준으로 적는다. 다만 -mm-, -nn-은 각각 ‘ㅁㅁ’, ‘ㄴㄴ’으로 적고 -nhnh-, -yy-는 각각 뒤따르는 모음과 합치는 ‘ㄴ니’, ‘이이’로 적는다.

Bokkoŭ បូកគោ 보꼬

mĭttâphéap មិត្តភាព 미따피업

pâddĕka បដ្ដិកា 빠데까

Phâlla ផល្លា 팔라

Prey Kâbbas ព្រៃកប្បាស 쁘레이까바스

tôssână ទស្សនៈ 또사낙

Phnum Ŭttŏngk ភ្នំ​ឧត្តុង្គ​ 프놈우동

Ŭttâr Méanchey ឧត្តរមានជ័យ 우다르미언쩨이

âdthĕ អដ្ឋិ 아텍

Bŏbphatévi បុប្ផាទេវី 보파떼비

châtŏbpâchchăy ចតុប្បច្ច័យ 짜또빠짜이

mâchchhâdthan មជ្ឈដ្ឋាន 마차탄

sâmman សម្មាន 삼만

sânnĭbat សន្និបាត 산니밧

Pânhnha បញ្ញា 빤냐

âyyâka អយ្យកា 아이야까

제6항 종성 자음군

종성 자음군은 첫째 자음만 적고 나머지는 적지 않는다. 다만 h로 시작하는 자음군은 둘째 자음을 기준으로 적는다.

mâchchâpoănth មច្ចព័ន្ធ 마짜뽄

Mébŏny មេបុណ្យ 메본

Poăndhmŭniroătn ព័ន្ធមុនីរ័ត្ន 뽄무니롯

réastr រាស្ត្រ 리어스

thalâsâpt ថាលសព្ទ 탈라삽

thôrm ធម៌ 토르

Vĭchĕtr វិចិត្រ 비쩻

Vôngs វង្ស 봉

préahm ព្រាហ្មណ៍ 쁘리엄

sâprôhmcharei សព្រហ្មចារី 사쁘롬짜레이

제7항 어말 짧은 모음

어말 짧은 모음 ĕ, ĭ, ŏ, œ̆, ŭ 뒤에는 받침 ‘ㄱ’을 붙인다.

châkkhŏ ចក្ខុ 짜콕

kapĭ កាពិ 까삑

nitĕ នីតិ 니떽

Sihânŭ សីហនុ 시하눅

제8항 â

크메르어 철자에 나타나지 않는 모음에 대응되는 â는 ‘아’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널리 통용되는 로마자에서 o로 적는 경우 ‘오’로 옮기는 것을 허용한다.

Kândal កណ្ដាល 깐달

Sâm សម 삼

Kângrei កង្រី 깡레이, *꽁레이(통용 로마자: Kong-rey)

Nôroŭttâm នរោត្ដម 노로담, *노로돔(통용 로마자: Norodom)

제9항 ô

크메르어 철자에 나타나지 않는 모음에 대응되는 ô는 ‘오’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널리 통용되는 로마자에서 a로 적는 경우 ‘아’로 옮기는 것을 허용한다.

Lôley លលៃ 롤레이(통용 로마자: Lolei)

Bakông បាគង 바꽁(통용 로마자: Bakong)

Rôtânâkĭri រតនគិរី 로따나끼리, *라따나끼리(통용 로마자: Rattanakiri)

Yŭkônthôr យុគន្ធរ 유꼰토르, *유깐토르(통용 로마자: Yukanthor)

제10항 r

통용 로마자 표기에서 생략되는 자음 앞이나 어말의 r는 적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

Krâsar ក្រសារ 끄라사르, *끄로사(통용 로마자: Krosa)

Mur មូរ 무르, *무(통용 로마자: Mu)

Or Chrŏu អូរជ្រៅ 오르찌러우, *오찌러우(통용 로마자: Ou Chrov)

Or Kêv អូរកែវ 오르깨오, *오깨오(통용 로마자: O Keo)

현대 크메르어의 로마자 표기에 대한 추가 지침

여기서 쓰는 현대 크메르어의 로마자 표기는 유엔 지명 전문가 그룹(UNGEGN) 표기법을 따르고 다음의 추가 지침을 반영하였다.

제1항 자음 계열에 따른 모음의 표기

1. 크메르어 철자에 나타나지 않더라도 모음이 예상되는 계열과 반대로 발음되는 경우는 발음에 따라 적는다. UNGEGN 표기법에서는 앞의 자음이 a계열인지 o계열인지에 따라 모음의 표기를 다르게 적는다. 그런데 바로 앞의 자음이 l, m, n, ng, nh, r, v, y 등으로 적는 o계열 공명음인 경우 인근 a계열 자음에 이끌려 a계열 자음 뒤에 쓰이는 모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Dâmrei ដំរី 담레이(Dâmri로 쓰지 않는다)

krâma ក្រមា 끄라마(krâméa로 쓰지 않는다)

2. 두 발음이 혼용되는 경우는 통용 로마자 표기를 따른다.

Sihâmŭni សីហមុនី 시하무니(통용 로마자 표기가 Sihamoni이므로 Seihâmŭni와 Sihâmŭni 가운데 후자를 취한다)

Sihânŭ សីហនុ 시하눅(통용 로마자 표기가 Sihanouk이므로 Seihânŭ과 Sihânŭ 가운데 후자를 취한다)

3. 다만, o계열 자음 뒤의 ិ는 발음과 관계 없이 ĕ 대신 ĭ로 적는다.

Bârĭbor បរិបូរណ៍ 바리보르(Bârĕbor로 쓰지 않는다)

Bavĭt បាវិត 바빗(Bavĕt으로 쓰지 않는다)

sŏrĭya សុរិយា 소리야(sŏrĕya로 쓰지 않는다)

4. 철자에 나타나지 않는 모음 가운데 á, ă, eă로 쓴 것처럼 소리나는 것은 â로 적고 ó, oă, u로 쓴 것처럼 소리나는 것은 ô로 적는다. 특히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에서 차용한 어휘에서 철자에 나타나지 않는 모음이 마치 ă, oă, eă로 적은 것처럼 소리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쌍점 부호가 있는 것처럼 소리나는 어말 모음은 제2항을 따른다.

âbsâra អប្សរា 압사라(ăpsăra로 쓴 것처럼 소리난다)

Mâkâra មករា 마까라(Meăkăra로 쓴 것처럼 소리난다)

Thômmânônt ធម្មនន្ទ 톰마논(Thoămmeănón으로 쓴 것처럼 소리난다)

Kômlóng គម្លង់ 꼼롱(Kumlóng으로 쓴 것처럼 소리난다)

Virâchey វីរជ័យ 비라쩨이(Vireăchey로 쓴 것처럼 소리난다)

tânâya តនយា 따나야(tănăya로 쓴 것처럼 소리난다)

제2항 쌍점 부호(ៈ)

쌍점 부호(ៈ)는 a계열 자음 뒤에서처럼 발음되면 ă’으로 적고 o계열 자음 뒤에서처럼 발음되면 eă’으로 적는다. 철자에 쌍점 부호가 없더라도 있는 것처럼 발음되는 경우 발음에 따라 ă’, eă’으로 적는다.

Ĭssâră’ ឥស្សរៈ 이사락

kŏmpheă’ កុម្ភៈ 꼼팍

Kŏsŏmă’ កុសុមៈ 꼬소막

Vireă’ វីរៈ 비락

sâmohă’ សមូហ 사모학

téveă’ ទេវ 떼박

제3항 ey ័យ

o계열 자음 뒤에서처럼 발음되는 ័យ는 ey로 적는다.

Cheyâvârmăn ជ័យវរ្ម័ន 쩨야바르만(Cheăyâvârmăn으로 쓰지 않는다)

Méanchey មានជ័យ 미언쩨이(Méancheăy로 적지 않는다)

제4항 o, u ឩ

자립 모음자 ឩ는 발음에 따라 o 또는 u로 적는다.

odth ឩដ្ឋ 옷

urâpy ឩរព្យ 우랍

제5항 f ហ្វ, g ហ្គ

차용어에서 hv ហ្វ, hk ហ្គ가 원어의 [f], [ɡ]를 나타내는 경우 f, g로 적는다.

fœăngfa ហ្វឿងហ្វា 프엉파(hvœănghva로 쓰지 않는다)

gita ហ្គីតា 기따(hkita로 쓰지 않는다)

제6항 ăch/éch េច

일부 단어에서 éch េច의 모음이 마치 ă로 쓴 것처럼 발음되는 경우 ăch로 적는다. 그러나 규칙적으로 발음되는 경우에는 éch으로 적는다.

sâmdăch សម្ដេច 삼닥

sâmrăch សម្រេច 삼락

sdăch ស្ដេច 스닥

srăch ស្រេច 스락

kâmtéch កម្ទេច 깜떽

méch ម៉េច 멕

제7항 묵음 표시(៍)

묵음 표시(៍)가 붙은 자모는 적지 않는다. 묵음 표시가 없는데도 실제 발음에서 불규칙적으로 소리나지 않는 부분은 괄호 안에 적는다.

Péam Rô ពាមរ​ក៍ 삐엄로(Péam Rôk으로 쓰지 않는다)

Poŭsăt ពោធិ៍សាត់ 뽀삿(Poŭthĭsăt으로 쓰지 않는다)

Phum(ĭ) ភូមិ 품(Phumĭ로 쓰지 않는다)

고문체 크메르어의 한글 표기

근대 이전 캄보디아의 진랍과 크메르 제국과 관련된 인명과 지명, 일반 용어는 산스크리트어나 팔리어에서 온 것이 많기 때문에 크메르 문자를 비롯한 인도계 문자로 된 기록에 나타난 철자를 바탕으로 원어를 재구한 로마자로 흔히 통용된다. 또 크메르어 고유 어휘나 타이어 등 다른 언어에서 차용한 어휘도 관련 연구에서는 고대 크메르어와 중세 크메르어 형태를 나타낸 로마자로 흔히 적는다. 근세 이후에도 팔리어식 법명 등 특히 불교 관련 어휘에서 이런 표기 방식이 쓰이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이들은 각각의 시대와 언어 배경이 다르지만 인도 계열 문자를 학술적으로 로마자로 옮기는 방식은 대체로 통일되어 있기 때문에 로마자 표기 방식이 비슷하므로 고문체 크메르어로 묶어서 부를 수 있다. 고문체 크메르어는 학술적인 로마자 표기법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리면서 기타 언어 표기의 일반 원칙에 따라 적도록 한다.

제1항 c, j

c, j는 모음 앞에서 각각 ‘ㅊ’, ‘ㅈ’으로 적고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 각각 ‘치’, ‘지’로 적는다.

Īśvarajñāna 이슈바라지냐나

Ktoc 크토치

saṃtac 삼타치

Tribhuvanacūḍāmaṇi 트리부바나추다마니

제2항 ś, ṣ

ś, ṣ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샤’, ‘셰’ 등으로 적고 자음 앞에서는 ‘슈’로,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Vraḥ Viṣṇuloka 브라비슈눌로카

Īśānapura 이샤나푸라

Kṛṣṇamitra 크르슈나미트라

Śreṣṭhapura 슈레슈타푸라

제3항 ṃ

1. ṃ은 받침 ‘ㅁ’으로 적고 모음이 뒤따르지 않거나 어말의 a만 뒤따르는 ṃṅ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bodhisaṃmbhāra 보디삼바라

paṃcaṃ 팜참

saṃteca 삼테차

taṃṅai 탐응아이

taṃṅhē 탕헤

trabāṃṅa 트라방아

2. 다만, 산스크리트어나 팔리어 형태의 재구에 나타나는 ṃ은 d, dh, t, th, ḍ, ḍh, ṭ, ṭh, j, jh, c, ch 앞에서 받침 ‘ㄴ’으로, b, bh, p, ph 앞에서 받침 ‘ㅁ’으로 적고 그 외의 자음 앞에서는 받침 ‘ㅇ’으로 적는다.

divasaṃcāra 디바산차라(산스크리트어)

Puraṃdarapura 푸란다라푸라(산스크리트어)

ʼAdhipeśavaṃśa 아디페샤방샤(산스크리트어)

Jayataraṃga 자야타랑가(산스크리트어)

제4항 ñ, ṅ

ñ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냐’, ‘녜’ 등으로 적는다. ṅ은 받침 ‘ㅇ’으로 적고 어두에서는 ‘응’으로 적는다.

bañā 바냐

kñeva 크녜바

prajñākīrtti 프라지냐키르티

Ukñā 우크냐

ʼAṅgaravatra 앙가라바트라

Mahāvaṅsottara 마하방소타라

ṅarṅor 응아릉오르

Vṅā 븡아

제5항 h, ḥ

h나 ḥ는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 적지 않는다.

Mahāsamuḥ 마하사무

saṅkhah 상카

Tapaḥśānti 타파샨티

Vrahmaloka 브라말로카

제6항 유기음

유기음 bh, ch, dh, ḍh, gh, jh, kh, ph, th, ṭh는 각각 무기음 b, c, d, ḍ, g, j, k, p, t, ṭ와 같이 적는다.

jhmoḥ 지모

Mahā Ghosānanda 마하고사난다

Makhāli-Phāl 마칼리팔

Yaśodharagiri 야쇼다라기리

제7항 모음

1. 자음 뒤의 yya는 ‘이아’로 적는다. 자음 뒤의 va, vā가 이중 모음을 나타내는 경우 ‘우아’로 적는다. 이중 모음인지 확인하려면 발음을 나타내는 사전을 참고하거나 현대 크메르어에서 uŏ로 적는 어휘에 대응되는지 대조해야 한다.

ʼācāryya 아차리아

Gaṃryyaṅ 감리앙

kanmvāy 칸무아이

paṃnvās 팜누아스

vvaṃ 부암

dvāra 드바라(이중 모음이 아님)

2. 그 외에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에 나타나지 않는 크메르어식 모음은 현대 크메르어에서와 같이 적는다. 이중 모음 uŏ에 해당하는 철자 w는 ‘우오’로 적는다.

brœssa 브르사

chmwña 치무오냐

공유하기